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투3 최강창민 "동반신기 아닌 슈퍼주니어 멤버 되고 싶었어"

가수 최강창민은 "동반신기가 아닌 슈퍼주니어 멤버가 되고 싶었다"고 밝혔다.최강창민은 5일 방송될 KBS 2TV '해피투게더3' 녹화에서 "목표지향적이고 열정이 넘치는 유노윤호와 단둘이 있다 보니 슈퍼주니어의 자유로운 분위기가 부러웠다"며 이렇게 말했다.최강창민은 이어 "한 번 정도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슈퍼주니어 멤버로 활동하고 싶었다"고 덧붙여 웃음을 유발하기도 했다.이에 유노윤호는"동방신기라는 브랜드를 힘겹게 만들었는데 왜 굳이 다른 그룹에 가서 해야 하냐" 발끈했고, 최강창민은 "웃자고 한 말에 죽자고 달려든다"며 고개를 가로저어 또 한 번현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는 후문.최강창민은 또유노윤호와서로 정반대의성격 소유자임을 밝혔다.최강창민은 "윤호 형이 너무 혈기왕성해서 힘들다. 저희 사이에서 윤호 형은 열정 재벌, 열정 만수르로 불린다"고 했다.이어본인의 성격에 대해 "경쟁이 싫다. 한 발자국 뒤로 물러서는 게 좋다"고 설명해 유노윤호와 성격차이가 있음을 표현했다.MC 유재석은 이런 동반신기 멤버들의 발언에 "동반신기가 알고 보니 개그듀오"라며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웠다고 한다.조성필기자

