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학교급식 공동구매 식재료 잔류농약·중금속 등 안전

하남시 학교급식 공동구매 식재료가 잔류 농약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남시 학교급식지원센터는 친환경 무상급식사업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학교급식 공동구매 식재료에 대한 잔류 농약과 중금속 및 보존료 등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안전판정’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시의 이번 안전성 검사는 식약처 인증 검사기관인 ㈜한국에스지에스에 의뢰, 진행됐다. 친환경 쌀은 탈곡하기 전 조곡에 대한 잔류 농약 및 중금속(납ㆍ카드뮴) 검사, 국내산 김치는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기김치와 깍두기, 맛김치의 중금속(납ㆍ카드뮴), 타르 색소, 보존료 등 7종에 대해 검사했으며 모두 잔류 농약 ‘불검출’ 판정을 받아 안전한 식재료가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산 김치 제조업체(연안 식품) 및 쌀 미곡처리장(금만ㆍ연무농협) 등에 대한 자체 점검 결과, 위생 관리 등이 적합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급식 식재료 공동구매사업은 지난 2011년 친환경 쌀을 학교 9곳에 공급을 시작으로 국내산 김치까지 품목을 확대해 고품질의 안전한 식재료를 적정 가격에 공급해오고 있다. 올해는 친환경 쌀 공동구매 참여 학교가 경기도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학교를 제외한 18곳이고, 국내산 김치는 24곳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하남시 학교급식지원센터 관계자는 “앞으로도 학교급식 식재료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모니터링 등으로 학생과 학부모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만족스러운 학교급식이 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하남=강영호기자

광명시, 엄마표 교육 재능기부 ‘광명시 학습코디네이터’ 위촉

광명지역 엄마들이 재능기부를 통해 학생들을 위한 진로ㆍ학습코칭 봉사에 나선다. 광명시는 15일 광명시학습지원센터에서 학생들에게 학습동기 부여와 진로탐색에 도움을 줄 ‘광명시 학습코디네이터’ 54명을 위촉했다. 학습코디네이터는 지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된 ‘광명시 자기주도학습 부모과정-新사임당 부모교실’ 참여자 중 교육재능기부 희망자로 구성된 엄마표 진로?학습코칭 봉사자들이다. 이날 위촉된 학습코디네이터 중 51명은 관내 21개 초등학교에서 사회적 배려 대상 또는 학습 동기가 필요한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코칭과 학교적응, 학과보충 지도 등 멘토 역할을 수행한다. 또 광명시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에 3명이 파견 돼 학생들의 진로 탐색을 위한 직업체험장 발굴과 안전관리 등의 업무를 맡는다. 양기대 시장은 “광명시는 학부모들이 아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과 진로결정을 돕도록 다양한 학부모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4년차에 접어든 엄마표 진로학습멘토인 ‘광명시 학습코디네이터’가 엄마의 마음과 교육을 통해 얻은 전문지식으로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명=김용주기자

안양시시설관리공단, 내부직원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개최

안양시시설관리공단(이사장 윤정택)은 지난 14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내부직원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경연대회를 개최했다. 안양소방서 소방대원을 심사위원으로 초빙한 이번 대회에는 공단 임직원 14명이 부서별 대표로 참여해 심폐소생술(CPR) 및 제세동기 사용법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겨뤘다. 17가지 평가기준에서 가장 우수한 직원 4명에게는 표창이 주어졌으며, 50여명의 임직원이 대회에 참관하여 최신 심폐소생 기술을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공단은 지난 2015년부터 안양소방서와 업무협약을 통해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 중이며 공단 임직원 80명이 소방서에서 발급하는 심폐소생술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시민들을 위한 안전관리에 중점을 기울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 겨울 안양 실내수영장에서 운동 중 갑자기 심정지로 쓰러진 시민을 대상으로 공단직원들이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기적적으로 되살아난 사례도 있었다. 윤정택 이사장은“심폐소생술 관련 교육 및 훈련은 반복하여 몸에 익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단 직원들의 심폐소생술 숙련도를 높여 시민들이 안심하고 공단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양=양휘모기자

