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청장, 장례식 다음날 노래방서 여직원 성추행 의혹

이재현 인천시 서구청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구청 직원의 장례식 다음 날 단체 회식을 하고 여직원에게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구청장은 이 같은 의혹이 불거지자 직원들 격려 차원에서 회식한 것은 맞지만 성추행이나 성희롱은 없었다고 즉각 해명했다. 20일 인천시 서구에 따르면 이 구청장은 지난 11일 구청 기획예산실 직원들을 격려하는 회식 자리를 가졌다. 서구청 소속 한 직원이 구청 공영주차장 타워에서 스스로 뛰어내려 목숨을 끊고 장례식을 치른 다음 날이다. 이 구청장은 당시 식당에서 직원 30여명과 저녁을 먹은 뒤 노래방으로 자리를 옮겨 회식을 이어 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지역 정치권은 이 구청장이 회식 자리에서 여직원에게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하고 춤을 함께 출 것을 강요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성희롱을 당한 여직원이 항의하자 간부 직원들이 이를 무마하기 위해 회유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 구청장은 20일 오전 입장문을 내고 "민선 7기 정책의 핵심 역할을 하는 기획예산실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시간이었고 지난해부터 수차례 연기되다 일정상 어렵게 마련한 자리였다"고 회식을 한 사실을 인정했다. 이어 "직원의 장례식 다음 날 회식을 하고 노래방을 간 것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으며 서구 행정의 책임자로서 통렬하게 반성하고 있다"고 사과했다. 그러나 여직원에 대한 성희롱은 사실무근이라며 허위 사실을 유포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공개된 장소에서 30여명의 직원이 모두 함께 식사했고 식당에서 여직원에게 뽀뽀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그 여직원은 본인이 술이 과해 실수했다고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노래방에서 남녀 모든 직원의 등을 두드려주며 포옹을 했고 그 과정에서 특히 고생이 많았던 몇몇 남녀 직원들 볼에 고마움을 표현했다"며 "그 밖의 신체적 접촉은 사실이 아니며 있지도 않은 일을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한다면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룽유동굴, 연못에 잠겼던 2천년 전 미스터리는?

'서프라이즈'에서 2000년 동안 연못에 잠들었던 롱유동굴의 미스터리를 조명했다. 20일 방송된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이하 '서프라이즈')에서는 룽유동굴이 전파를 탔다. 1992년 중국 저장성 룽유 지역 시얀 베이쿤 마을에 전 세계 기자들이 모였다. 우아나이라는 주민이 연못에서 동굴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 마을의 연못은 겉으로 보기엔 평범했으나 연못에 바닥이 존재하지 않아 끝이 없다는 전설이 존재했다. 이에 우안아이가 대형 펌프를 구입해 연못의 물을 빼낸 결과 연못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게 아닌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 동굴이 발견된 것. 높이 30m, 면적 3만 평이 넘는 거대한 동굴이었다. 이에 혹시나 해 우아나이는 다른 연못들의 물도 빼내기 시작했고, 놀랍게도 다른 연못에서도 연달아 동굴들이 발견됐다. 이 동굴들 역시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동굴로 총 24개의 동굴이 발견됐다. 구체적인 조사를 위해 파견된 조사단은 룽유동굴이 2000여 년 전 만들어졌으며 이어지는 통로는 없었으나 50cm의 얇은 벽을 사이에 두고 완벽한 대칭으로 이뤄졌다고 했다. 또한 동굴의 계단과 기둥에는 정교한 인물상과 동물, 상징물이 존재하고 동굴 내부에 석실, 교량, 배수로 등 편의시설까지 존재해 누군가 실제 거주하거나 일정 기간 머물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조사단은 이 동굴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1000명의 사람이 6년 동안 24시간 쉬지 않고 일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기록에 특화된 중국에서 이 같이 거대한 동굴이 24개나 만들어졌음에도 언제 누가 만든 것인지 어떤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는 점, 과거부터 룽유는 홍수, 지진, 전쟁 등에 노출돼 인근의 산도 형태가 바뀌었을 정도인데 그 오랜 세월 동안 24개 동굴 모두 어떤 재해의 영향을 받은 흔적도 없이 완벽한 상태로 보존돼 있어 의문을 자아냈다. 고대 중국과 서역의 교류가 있던 시기 지어졌던 3대 석굴이 있는데 룽유동굴의 크기와 형태가 지어진 시기와 비슷하다는 것. 하지만 룽유동굴에서는 불교와 관련된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24개 동굴 중 5개만 개방해 관광객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설소영 기자