외래 붉은불개미 대응 총력전…34개 항만에 덫 설치

정부가 외래 붉은불개미의 확산을 막기 위한 예찰과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국 34개 항만 및 컨테이너기지에 예찰 트랩(덫)을 설치해 조사하고 있다. 의왕·양산 등 내륙컨테이너기지 2곳과 부산신항, 마산항, 속초항, 광양항, 인천항 등으로 조사 범위가 확대됐다. 4일까지 전국 항만에 트랩 2처358개가 설치됐다. 외래 붉은불개미가 발견된 부산항 감만부두에 대한 조사는 전날까지 74%가 완료됐다. 당국은 감만부두를 87개 구역으로 나눠 조사하고 있으며 64개 구역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다. 감만부두에서는 지난달 28일 붉은불개미 25마리가 처음 발견됐으며, 이어 29일 1천여 마리가 서식하는 개미집이 발견됐다. 이후에는 추가로 발견되지 않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개체 규모가 아직 초기 단계 군집이며 다른 지역으로 확산했을 가능성은 작다고 보지만, 연휴 기간 추가 확인과 예찰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오는 9일까지 조사를 완료하기 위해 인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등 예찰 활동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부산항 감만부두에 대한 일제 조사를 애초 12일까지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조기에 끝내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감만부두 컨테이너 소독과 관련해서는 전문방제업체를 신규 투입해 컨테이너 외에 반출 차량까지 소독조치를 하고 있다.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오전 인천항 제4부두 조사 현장을 방문해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연휴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격려했다. 김 장관은 "전국 34개 항만 및 컨테이너기지에 대한 트랩 설치가 이뤄진 만큼 앞으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예찰·관리가 중요하다"며 "국민들은 외출 활동 시에 곤충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해충 발견 시에는 적극적으로 신고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北, 서울 겨냥해 핵무기 한발 쏘면 약 78만명 사망"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이에 맞선 미국의 '군사적 옵션' 거론으로 북미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실제로 북한이 서울을 조준, 250kt 위력의 핵무기 도발을 감행할 경우 단 한발로 약 78만명의 사망자와 277만명의 부상자를 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4일(현지시간) '서울과 도쿄에 대한 가상 핵공격-인명 피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가상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와 같은 수치를 산출해 냈다. 이는 한국의 6·25 전쟁(사망 37만3천599명·부상 22만9천625명·납치 및 실종 38만7천744명)과 일본의 2차 대전(사망 50만∼80만명) 당시의 인명 피해 규모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이번 분석은 북한이 발사 가능한 25개의 핵무기를 보유, 그 전체를 서울과 도쿄 중심부를 향해 쏘아올린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이뤄진 것이다. 핵탄두 1개당 위력의 범주를 15∼250kt(킬로톤)으로 나눠 7개의 시나리오별로 계산했다. 서울과 도쿄의 인구는 각각 2천410만5천명, 3천790만명을 기준으로 했다. 그 결과, 핵무기 단 한 방(250kt 기준)으로 초래될 수 있는 사상자 수는 서울의 경우 사망 78만3천197명, 부상 277만8천9명, 도쿄는 사망 69만7천665명, 부상 247만4천627명으로 예측됐다. 보고서를 낸 마이클 J. 자구렉 주니어는 미사일 시스템의 실제 신뢰도가 100%에 달하기 어렵다는 점과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에 맞선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일본의 '육상형 이지스 시스템'(이지스 어쇼어·Aegis Ashore) 도입 등을 감안해 북한의 핵무기 25개 전체가 요격당하지 않고 명중할 가능성(폭발률, detonation rate)을 20%, 50%, 80%으로 각각 가정해 시뮬레이션 작업을 진행했다. 폭발률 20% 상황에서 핵탄두 위력이 15kt일 때 서울의 인명피해는 사망 22만명, 부상 79만만명, 핵탄두 위력이 250kt일 땐 사망 122만명, 부상 433만명으로 예측됐다. 폭발 가능성 50%에서는 사망 55만명(15kt 기준)∼175만명(250kt), 부상 198만명(15kt)∼623만명(250kt), 80% 상황에서는 사망 88만명(15kt)∼202만명(250kt), 부상317만명(15kt)∼719만명(250kt)이었다. 도쿄 역시 핵탄두 위력이 15kt이라고 가정했을 때 폭발률에 따라 사망 20만∼80만명, 250kt이라고 가정할 땐 사망 87만∼180만명으로 추정됐다. 즉, 서울과 도쿄를 합쳐 사망자 수가 최소 42만명에서 최대 382만명에 달할 수 있다는 추정이 나오는 셈이다. 보고서는 "북한의 가장 최근 핵실험인 지난달 3일 핵실험 위력을 108∼250kt 정도로 보고 북한의 향후 핵무기 위력을 최대 250kt까지로 높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귀경·나들이 차량으로 고속도로 꽉 차…부산→서울 7시간40분

추석 이튿날인 5일 귀경길에 오르거나 나들이를 떠난 차들이 몰리면서 전국 고속도로가 양방향 모두 극심한 정체를 빚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0분 기준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은 양산분기점∼양산나들목, 비룡분기점∼회덕분기점, 죽암휴게소∼청주나들목 등 총 76.6㎞ 구간에서 차량들이 시속 40㎞ 속도도 내지 못한 채 움직이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서울 방향은 고창분기점∼줄포나들목, 동군산나들목∼동서천분기점, 목포나들목∼목포요금소, 당진분기점∼행담도휴게소, 일직분기점∼금천나들목 등 65.8㎞ 구간에서 정체를 빚고 있다. 중부고속도로 하남 방향은 남이분기점∼서청주나들목, 일죽나들목∼호법분기점 등 46.6㎞ 구간에서 차들이 거북이걸음을 했고, 중부내륙고속도로 양평 방향도 총 36.5㎞ 구간을 빠져나가기가 원활하지 않았다. 긴 연휴를 맞아 가까운 곳으로 나들이를 떠난 차량도 많았다.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은 서울요금소∼신갈분기점, 기흥휴게소∼안성휴게소, 잠원나들목∼반포나들목, 망향휴게소∼천안휴게소 등 108.6㎞ 구간에서 차들이 길게 늘어섰다. 서울양양고속도로 양양 방향의 경우, 남춘천나들목∼동산1터널동측, 화촌터널동측∼화촌9터널남측 등을 포함한 48.0㎞ 구간을 빠져나가는 데 평소보다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됐다. 영동고속도로 강릉 방향 역시 동군포나들목∼양지나들목, 여주휴게소∼여주분기점, 문막휴게소∼새말나들목 등 총 89.0㎞ 구간에서 차들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한 채 답답한 흐름을 보였다. 이날 낮 12시 기준으로 승용차로 전국 주요 도시에서 서울요금소까지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부산 7시간 40분, 목포 7시간 10분, 울산 6시간 29분, 광주 6시간, 대구 5시간 23분, 대전 3시간 40분, 강릉 3시간 30분 등이다. 반대로 같은 시각 서울에서 출발하면 부산까지 7시간 50분, 목포 6시간 10분, 울산 4시간 23분, 광주 6시간 10분, 대구 3시간 23분, 대전 4시간, 강릉 4시간 30분 등이 각각 소요된다. 이날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귀경 차량 예상 대수는 61만대이다. 11시 기준으로 이중 16만대가 수도권에 진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대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나간 차량은 18만대로, 앞으로 25만대가 더 빠져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공사 관계자는 "전국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서울에서 지방 방향은 오전 11시∼12시, 지방에서 서울 방향은 오후 5∼6시에 차량 정체가 가장 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송석준, “전동휠, 전동 퀵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 교통사고 3년간 3.4배 늘어”

