인천시, ‘담 없는 열린 광장’ 조성에 따른 청사방호 대책에 뒷짐만. "경찰이 걱정할일, 우리일 아니다"

인천시가 시청 앞 광장 개방을 위해 담 없는 열린 광장을 조성했지만, 시위 등 유사시 청사 방호 대책에는 손을 놓고 있다. 13일 시와 경찰 등에 따르면 열린 광장인 인천애(愛)뜰이 완성되면서 담장과 정문 등이 명확히 구분되던 전과 달리 집회시위에 따른 청사 방호 대책이 절실해졌다. 그동안 시청 앞 집회는 집회 주관자가 시청 관할 경찰서인 남동경찰서에 신고하면 규모에 따라 경찰병력을 파견해왔다. 통상 불법과격 집회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인천지방경찰청과 남동서가 논의해 2개 중대(약 170명)를 파견한다. 이 경우 기존에는 시청사를 담장이 막고 있어 열려 있는 정문만 폐쇄하면 방호가 가능했다. 하지만 담장과 정문을 없애고 열린광장을 조성한 지금은 방호할 면적만 약 5배에 달한다. 면적만 고려하면 10개 중대(약 850명)가 필요한 셈이다. 인천경찰 관계자도 담이 없는 시청에 더 많은 병력을 파견해야 하는 것은 기정사실이라며 이 같은 사실을 인정했다. 문제는 인천경찰이 보유한 3개 기동대 인원은 약 300여명으로 전부 출동한다고 하더라도 각 경찰서의 지원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앞서 시 총무과는 인천애(愛)뜰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입법예고한 뒤 청사 방호 의견수렴을 위해 지난 7월 말께 남동서 수사과, 정보과, 경비교통과 등 4개 부서와 협의했다. 주된 내용은 열린 광장 방호를 위한 자체 계획 5개 시나리오(청사 진입시도, 불법 점거 등)다. 하지만 담장이 사라지면서 방호가 취약해진 부분에 대해서는 불법과격 시위로부터 시청을 방호하는 건 경찰이 할 일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회의에 참석한 남동서의 한 관계자는 의견 수렴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수준이었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경찰은 인원 부족에 대비해 기존 정문~담장 라인이 아닌 시청사 본청 중앙현관만 방어하는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정문~담장 라인 안쪽 공공청사 부지는 집회시위가 불가능한 곳이라 경찰이 이 같은 방어법을 택하면 불법을 방조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 밖에 없다. 경찰 관계자는 시청 청원경찰 수는 단 1명도 늘릴 계획이 없으면서 경찰력에 기댄 생색내기식 행정이라며 확 트인 시청은 청원경찰 30~40명으로 일반 집회 통제도 힘들다. 경찰에 대한 지원 요청이 빗발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5개 시나리오 대로 하면 시청사 방호에 문제가 없다며 다만 보안상 공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변경된 열차 시간표를 확인하는 시민들

시민들로 붐비는 소래포구

형형색색 천연 염색체험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지구

명유석 디자이너 의상을 선보이는 모델들

송석준, “급증하는 개인보증 사고…2014년 대비 36.5배 증가”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개인보증 사고가 깡통전세, 집값 하락, 경기 침체 등 부동산정책의 실패로 최근 들어 폭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이천)이 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개인보증 사고가 총 4천632건, 7천681.2억 원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112건, 93억 원, 2015년 98건, 107억 원, 2016년 327건, 530억 원, 2017년 598건, 927.4억 원, 지난해 1처645건, 2천629.8억 원, 올해 8월 말 기준 1천862건, 3천394억 원 발생해 2014년 대비 금액은 36,5배, 건수는 16.6배 증가했다. 최근 들어 개인보증 사고가 증가한 것은 보증사업 중 큰 비율을 차지하는 주택구입자금보증과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가 폭증했기 때문이다. 2015년 1건, 1억 원에 불과했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가 올해 8월 말 기준 899건, 1천962억 원 발생하는 등 전셋값 하락으로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깡통전세의 영향으로 사고가 급증했다. 또 주택구입자금보증의 경우 2014년 103건, 85억 원이었던 보증사고가 지난해 954건, 1천444억 원, 올해 8월 말 기준 575건 927억 원으로, 대출금을 변제하지 못한 개인이 증가했다. 송 의원은 보증사고가 급증한 것은 깡통전세, 집값 하락, 경기 침체 등으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내집마련과 주거안정을 위해 보증 상품별 특성에 맞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은 정부의 잘못된 부동산 정책을 바로잡는 것이다고 말했다. 김재민기자

킵초게, 인류 최초 마라톤 2시간 벽 돌파…1시간59분40초

엘리우드 킵초게(35케냐)가 인류 사상 최초로 42.195㎞의 마라톤 풀 코스를 2시간 안에 완주했다. 킵초게는 12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 프라터 파크에서 열린 INEOS 1:59 챌린지에서 비공인 1시간59분40.2초를 기록했다. 영국 화학 업체 INEOS는 인간에게 불가능은 없다고 외치며 인류 마라톤 최초의 2시간 돌파를 위해 비공식 마라톤 경기를 개최했다. 목표는 단 하나, 2시간 벽 돌파였다. 42.195㎞의 거리를 제외하고는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제시한 마라톤 규정을 굳이 지키지 않았다. INEOS는 경기 개최일을 12일로 정하고, 남자 마라톤 세계기록(2시간01분39초) 보유자 킵초게를 중심으로 훈련해왔다. 하지만 11일 오전까지 경기 시작 시간을 정하지 않았다. 기온 섭씨 714도, 습도 80% 등 최적의 상황에서 경기를 치르기 위해서였다. 현지시간 12일 오전 8시 15분으로 경기 시작 시간이 결정됐고, 킵초게는 7명의 페이스 메이커와 함께 출발했다. 5명은 킵초게 앞에서 V자를 그리며 달렸고, 2명은 킵초게 좌우 뒤에서 뛰었다. 4㎞를 기준으로 페이스메이커가 교체됐다. 마지막 5.195㎞만 페이스메이커 9조 선수들이 킵초게와 함께 뛰었다. 자전거를 탄 보조 요원들은 킵초게가 필요할 때 음료를 전달했다. 킵초게 앞에 달리는 차는 형광색 빛을 쏘며 속도 조절을 도왔고 결국, 페이스메이커와 여러 기술의 도움 속에 마라톤 2시간 벽 돌파의 숙원을 이뤘다. 목표대로 1시간59분40.2초에 레이스를 마친 킵초게는 인간에게 불가능한 게 없다는 걸 알려서 기쁘다. 많은 사람의 도움 속에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