염정아 1위, 현빈·송혜교 제쳤다…'SKY캐슬' 파워

드라마 배우 브랜드평판 2019년 1월 빅데이터 분석 결과, 1위 염정아 2위 현빈 3위 송혜교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일 "2018년 12월 18부터 2019년 1월 19일까지 방영한 드라마에 출연중인 배우 100명의 브랜드 빅데이터 268,088,08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참여량, 미디어량, 소통량을 측정하였다. 지난2018년 12월 배우 브랜드 빅데이터 252,037,010개와 비교하면 6.38% 증가했다. 드라마 배우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을 평판 분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커뮤니티가치, 소셜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은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의 출처와 관심도, 소비자들의 관심과 소통량, 이슈에 대한 커뮤니티 확산, 콘텐츠에 대한 반응과 인기도를 측정할 수 있다. 2019년 1월 드라마배우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염정아, 현빈, 송혜교, 박보검, 유이, 조보아, 박신혜, 왕석현, 장나라, 유승호, 오나라, 여진구, 김유정, 김서형, 윤세아, 이시영, 신성록, 김선아, 찬열, 최진혁, 정준호, 이태리, 양세종, 유연석, 전소민, 이설, 이세영, 고현정, 이태란, 김진우 순이었다. 1위 염정아 브랜드는 참여지수 1,372,024 미디어지수 3,513,112 소통지수 2,794,528 커뮤니티지수 2,282,60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962,269로 분석되었다. 2위 현빈 브랜드는 참여지수 2,894,066 미디어지수 2,788,296 소통지수 1,695,680 커뮤니티지수 2,233,46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611,504 로 분석되었다. 3위 송혜교 브랜드는 참여지수 1,746,374 미디어지수 2,978,220 소통지수 3,207,168 커뮤니티지수 1,676,911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608,673로 분석되었다. 4위 박보검 브랜드는 참여지수 1,933,351 미디어지수 2,855,088 소통지수 2,242,528 커뮤니티지수 2,345,178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376,145로 분석되었다. 5위 유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831,162 미디어지수 3,082,884 소통지수 3,204,288 커뮤니티지수 1,530,746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649,080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19년 1월 드라마배우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드라마 'SKY 캐슬'로 소비자들에게 관심을 모으는 염정아 브랜드가 1위로 분석되었다. 염정아 브랜드는 빅데이터 링크 분석에서 '연기잘하다, 설득력있다, 부럽다'가 높게 나왔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SKY 캐슬, 정준호, 김서형'이 높게 나왔다. 긍부정비율분석에서는 긍정비율 63.89%로 분석되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설소영 기자

대구 이어 안산서도 홍역 확진 잇따라…보건당국 '긴장'

대구와 안산 등 전국에서 홍역 확진 환자들이 잇따라 나오면서 보건당국이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하고 감염 경로 파악에 나서는 등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20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안산시에서 04세 영유아 5명이 홍역에 걸렸다. 또 의심증상자 7명에 대해서도 검사를 의뢰하고 집중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홍역 확진자 중 2명은 어린이집 2곳에 다니는 어린이로 알려졌으며, 일부는 지난 11일 시흥에서 홍역 환자로 확진된 생후 8개월 된 영아와 접촉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지난달 24일 안양에서 홍역 확진 환자가 발생한 이후 3주간 추가 환자가 발생하지 않아 지난 13일 홍역 감시체계를 해제한 바 있다. 안양에 거주하는 A씨는 태국에서 봉사활동을 마치고 지난달 9일 귀국한 뒤 열흘이 지나 홍역 의심증세로 병원에 검사를 의뢰했고, 지난달 24일 확진 진단을 받았다. 홍역 감시체계가 종료된 지 며칠 만에 안산에서 또다시 홍역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서 도는 앞으로 6주 동안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확진이 확인된 18일 이후부터 관련 의료기관 종사자 및 방문자, 어린이 등 접촉자 400여명에 대해 역학조사에 나섰다"며 "입원 환자는 격리 조치하고 선별진료소를 설치 운영하는 등 확산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에서도 홍역 확진 환자들이 계속해 발생하는 추세다. 지난 19일 동구 한 소아과의원과 문화센터를 방문한 생후 9개월 된 남자아이가 홍역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금까지 대구경북의 홍역 확진자는 16명으로 알려졌다. 2030대 성인이 8명, 영유아가 8명이다. 대구시는 홍역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상대로 증상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홍역은 초기에 감기처럼 기침, 콧물, 결막염 등 증상이 나타나고 고열과 함께 얼굴에서 시작해 온몸에 발진이 나타난다. 홍역 의심 증상을 보이면 가까운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문의하면 된다. 연합뉴스