전동 휠, 전동스케이트보드, 전동 퀵보드, 전기자동차 등 개인 형 이동수단 교통사고가 최근 3년간 3.4배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예결특위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이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 형 이동 수단 교통사고는 2014년 40건에 머무르던 것이 2015년 77건, 지난해 137건으로 최근 3년간 3.4배나 폭증했다. 개인 형 이동수단 보급이 늘어나면서 교통사고도 이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개인형 이동수단의 시장규모는 지난해 6.5만대, 올해 8만대, 2022년에는 30만대까지 확산될 것으로 추산된다. 개인 형 이동수단의 사고유형을 보면, 운전미숙으로 인한 단독사고가 79.8%, 주차된 차량과 충돌하거나 이동 중인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가 14.1%, 보행자와 충돌한 사고가 4.1% 순이었다. 한편, 개인 형 이동수단에 대한 민원도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된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안전관련 민원은 총 297건이었는데, 기능고장이나 부품탈락 등에 의한 ‘제품관련’ 민원이 154건(52%)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넘어지거나 부딪혀서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에 관한 민원이 119건(40%) 순이었다. 하지만 개인 형 이동수단에 관한 법 제도 정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주행방법에 관해서는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이 담당하고, 제품인증에 관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며, 도시교통수요 관리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가 담당하는 등 주부부처가 산재해 효율적인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개인 형 이동수단 교통사고의 피해구제에도 구멍이 뚫려 있긴 마찬가지다. 사고가 나도 피해구제를 위한 법이나 행정규정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관련 보험도 없다. 개인 형 이동수단이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셈이다. 송 의원은 “개인형 이동수단은 친환경적이고, 도로혼잡이나 주차문제, 교통약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이용자가 늘고 있는 만큼, 사고 피해자를 구제를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김명연, “‘쯔쯔가무시’ 진료환자, 10월 가장 급증”

