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어린이집 10곳 중 3곳이 CCTV를 일부러 가려 촬영되지 않게 하거나 카메라 초점을 흐리게 하는 등 ‘먹통 CCTV’인 것으로 드러났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3월27일부터 5월19일까지 부천과 용인시 등 도내 7개 시ㆍ군 총 3천197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 1천17개 어린이집에서 1천322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영유아보육법 개정으로 어린이집 CCTV 설치가 의무화된 지난 2015년 이후 처음 실시된 이번 점검에서는 CCTV 설치와 운영, 유지관리 실태의 적법성 여부 등이 집중적으로 점검됐다. 위반사항으로는 CCTV에 저장된 영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60일 이상 저장의무를 위반하는 등의 ‘CCTV 운영 위반’이 664건(50.2%)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의무설치 공간에 CCTV 미설치 및 사각지대 보완 미비 등의 ‘CCTV 설치 위반’ 458건(34.7%), ‘안전성 조치 위반’이 196건(14.8%)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안양의 A 어린이집 등 3곳은 설치된 CCTV의 카메라 방향을 벽 쪽으로 돌려놓아 촬영되지 않게 해 적발됐으며, B 어린이집(안양)과 C 어린이집(용인)은 커튼과 선풍기 등으로 CCTV를 가린 것으로 드러났다. 또 D 어린이집(안양)은 카메라 초점을 흐리게 하는 등 임의로 조작하며 운영 규칙을 위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어린이집 대부분은 교직원의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이 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현재 이번 점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나머지 24개 시ㆍ군 8천80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CCTV관리 및 운영실태 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남경필 경기지사는 어린이집 CCTV 운영 실태 점검결과를 보고받은 뒤 “아직 어린이집 현장에서 CCTV가 제대로 운영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면서 “잘 모르거나, 업무가 많아서 CCTV운영을 잘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꾸준한 지도 점검과 함께 컨설팅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기준 도내에는 총 1만 2천50개 어린이집이 운영 중이며 이 중 98.3%인 1만 1천848곳에 CCTV가 설치돼 있다. 나머지 202개 어린이집은 학부모들이 원하지 않아 CCTV를 설치하지 않았다. 한진경기자
인천시 부평구 부평산업단지 인근 건물에서 화물용 승강기가 갑자기 추락해 50대 남성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4일 인천부평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3일 오후 3시 26분께 부평구 청천동의 한 3층 건물 2층에서 건물 외부 승강기가 갑자기 추락하면서 이 건물에 입주한 제조업체 대표 A씨를 덮쳤다. A씨는 즉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경찰 조사결과 A씨는 외부 승강기를 타고 2층으로 올라가다가 승강기가 갑자기 멈추자 1층 바깥으로 나가 고장 원인을 살펴보던 중 5m 높이에 멈춰있던 승강기가 갑자기 1층으로 떨어지면서 A씨를 덮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A씨가 물품을 옮기던 중 건물 벽에 끼어 승강기가 갑자기 고장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 중이다. 양광범기자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1천개 건설업체 공사현장에서 1년 새 사망자 수와 재해자 수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천개 건설업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가 184명으로 전년 대비 31명(20.3%)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지난해 사망자를 제외한 재해자 수는 3천837명으로 전년보다 369명(10.6%)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최근 5년간 평균 환산 재해율은 2012년 0.43%를 기록한 뒤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0.57%까지 올랐다.환산재해율은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일반 재해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하청업체 재해자는 원청업체에 포함해 산정하는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 비율을 산정한 것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뒤로 갈수록 환산재해율이 높았다. 1군(1∼100위) 건설업체는 0.34%를 기록했으나 2군(101∼300위) 0.88%, 3군(301∼600위) 1.40%, 4군(601∼1천위) 1.85%로 재해율이 올라갔다. 고용노동부가 환산재해율이 높아 불량업체로 선정한 곳은 요진건설산업㈜, 극동건설㈜, ㈜동원개발, ㈜서희건설 등 99곳이다. 정부는 이들 업체를 정기감독 대상에 포함하고 시공능력평가 시 건설공사실적액을 감액하는 등 공공공사 입찰 시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고용노동부는 이들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주의 안전보건교육 참여 실적, 안전관리자 정규직 비율 및 건설업체 안전보건조직 유무 등을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는 건설업체 산업재해예방활동 평가도 공개했다. ㈜호반건설(40점), 대우건설㈜(50점), 삼성물산㈜(54.5), 현대엔지니어링㈜(54.4점)이 불량업체로 선정됐다. 반면 지난해 공공기관이 발주한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 수는 1천6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명(3.3%) 감소했고, 사망자 수는 40명으로 7명(14.