트럼프·김정은 '核담판 2.0' 무대는…베트남으로 가닥잡힌 듯

'세기의 담판'으로 불린 지난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의 맥을 잇게 될 '북미 핵 담판 2.0'의 큰 얼개가 짜인 모양새이다. 특히 '2월 말 시간표'가 정해진 가운데 8개 월만의 재회 무대는 베트남으로 사실상 가닥이 잡혀가는 듯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미했던 '복심'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워싱턴 담판'에서 막바지 조율이 이뤄진 데 따른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김 부위원장과의 백악관 회동 다음 날인 19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아마도 2월 말 언젠가에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나라를 골랐지만(We've picked the country), 추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의 '90분 면담' 뒤 "2차 정상회담은 2월 말께 열릴 것"이라며 회담 장소에 대해선 추후에 발표될 것이라고만 했다. 백악관 면담의 결과물로 정상회담 계획이 발표될 것이라는 당초 예상이 어긋나면서 일각에서는 '로지스틱스'(실행계획) 문제에 대한 북미 간 신경전으로 막판 진통이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구체적 날짜와 시간이 발표되지 않은 데 대해 "양측이 장소 또는 다른 실행계획(로지스틱스) 상의 세부사항을 놓고 여전히 실랑이했음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라고 풀이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으로 로지스틱스의 핵심인 시간과 장소 문제에 대한 조율이 일차적으로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이번 김 부위원장 방미의 일차목적인 2차 북미 정상회담 준비였다는 관점에서 보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았지만, 북미 양측에서 봤을 때 접근성과 상징성을 동시에 갖춘 베트남으로 낙점될 것이라는 관측이 커지고 있다. 한 외교소식통은 "사실상 베트남으로 굳혀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개최국이 어딘지 부연하지 않았지만, 베트남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검토돼 왔다"고 보도했다. 그동안 회담 장소로는 베트남 외에 방콕과 하와이 등이 거론돼 왔다. CNN방송은 지난 8일 미 백악관이 2차 정상회담 장소 선정을 위해 태국 방콕과 베트남 하노이, 하와이를 답사했다고 보도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베트남과 태국을 선택지로 제시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베트남으로 최종 낙점된다면 구체적인 개최 도시로는 당초 수도인 하노이가 유력하게 거론돼왔지만, 현지 외교가 등에서는 보안과 경호 문제 등을 감안해 다낭 개최설에 점차 무게가 실린다는 전망도 나온다. 만약 설 연휴(2월48일) 이전에 개최된다면 촉박한 준비시간 등으로 수도 하노이를 벗어나기 어렵지만, 일정이 2월 말로 잡히면 시간적 여유가 생기면서 다낭에서의 개최 준비도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도 최근 다낭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가 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하노이는 베트남의 수도로 북한 대사관이 있는 곳으로, 김 위원장의 전용기 '참매 1호'기의 항속거리 등을 고려해 초기부터 거론돼왔다. 유명관광지가 밀집한 휴양지인 다낭은 베트남전 당시 전투가 가장 치열하게 벌어져 상흔이 많은 베트남 중부 최대 상업 도시이다. 두 곳 모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경험이 있고, 회담을 위한 인프라도 잘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차 회담이 베트남으로 최종 확정되면 1차 싱가포르 때에 이어 두 차례 모두 북미 정상회담이 김 위원장의 '비행거리'를 고려,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게 된다. 베트남은 베트남전 당시 미국의 적대국이었지만 이후 베트남이 미군 유해송환 등을 통해 신뢰를 구축, 미국과 국교를 정상화한 뒤 경제성장을 이룬 역사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70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려는 현 북미 협상 국면에서 상징성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선(先)비핵화-후(後) 경제번영 지원'을 강조해온 미국은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베트남을 북한의 롤모델로 거론하며 '베트남의 길'을 가라고 '권고'해왔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도 지난해 11월 말12월 초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베트남식 개혁개방 모델인 '도이머이' 관련 현장을 직접 참관, 벤치마킹에 나선 바 있다. 또한 김 위원장이 설 연휴 베트남을 국빈 방문할 것이라는 고가통신 보도가 최근 나오면서 정상회담과의 상관관계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나라가 정해졌다면서도 이번에 발표하지 않은 배경도 주목된다. 일단 보안경호상의 이유와 함께 김 부위원장의 북한 귀환 일정을 감안, 김 위원장에게 '워싱턴 담판'의 결과를 보고한 이후로 발표 시기를 조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상회담 장소와 날짜에 대해 김 위원장의 ' 답안지'를 토대로 한 워싱턴 조율결과를 김 부위원장이 다시 공식 '추인'하는 절차를 고려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 때에도 북미 협상을 총괄하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2차 방북을 통해 김 위원장과 날짜를 정하고 나서 돌아온 직후인 5월 10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를 통해 날짜와 장소가 공개된 바 있다. 당시 발표가 정상회담 33일 전에 이뤄진 점에 비춰보면 '2월 말'로 예정된 이번 2차 핵 담판의 날짜장소 발표도 이르면 내주께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하노이냐 다냥이냐를 놓고 양측의 선호가 갈리면서 막판 세부 조율사항이 남은 게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오는 22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스티븐 비건-최선희 라인'의 실무협상 채널에서 남은 조율을 마저한 뒤 발표하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국무부가 김 부위원장의 이번 방미 국면에서 극도로 말을 아끼며 신중 모드를 이어온 가운데 장소 선정 작업도 1차 때보다는 조용히 이뤄지는 분위기이다. 1차 때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직접 트위터에 "많은 나라가 회담 장소로 검토되고 있지만 남북한 접경 지역인 (판문점 내) 평화의 집/자유의 집이 제3국보다 더 대표성을 띠고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장소일까. 한번 물어본다"며 공개질의에 나서면서 싱가포르, 몽골 등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한때 판문점이부상하는 등 장소 물색 작업도 한층 떠들썩하게 진행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