성묘 등 추석 전후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 발병에 대한 예방 백신이 없어 올해 10월도 ‘쯔쯔가무시’가 일 년 중 가장 급증하는 시기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쯔쯔가무시 병’은 진드기의 유충이 피부에 붙어 피를 빨아먹은 부위를 통해 쯔쯔가무시균이 몸에 퍼져 발열, 오한, 두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는 질환으로, 1986년 국내 최초로 발생된 이후 매해 발생하고 있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김명연 의원(안산 단원갑)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월별 쯔쯔가무시 진료인원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쯔쯔가무시 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10월 달에 가장 많이 느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10월의 전월 대비 ‘쯔쯔가무시’ 진료 증가율(증가 건수)을 살펴보면 ▲2012년 약 20배(1만 560건) ▲2013년 약 17배(8천47건) ▲2014년 약 8배(6천441건) ▲2015년 약 13배(5천979건) ▲지난해 약 9배(3천955건)로 매년 10월이 되면 ‘쯔쯔가무시’ 발병 비상이 걸린다. 또한 최근 5년간 평균으로 살펴보면, 10월과 11월의 ‘쯔쯔가무시’ 진료 환자가 각각 7천581명, 9천690명으로 한 해 전체 환자 수인 2만 554명의 무려 8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4년부터는 ‘쯔쯔가무시’ 진료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 ‘쯔쯔가무시’로 인한 진료비도 매년 늘고 있다. 2014년 1만 6천508명, 95억 42만 2천원에서 지난해에는 1만 8천791명, 124억 3천470만 원으로 증가했다. 김 의원은 “쯔쯔가무시는 예방 백신이 없어 물리지 않는 것 외에는 뚜렷한 방법이 없고 재감염 발생 가능성도 높다”면서 “국민 건강권 확보와 건강보험료 지출 절감을 위해서라도 보건 당국은 쯔쯔가무시 예방백신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민기자

민경욱, “우본, 5년간 보험사기자 1천506명에 86억여 원 부당지급”

우정사업본부가 매년 보험사기자 300여명에게 17억여 원을 부당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인천 연수을)이 우정사업본부에서 제출받은 ‘보험사기 부당지급 및 회수금액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3년부터 올해 7월까지 우정사업본부가 보험사기자 1천506명에게 86억7천591만 원을 부당지급 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회수금은 31억9천218만 원에 불과, 회수율은 36.8%에 그쳤다. 연도별로는 2013년 261명, 7억9천113만 원에서 지난해에는 515명 26억2천645만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는 7월말 현재 315명, 25억2천743만 원으로 부당지급액이 이미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문제는 이러한 부당지급에 대한 회수율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56.2%였던 회수율은 2014년 71.6%로 증가했지만, 이후 2015년 47.6%, 지난해 28.6%, 올해 17.1%로 크게 낮아지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회수율 저조에 대해 “보험금 회수를 위해 민사소송 등을 제기해 가압류 조치를 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생계형 보험사기자가 많아 실질적인 회수 조치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민 의원은 “보험사기 방지를 위해 이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며 “철저한 보험사기 예방과 함께 부당지급 된 보험금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홍철호, “행안부, 접경지역발전협의회 구성조차 안해”

현행 ‘접경지역지원특별법’에 따라 접경지역 발전 정책의 개발, 관계 지자체간의 공동개발사업 발굴 등을 협의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운영하게 돼있는 접경지역발전협의회가 구성조차 안 된 것으로 밝혀졌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바른정당 홍철호 의원(김포을)이 행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특별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접경지역발전협의회가 접경지역 발전 정책을 개발하거나 지자체간 공동개발사업 등을 협의한 건수는 단 한 건도 없었다. 이는 정책 개발 및 협의에 앞서 접경지역발전협의회 구성 자체가 안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접경지역발전협의회는 특별법에 따라 인천광역시장, 경기도지사 및 강원도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지역개발, 국토계획 등 관계 민간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참여하도록 규정돼 있다. 이에 대해 행안부는 특별법에 따른 접경지역발전협의회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지만 ‘접경지역 시장·군수 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홍 의원실은 전했다. 하지만 해당 협의회는 특별법에 따른 공식 협의회가 아닐뿐더러 광역단위 각 시·도지사와 연구원장, 교수 등 접경지역 정책 민간전문가들이 참여하지 않는다. 각 시·도지사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시·도내 균형적인 접경지역 발전 정책과 보다 심화된 정책 수립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홍 의원은 “행안부가 일반법보다 우선 적용하는 특별법상의 의무규정까지 준수하지 않으면서 접경지역발전협의회를 구성하지 않았다”면서 “이는 정부가 의회 입법기능을 상실하도록 한 것이며, 열악한 도시 인프라에서 힘들게 생활하는 접경지역 주민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고 강력 비판했다. 홍 의원은 이어 “접경지역발전협의회를 조속히 구성해 접경특화발전지구 지정과 도시철도, 고속도로, 도시가스 등 각종 접경지역 SOC 설치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재민기자

