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권 대출 연체율 두 달 연속 상승

국내 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신규연체 채권이 크게 늘면서 1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은 지난 5월 말 0.62%로 4월 말(0.59%)보다 0.03%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 2016년 10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전년 동월(0.58%) 대비로도 0.04%포인트 상승했다. 신규 연체 발생액(1조 4천억 원)이 연체채권 정리규모(8천억 원)를 웃돌아 연체채권 잔액(9조 6천억 원)이 6천억 원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차주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91%를 기록, 전월 말 대비 0.05%포인트 올랐다. 대기업 연체율은 1.81%로 0.05%포인트 올랐다. 성동조선해양의 회생 절차 개시로 지난 4월 대기업 연체율이 0.45%에서 1.76%로 급등했으며 이 여파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9%로 전월 말(0.64%)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0.28%)은 전월 말(0.27%) 대비 0.01%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19%로 지난 4월 말(0.19%)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0.50%)은 0.04%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향후 시장금리 상승 등에 따른 연체 증가에 대비해 신규 연체 발생 추이를 지속해서 모니터링 하겠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분양시장 활황에 개인집단대출 3개월 연속 1조원대 증가

최근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고 신규분양시장이 활황을 띠면서 집단대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달 개인집단대출은 121조 3천153억 원으로 전달보다 1조 5천318억 원 늘었다. 이는 지난해 7월 1조 5천530억 원 늘어난 이후 11개월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집단대출은 아파트 분양 계약자와 재건축 아파트 조합원 전체에게 일괄적으로 빌려주는 중도금, 이주비, 잔금 대출 등을 뜻한다. 올 들어 집단대출은 지난 3월 7천42억 원이 늘며 전월 대비 증가세로 돌아선 후 4월 1조 573억 원, 5월 1조 947억 원에 이어 6월까지 3개월 연속 증가액이 확대되고 있다. 또 증가액이 4∼6월 3개월 연속 1조 원대를 넘어선 것도 드문 일이다. 집단대출이 3월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우선 아파트 입주 물량 확대 때문으로 풀이된다. 입주할 때 내야 할 잔금의 비중이 분양가의 30∼40%인 데다가 중도금 대출도 잔금 대출로 돌리기 때문에 입주 시기 대출 수요가 늘어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준공 기준으로 1~5월 아파트 입주 물량이 18만 8천26가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55.8% 증가했다. 입주 예정 물량으로는 4~6월 전국 10만 5천121가구로 작년 동기보다 12.6%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공급 물량은 5만 4천323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45.1% 늘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집단대출이 증가한 가장 큰 원인은 입주 아파트 물량이 지난해 37만 가구에서 올해 44만 가구 가량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파트 매매시장과 달리 최근 달아오른 분양시장의 열기도 집단대출 증가세에 일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5월까지 공동주택 분양은 모두 12만 182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29.6% 증가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집계한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3월 40%, 4월 137%, 5월 84%로 늘어나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분양은 시차를 두고 집단대출 수요에 반영돼 올 상반기 분양의 중도금 대출은 이르면 6월부터 시작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포토 에세이] 나의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