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구 칼럼] KAI의 위기, 대통령 측근 사장의 무능·무책임

KAI(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나쁜 소식이 전해졌다. 2천500억원 수출이 날아갔다. 기동헬기 수리온을 팔려던 협상이었다. 필리핀이 상대국가였다. 계약고 2천500억원을 넘어서는 기대 효과까지 있었다. 그동안 키워온 동남아 시장에 대한 점유율 확장이었다. 2018년 내내 걸었던 기대가 크다. 방한한 두테르테 대통령을 국방부로 모시고 간 적도 있다. 급하게 전시한 수리온 헬기를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그만큼 절박했던 입찰이었다. 이게 처음도 아니다. 2018년 9월에도 졌다. 당시 발주국은 미국이었다. 미 공군 훈련기 교체 사업이었다. 사업비만 18조원에 달했다. 웬만한 대기업의 1년치 수출액이다. 향후 세계 훈련기 시장의 점유율을 좌우할 중대 고비였다. 단군 이래 최대 건이라는 평도 나왔다. 여건은 좋았다. T-50 훈련기라는 검증된 제품이 있었다. 록히드마틴사라는 든든한 컨소시엄도 있었다. 그런데 탈락했다. 보잉사와 손잡은 스웨덴 경쟁사에 졌다. 그때 KAI가 내놨던 해명이 생생하다. 상대의 터무니 없는 저가 공세 때문에 졌다. 그 가격에는 남는 게 없어 (수주했어도) 안했을 것이다. 말 같지도 않은 핑계다. 시장에서 콩나물을 살 때도 따지는 게 가격이다. 가격에 졌다면 입찰 전체에서 졌다는 말이다. 그 가격에는 줘도 안 하려 했다도 말장난이다. 그럴 거면 왜 하루 전까지 매달렸나-당시 낙찰 실패의 문제점은 본 칼럼란에서 이미 지적했으니 이번엔 생략하겠다-. 이번에는 어떤 핑계를 내놓을까. 아직 공식적인 해명은 없다. 대신 난데 없는 기사(記事)가 등장했다. KAI, 4천억원대 여객기 날개 부품 수주 2018 수주액 전년보다 1조1천억 늘어 매출액 6천억원 증가. 경제지 두어 곳에 동시에 실렸다. 회계 결산 시기도 아닌데 뜬금없다. 그래서 읽어봤다. 황당하다. 수주했다가 아니라 수주할 것 같다다. 늘어났다가 아니라 늘어날 것 같다다. 증가했다가 아니라 증가할 것 같다다. 뭐 하는 건가. KAI의 주력품은 완제기(完製機)다. 수십년간 개발해온 T-50 계열의 고등훈련기, 수리온 계열의 헬기가 자랑이다. 동남아-인도네시아(2011년ㆍ4천400억원), 필리핀(2014년ㆍ4천700억원), 태국(2015~2016년ㆍ4천100억원)-에 판 것도 다 완제기였다. 2020년 세계 15대 항공기업이라는 목표가 있다. 이 목표도 완제기 수출을 전제로 한다. 이 핵심 사업의 축이 무너지고 있다. 이 와중에 웬 확정도 안 된 실적 자랑질인가. 혹세무민(惑世誣民ㆍ그릇된 이론을 이용해 사람들을 속임)에 다름아니다. KAI의 주인은 국민이다. 한국수출입은행, 국민연금공단이 1, 2주주다. 여기서 오는 숙명이 있다. 늘 권력의 먹잇감이었다. 권력의 낙하산들이 차고 내려왔다. 박근혜의 사람 하성용도 그런 사장이었다. 문재인 정부가 적폐라고 규정했다. 1호 적폐 수사의 칼을 겨눴다. 하 사장은 구속됐고, 부사장은 자살했다. 그런데 그렇게 비워진 자리에 문재인의 사람이 내려왔다. 방산업(防産業)과는 전혀 무관한 감사원 출신, 김조원 사장이다. 그 김 사장 이후, 건 건마다 패배한다. 18조짜리 날렸고, 2천500억짜리 날렸다. 실패가 반복되면 그건 무능이다. 그 무능이 입증되면 그땐 책임이 남는다. 수주 실패의 책임자는 사장이다. 김조원 사장이 책임져야 한다. 책임지는 시늉이라도 해야 한다. 그런 데 없다. 말 안 되는 저가 입찰 핑계로 넘어가더니, 이제 확정 안 된 실적 뿌려대며 덮고 가려 한다. 대통령 눈치보는 1주주(한국수출입은행), 2주주(국민연금)도 입을 닫았다. 걱정이다. 큰 일이다. 이러려고 그 요란 떨며 적폐 수사했나. 분식회계 누명 씌우고, 자살까지 몰고 가며 몰아붙이던 개혁의 끝 모습이 겨우 이 건가. 새해 벽두에 뿌려진 수리온, 2천500억 필리핀 수출 무산 기사, 그 후 난데없이 뿌려진 KAI 4천억원대 수주 임박 기사. 그 기사들 밑에는 지금 이런 댓글들이 붙어 있다. 연이은 수주 실패 덮으려고 쉴드 치지 마라 세금 들여 만든 군수사업 다 말아먹고 있다. 김조원 사장 무능 때문이다. 主筆