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최장선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과 사무관은 “건설업 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업 사망재해예방특별대책’을 당초 6월에서 9월말까지 연장하는 등 건설현장에 대한 지도ㆍ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에스원에서 출동요원으로 일하다 교통사고를 당해 입원해있는 정두표씨(26) 곁에서 아버지인 정호진씨(53)가 간호를 하고 있다. 보안업체 비정규직 출동요원들이 ‘출동 제한시간 25분’ 압박 때문에 생사를 넘나들고 있다. 신속하게 출동해야만 정규직으로 전환을 위한 평가에서 유리한 점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두표씨(26)는 지난 2015년 6월 삼성에스원에 입사 후, 4개월 만에 긴급출동 도중 교통사고로 중상해를 입었다. 사고 당일 그는 차량 대기장소에서 30㎞ 떨어진 김포에 있는 한 빌딩으로 출동을 했다. 25분 안에 도착을 하기 위해선 과속이나 신호위반을 하지 않고는 불가능한 거리였다. 조여오는 출동시간 압박 때문에 그는 당시 사거리에서 신호위반을 하다 이 같은 사고를 당했다. 현행 경비업법에는 ‘경비업무를 수행하는 경비업자는 관제시설 등에서 경보를 수신한 때부터 늦어도 25분 이내에는 도착시킬 수 있는 대응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에스원의 비정규직인 첨단보안직(CS)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평가항목에도 생활태도 및 인성부문 등과 함께 직무능력에 ‘긴급대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출동시간 25분 엄수에 대한 직ㆍ간접적인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두표씨 아버지 정호진(53)씨는 “사고 당일 안개가 끼어 가시거리가 50m도 안됐지만, 30㎞ 거리를 25분 안에 도착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아들의 사고는 이미 예견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는 또 “계약해지 며칠 전에 에스원 경인사업팀 간부들이 찾아와 본사에서 결정된 사안이라며 일방적으로 계약해지 통보를 하고 갔다”며 “어떻게 정규직 전환 하루를 남겨놓고 계약해지를 할 수 있느냐”고 울먹였다. 두표씨는 당시 교통사고로 온몸이 성한 데가 없을 정도로 중상해를 입었다. 가까스로 목숨은 건졌지만, 오른쪽 눈은 실명되고 왼쪽 눈은 시력이 0.02까지 떨어졌다. 그는 턱관절 손상에 대퇴부 골절상까지 총 19곳에 부상을 입었다. 사고 후 3개월 만에 의식은 회복했지만, 뇌를 심하게 다쳐 제대로 말조차 못하고 있다. “빨리 나아서 다시 회사 출근하고 싶어요.” 4일 오후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을 찾은 취재진에게 어눌한 말투로 그가 건넨 첫마디다. 그는 아직까지 자신이 계약 해지된 사실조차 모른다. 에스원에선 입사 만2년이 되는 지난 5월 31일자로 그를 계약 해지시켰다. 2년 이상 계약이 지속된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정규직으로 전환토록 해야 하는 현행법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해당 교통사고에 대해 에스원 측은 출동요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수시로 안전운행 교육을 하고 있어, 사고는 안타깝지만 회사의 법적 책임은 없다는 입장이다. 에스원 홍보실 관계자는 “경비업법상 25분 도착 관련 규정이 있지만, 이것은 경비회사 설립요건 중 하나일 뿐이며 출동요원에게 25분 이내 출동을 강요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정규직 전환을 위한 평가항목에 포함된 ‘긴급대처’는 출동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처에 도착했을 때 얼마나 신속하게 대처했는지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김준구기자
연매출 2천억원의 자동차부품 기업인 대동도어㈜가 인천 송도에 대규모 제조ㆍ연구시설을 준공,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자동차부품 산업의 글로벌 핵심지역으로 발전하는데 힘을 실어 줄 전망이다. 인천경제구역청은 4일 대동도어㈜가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 내에 총사업비 426억원을 들여 부지면적 1만7천947㎡, 연면적 2만2천54㎡(4층) 규모로 자동차 도어 및 트렁크 자동개폐 시스템 등의 제조 및 연구시설을 준공했다고 밝혔다. 대동도어㈜는 지난해 기준 매출액 1천960억원 규모에 종업원수가 264명인 중견기업이다. 이번 사업에는 자동차용 도어 모듈, 윈도우 레귤레이터, 슬라이딩 도어 생산 전문기업인 일본 하이렉스사로부터 미화 1천800만불 외자가 도입됐다. 자동차 도어 래치 분야의 세계시장 점유율 3위 기업인 일본 미쓰이(MITSUI)사, 자동차 도어 부품(Window Regulators) 분야의 세계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독일 브로제(Brose)사로부터 각각 기술이전을 받아 자동차 옆문 및 트렁크 자동개폐시스템의 국산화가 추진된다. 대동도어㈜는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 내 사옥 건립에 따라 본사 이전, 제조시설 증설 및 통합연구소 건립을 통해 500여명의 상시 근로자가 근무하게 된다. 그동안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자동개폐시스템의 국산화로 연간 580억원의 수입대체효과와 연간 816억원 매출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에 건립된 대동도어의 제조 및 연구시설의 입주로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세계 100대 자동차 부품기업인 일본 스미토모(Sumitomo), 독일 헬라(Hella) 및 브로제(Brose)사를 포함해 자동차 관련기업 15개사가 유치돼 약 1조원의 투자유치와 4천여명의 고용창출을 기대하게 되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대동도어 연구시설 건립 준공에 따라 BMW, GM 등 IFEZ 내 기 입주한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자동차 부품 산업의 글로벌 핵심지역으로 나아가는데 힘을 실어 줄 것”이라고 밝혔다. 김신호기자
부천원미경찰서는 4일 새벽 0시 25분께 부천 중동 모 대학병원에서 지상 환풍 창에 기대어 담배를 피우던 20대 환자가 환풍구 시설이 떨어져 나가면서 지하 기계실로 추락,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권오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