송석준, “고가의료 영상장비 3대 중 1대는 노후화”

최근 5년간 의료기관의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PET(양전자단층촬영) 등 고가영상장비 3대 중 1대는 노후화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이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의료기관이 보유한 CT, MRI, PET는 2013년 3천326대에서 올해 3천635대로 늘어났다. CT는 2013년 1천891대에서 올해 1천954대로 늘어났고, MRI는 2013년 1천228대에서 올해 1천479대로 증가했다. 전체 고가 영상장비(3천635대) 중 노후화된 영상장비(1천165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32%로 3대 중 1대가 노후화 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0년 이상 된 노후 장비는 CT의 경우 655대로 전체의 33.5%였고, MRI는 435대로 29.4%, PET는 75대로 37.1%로 나타났다. 그런데 노후화된 영상장비 대수와 비율이 가장 높은 CT의 재촬영건수도 늘어나고 있다. 1차 CT촬영을 한 후 30일 이내에 다른 의료기관에서 동일병명으로 다시 CT촬영을 한 경우가 2012년 11만 8천808명에서 2015년 13만 2천99명으로 5년 사이 1만 3천291명이 재촬영을 했다. 3년 사이 CT를 재촬영한 사람이 11.2% 증가한 것이다. 특히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CT·MRI 재검사 가이드라인 적용 전 실태조사’ 연구용역결과(2014)에 따르면, 화질불량 등 영상기기의 성능 때문에 재촬영을 한 경우가 11%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노후화된 의료장비의 교체기준인 내구연한 기준 등은 현재 마련되지 않고 있다. 송 의원은 “고가의 영상장비의 노후화로 인한 성능저하 때문에 재촬영을 하게 되면 국민의 의료비 부담은 늘어가고, 건보재정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노후 의료영상장비의 퇴출기준 마련 등 국민들이 성능 높은 의료 영상장비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김재민기자

한미 FTA 개정협상 착수 합의… 김현종 "내주 국회 보고"

한국과 미국이 4일(현지시간) 한미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에 착수하기로 사실상 합의했다.양국 수석대표인 김현종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로버트 라이트 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워싱턴DC에서 FTA 개정 착수 여부를 놓고 특별회기 2차 협상을 벌여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산업부는 협상 뒤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논의 결과, 양측은 한미 FTA의 상호 호혜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FTA의 개정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또 "이에 따라 우리측은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경제적 타당성 평가·공청회·국회보고 등 한미 FTA의 개정협상 개시에 필요한 제반 절차를 착실히 진행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2차 협상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한미 FTA 폐기' 가능성까지 거론하는 등 자국에 유리한 쪽으로의 전면 개정을 요구해왔던 반면 한국은 한미 FTA의 호혜적 성격을 강조하며 협정의 경제적 효과를 먼저 같이 분석하자고 맞서왔다.이에 대해 산업부는 "우리 측은 한미 FTA의 상호호혜성, 한미 FTA와 미 무역적자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하는 FTA 효과분석 내용을 미국과 공유했다"고 밝혔다.양측이 공유한 주요 효과분석 내용은 한미 FTA가 양국교역 및 투자 확대, 시장점유율 증가 등 양국에 상호호혜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난 점과 미국의 대(對)한국 수입보다 한국의 대미 수입과 관세철폐 효과 간 상관관계가 더 크다는 점이 확인됐다는 점 등이다.또 대미 수입 규모가 대폭 증가한 자동차·정밀화학·일반기계·농축산물 등의 품목에서 관세철폐와 수입증가 간 연관성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장기적으로도 한미 FTA를 바탕으로 양국 간 균형된 경제적 혜택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도 공유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조성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