[삶과 종교] 새해 ‘손가락 하나’를 세워 올리며

새해가 밝았다. 새해에는 무엇을 결심하고 계획하는지를 생각하고 또 말들을 한다. 나는 지천명(知天命)을 넘긴 지난해에 이어 이 생에서 내게 주어진 길은 과연 무엇인지 물어본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답답했다. 왜인지는 모르는데, 답답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다니면서 또 더 나이가 들면서 그 답답함이 어디로부터 오는지를 희미하게나마 알아는 것 같다. 길을 잃은 것 같으면서도 어찌어찌 길을 찾아가는 듯했다. 전등록(傳燈錄) 권11에 따르면, 9세기 무렵 무주(州) 사람인 구지(俱) 선사가 살았다. 구지가 젊은 날 좌선으로 일관하면서 용맹정진(勇猛精進)하던 시절 한 비구니가 그를 찾아와 세 바퀴를 돈 다음 한 마디를 제대로 한다면 갓을 벗겠다고 했다. 그러나 구지 선사는 그 한 마디를 하지 못했다. 말문이 막혔다. 그 한 마디가 무엇인지 구지에게는 화두가 되었다. 천룡 선사를 만나 깨닫기까지 그의 수행이나 고뇌에 찬 이야기는 알 수 없지만 추측은 할 수 있다. 그는 여러 선지식을 찾아다니고, 열심히 공부했지만 역시 어둡고 희미한 길을 가면서 잘 가고 있는지 회의에 빠졌을 것이다. 마침내 그는 천룡(天龍) 선사를 만나 깨달았다고 한다. 구지는 입적할 때까지 천룡 선사의 손가락 하나를 세워 올리는 것을 통해 깨달았고, 그것을 평생동안 써도 다 못썼다고 하고 입적했다. 무문관(無門關) 3칙 구지수지(俱指竪指) 이야기는 구지가 자신을 따라하는 한 사미승을 깨우친 이야기다. 구지 선사는 누가 무엇을 물어도 항상 손가락 하나만을 세웠다. 그러던 중 어느 날 한 방문객이 한 사미승에게 선사는 어떤 법요(法要)를 가르쳐주는가? 하고 물었다. 이에 사미승은 역시 손가락 하나를 세워 보였다. 나중에 선사는 이 말을 듣고 그 사미승에게 물었고, 사미승이 손가락을 세워 올렸다. 그 순간 선사는 이 사미승의 손가락을 잘라버렸다. 이 사미승은 너무 놀랐고 너무 아팠다. 통곡을 하며 달아났다. 그때 선사가 그 사미승을 불렀다. 이 사미승이 머리를 돌리자, 그때 선사가 손가락 하나를 세워 보였다. 그 순간 그 사미승은 바로 깨쳤다. 보통 이 이야기를 들으면 구지의 행동이 괴팍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사미승이 구지 선사의 손가락을 따라한 것은, 구지 선사의 손가락만 보았기 때문이다. 견지망월(見指忘月), 달을 보라 가리켰더니 달을 가리킨 손가락만 쳐다보는 꼴이다. 사미승의 손가락을 잘라낸 것은 손가락에 대한 집착을 놓고 달을 보라는 구지의 극약처방이었다. 사미승이 고개를 돌려 선사가 세운 손가락을 보았을 때, 사미승은 더 이상 없는 손가락이 아닌 손가락 너머의 달을 마주한 것이다. 깨친 후 나와 세상은 무엇이 달라질까? 달라지는 것은 없다. 그런데 다른 한편 완전히 다른 나,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된다. 하루하루 일상을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일들이 여전히 똑같이 일어난다. 배도 고프고, 졸리기도 하다. 그런데 배고프면 밥 먹고, 졸리면 잠자는 것이 일상의 권태로운 일이 아니라, 늘 새로운 일이 된다. 일상(日常)이 곧 비상(非常)이 된다. 김원명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천자춘추] 아파트 베란다에서 장보기

