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방’ 소정희 대표, 자연 속에서 접하는 문화·예술… 색다른 힐링

정서적 안정과 낭만, 힐링의 장소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받는 포천시 고모리 문화마을. 그곳에 가면 음악회, 문화, 아트상품 전시 및 체험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 문화를 자연 속에서 접할 수 있다. 그 중심에는 물꼬방이라는 120여 년 된 한옥 카페가 숲 속에 자리하고 있다. 물꼬방에서는 매주 수준 있은 음악회, 공연, 아트 전시 등이 열리고 있어 좋은 힐링의 공간이 되고 있다. 물꼬방 대표 소정희씨(56)는 23년 전 지금은 고인이 된 남편을 따라 이곳에 왔다. 소 대표는 당시 열악했던 지방 예술문화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지인과 뜻을 모아 고모리 저수지를 기점으로 고모리 691이라는 문화의 거리를 조성, 민속 박물관, 연극 전용 소극장 등을 열었다. 소 대표는 이것이 계기가 돼 지금은 예술협동조합이 구성되고, 수목원 가는 길 문화축제, 수목원 작가회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문화가 이곳에서 펼쳐지고 있다고 말한다. 소 대표는 동덕여대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프랑스에서 무대미술을 공부했다. 2000년 문화체육부 주관, 올해의 젊은 작가로 선정돼 메종 바로크라는 새로운 장르의 퓨전 종합 예술을 시도, 화제가 되기도 했다. 소 대표의 독특한 문화 예술적 작품 세계에 많은 문화 예술인도 자비를 들여 공연하고 있다. 밤이 되면 물꼬방은 화려한 예술 공연장으로 변신한다. 소 대표는 전문성을 띤 문화 공간으로 완성하기 위해 다양한 예술 분야 전문가와 논의하며 교류하고 있다. 언제든 이곳에 오면 자연 속에서 문화 예술을 접할 수 있고, 낭만과 추억을 쌓을 수 있다며 활짝 웃는다. 현재 물꼬방 전시실 갤러리에는 작가가 직접 수작업으로 만든 공예품이 전시되고 있으며, 오는 28일에는 테너 최재혁씨와 피아노 박혜경씨가 주관하는 물꼬방 프랑스 가곡 해설 음악회가 열린다. 포천=김두현기자

B.A.P 힘찬, 강제추행 혐의로 불구속 기소…다음 달 12일 재판

그룹 비에이피(B.A.P) 멤버 힘찬(본명 김힘찬29)이 성추행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앞두고 있다. 25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여성아동범죄조사부(박은정 부장검사)는 지난 4월 힘찬을 강제추행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다. 힘찬은 지난해 7월 24일 새벽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한 펜션에서 20대 여성 A씨를 강제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펜션에는 힘찬과 지인 등 남성 3명과 여성 3명이 함께 있었으며, 술자리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힘찬에게 성추행을 당한 뒤 112에 신고했고, 곧바로 경찰관들이 현장에 출동했다. A씨는 조사 당시 "강제추행을 당했다"고 주장했으나 힘찬은 "서로 호감이 있었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검찰은 양측 주장이 엇갈리자 참고인 진술 등을 두루 살펴 강제추행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힘찬을 불구속기소 했다. 힘찬의 재판은 다음 달 12일 시작된다. 힘찬이 속한 B.A.P는 '노 머시', '대박 사건' 등의 곡으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리더 방용국이, 12월에는 멤버인 젤로까지 탈퇴하며 4인조로 명맥을 이어왔다. 힘찬 등 남은 멤버들의 소속사 전속계약도 올해 2월 만료하면서 B.A.P는 사실상 해체된 상태다. 장영준 기자

“하반기 집값 하락폭 둔화하지만 경기지역 역전세난 심화될 것”

올해 하반기에 주택 매매가격의 하락 폭이 둔화하고, 거래량도 소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은 상반기말 대비 수도권에서 0.3%, 지방에서 0.9% 떨어져 전국적으로 0.6%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상반기 주택매매가격은 작년 하반기말 대비 수도권에서 0.9%, 지방에서 0.9% 하락해 전국적으로 가격이 0.9%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김덕례 주산연 주택정책실장은 올해 상반기는 913대책의 영향 지속, 보유세 강화 논란, 3기 신도시 발표에 따른 지역갈등 확산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전국적으로 주택시장 침체가 깊어졌던 시기라고 진단했다. 이어 하반기는 시장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일부 해소되면서 주택가격 하락 폭이 둔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의 주택가격은 2분기(46월) 들어 하락 폭이 크게 둔화하고 있어 지난해 수준의 외부 요인이 없다면 가을 시장을 지나면서 보합이나 강보합이 형성될 수 있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다만, 하반기 주택 전세가격은 상반기보다 하락 폭은 둔화하나 여전히 침체를 지속하면서 전국적으로 상반기 말 대비 1.0%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산연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수도권에서의 주택매매 거래 감소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약 40만건의 거래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작년 하반기 거래실적 41만8천건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지만 상반기 거래량 전망치 36만건보다 늘어난 양이다. 지난 14월 현재 주택매매 거래량은 20만2천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6%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주산연은 이처럼 2012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했던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하반기 주택가격 하락 폭은 둔화할 것으로 보면서도 입주 물량이 여전히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 울산, 부산, 강원, 경상 지역은 역전세난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실장은 "입주 물량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지만, 누적 물량이 여전히 많은 수준이라 미입주 리스크와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미분양관리 정책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