최근에 석좌교수님의 강의를 들었다.건물7층에 햄버거 가게가 성업 중이라고 한다.인터넷,스마트폰으로 햄버거를 주문한 젊은이들이 예약시각 햄버거 가게가 있는7층 건물의 현관에 와서7층에 있는 가게를 올려다보며 사인을 보내면 즉시 비닐 낙하산에 매단 햄버거가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것이다.건물 7층은1층보다 임대료가 저렴해 업주에게 유리하고 젊은 손님들은 늘1층에서 만나는 햄버거 가게보다7층에서 비닐 낙하산에 매달아 던지는 햄버거를 받아먹는 이벤트가게를 더 좋아한다고 한다. 25년 전에 이와 비슷한 아이템이 있었다.1994년경 우리 부부 쌍둥이 남매가4살이던 시절에 주공아파트4층에 살았다.토요일이나 일요일에 아내는 밀린 일을 보기 위해 외출하였고 아이들과 셋이 있는 상황에서딸랑딸랑鐘을 흔드시는 두부장수가 오면 두부 한모를 사고 싶었다.그런데아이들만 집에 두고 밖에 나갔다 오기에는걱정되고,엄마 아빠 아무도 없으면 아이들이 놀랄 수 있다.그래서작은 아이디어를 냈다. 일단 두부장수 딸랑이가 들리면 베란다로 나가서 큰소리로 외친다.사장님!여기 두부 한모 주세요.사장님은 주변을 두리번거리지만 사람은 보이지 않고 두부 한모 달라는 외침소리만 들린다.여기요4층입니다.사장님은 고개를 들고 바라보니 웬 남자가 베란다에서 두부 한모를 주문한다.턱을 올리고 고개를 들어4층을 바라보시는 그 두부장사 아줌마의표정이 참으로 애매하다.두부 한모를4층까지 배달해야 하나 말아야 하는가 하는 표정이다. 이때 들고 있던 바구니를 휙 던진다.미리 빨랫줄 길이를4층 바닥에 닿을락 말락하게 맞춰두었으므로 빨래집게에1천원을 물린 채 바구니가1층으로 내려지는 것이다.두부한모를 담아주고400원 거스름돈을 바구니에 넣고1천원을 받는다.그리고 밝은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인다.당기라는 신호다. 줄줄줄 줄을 당기면 따끈한 두부 한모를 아파트4층 베란다를 통해 받을 수 있다.처음에는 아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창피하다고 하면서 말렸지만 몇 번 시도하는 것을 보더니 나중에는 아내도 딸랑 소리가 들리면1천원을 바구니에 넣어서 두부를 사 올렸다고 한다.작은 아이디어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이다.이제 몇 년 안에 두부는 물론 피자와 치킨이 드론을 타고 와 우리 아파트 창문을 두드릴 날도 멀지 않았다. 이강석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경기만평] 북미회담 예상도…

지상작전사령부 창설식

조해주 중앙선관위원 후보자 청문회, 한국·바른미래당 보이콧으로 난항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 후보자에 대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인사청문회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은 9일 오전 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인화 의원만 참석한 상태로 청문회를 개의했으나, 한국당바른미래당 의원들의 불참으로 의사진행발언만 청취한 뒤 30여 분 만에 정회를 선언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제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 캠프 공명선거 특별보좌관으로 활동한 조 후보자의 경력을 문제 삼으며 청문회 참석을 거부했다. 민주당 김병관 의원(성남 분당갑)은 조 후보자의 이름이 대선 백서에 들어있는 것을 문제 삼는데 아직 본인인지 아닌지 확인이 안된 상황이고 본인도 활동한 바 없다고 얘기한다며 당에서도 공식적으로 활동한 바 없고 특보로 임명한 적 없다고 확인서까지 발급했는데 이를 부정하고 의심하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민주평화당 정 의원은 사실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청문회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왔다면서 절름발이 청문회는 모양도 좋지 않고 다양한 질문이 나올 수 없으니 정회를 해서라도 야당을 회의장에 불러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한국당 행안위 소속 의원들은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의 캠프 특보 출신 조 후보자의 선관위원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며 대통령의 결단 이전에라도 조 후보자는 정치에 관여한 사실을 스스로 인정하고 후보자 자리에서 자진 사퇴하는 것이 최소한의 양심을 지키는 일이라고 촉구했다. 한국당은 문 대통령이 중앙선관위원으로 지명한 조 후보자가 민주당이 지난해 9월29일 발간한 대선 백서에 공명선거 특보로 올라 있다며, 중대한 결격사유라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 권은희 행안위 간사도 기자회견을 통해 백서 발간 책임자나 캠프에서 활동한 적이 없다는 확인서를 발급한 민주당 관계자를 증인으로 출석시켜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며 민주당의 경위 설명과 증인 출석 요구에 대한 답변을 검토해 청문회 참석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권 간사는 또 나무위키에 올라있던 (조 후보자) 관련 내용도 지난해 12월28일 삭제돼 은폐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금민기자

경기지역 8개 버스 노사 ‘마지막 협상’

인천 내항 일원 미래비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