경기남부경찰청, 특별형사대 확대 운영 발대식

[마감시황] 코스피, FOMC 앞두고 관망… 2130선 지켜

코스피가 미국 금리인상 경계감이 확산되며 관망세 속에 2130선으로 마감했다. 15일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0.78포인트(-0.04%) 하락한 2133.00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5.36포인트(0.25%) 내린 2128.42로 개장,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팔자'에 하락폭을 키워나가다 외국인이 '사자'로 돌아서면서 보합권에서 마감했다. 외국인은 1203억 원 사들이며 8거래일 연속 순매수 행진을 이어갔다. 개인도 846억 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2599억 원 순매도했다. 프로그램매매는 차익거래 3억 원 매수우위, 비차익거래 1363억 원 매도우위를 나타내 총 1360억 원 순매도우위를 기록했다. 지난밤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 발표를 앞두고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4.11포인트(0.21%) 하락한 2만837.37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02포인트(0.34%) 내린 2365.45를, 나스닥지수는 18.97포인트(0.32%) 떨어진 5856.82를 각각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였다. 통신업(4.50%), 증권(0.86%), 전기가스업(0.56%)은 상승하고, 섬유의복(-1.45%), 운수창고(-0.94%), 유통업(-0.89%)는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0.10%), 현대차(0.12%), 한국전력(0.82%), NAVER(0.61%)이 오르고, SK하이닉스(-2.98%), 삼성물산(-0.76%), POSCO(-0.89%), 현대모비스(-1.42%), 신한지주(-0.60%) 등이 내렸다. SK텔레콤(4.89%), LG유플러스(4.63%), KT(3.48%) 등 통신주는 동반 강세를 보였다. 이날 거래량은 3억7008만 주, 거래대금은 4조8096억 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7개를 포함한 285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516개 종목이 내렸다. 71개 종목은 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5.44포인트(-0.89%) 하락한 608.68에 장을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비금속(-1.87%), 섬유/의류(-1.86%), 일반전기전자(-1.70%), 제약(-1.67%) 등 대부분 약세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역시 셀트리온(-3.47%), 카카오(-1.56%), CJ E&M(-1.54%), 메디톡스(-0.47%) 등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2원 내린 1143.6원으로 마감했다./이투데이 제공

[환율마감] FOMC 선반영 인식에 강달러 위축..5.2원 내린 1143.6원

원·달러 환율이 하락했다. 개장초 미 연준(Fed) FOMC에 대한 경계감으로 상승했지만 선반영 인식이 확산하면서 하락(원화강세)세로 돌아섰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강달러 분위기가 위축되자 하락폭을 키웠다.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이 순매수를 이어간 점도 영향을 미쳤다. 원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원·엔 재정환율도 추가 하락해 1년1개월만에 가장 낮았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일단 FOMC 결과를 확인하자는 분위기다. 다만 생각보다 매파적이지 않을 경우 원·달러 환율의 낙폭은 커질 수 있다고 봤다. 1차적으로 최근 저점인 1130원이 깨질지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1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5.2원 떨어진 1143.6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2일 1141.6원 이후 2주만에 최저치다. 1148.0원으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150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장중 저점은 1143.0원이었다. 밤사이 역외환율은 상승했다.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49.0/1150.0원에 최종 호가돼 전일현물환 종가(1148.8원) 보다 0.85원 올랐었다. 100엔당 원화환율은 전장보다 3.05원 떨어진 996.56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월1일 989.12원 이후 1년1개월만에 최저치다. 주식시장에서 코스피는 전일비 0.78포인트(0.04%) 떨어진 2133.00을 기록했다. 반면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1202억6500만원어치를 매수했다. 시중은행의 한 외환딜러는 “장초반 FOMC 경계감에 비디시하며 1150원을 시도하기도 했다. 다만 아시아 통화시장에서 글로벌 달러가 약세를 보인데다 역외 매도가 가세하면서 전강후약(달러기준)장을 연출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FOMC 결과를 봐야 방향을 알겠다. 금리인상은 이미 예상한 것이고 그 후 코멘트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기대치를 충족하더라도 선반영 인식에 달러 강세가 장기적으로 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도비시하다면 실망감 속에 실망매물이 많겠다”고 예측했다. 외국계은행의 한 외환딜러도 “달러 강세를 부추기는 이벤트를 앞두고 원·달러가 추가상승에 실패했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 그간의 롱달러가 퇴출구를 찾는 모습”이라며 “시장은 연준 금리인상을 이미 95% 내지 100% 선반영해왔다. 연내 금리인상 횟수도 기존 2회에서 3회 이상 반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뉴욕장에서도 미국채 금리의 추가 상승이 제한적이었고 달러 강세도 제한됐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가 접히는 분위기다. FOMC에서 매파적인 코멘트를 내놓지 못한다면 강달러에 대한 조정국면이 좀 더 깊어질 수 있겠다”며 “1130원 선까지 내려갖다 지지받는 국면이라는 점에서 이 경우 일단 1130원 아래까지 테스트 할 수 있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오후 4시 현재 달러·엔은 0.02엔 오른 114.70엔을, 유로·달러는 0.0010달러 떨어진 1.0626달러를 기록중이다.

아주대 권역외상센터로 이송되는 미군 부상병

인천경찰청, 어린이 교통사망사고 제로에 도전

인천경찰청이 어린이 교통사망사고가 없는 도시를 만들겠다며 선언하고 나섰다. 박경민 인천지방경찰청장과 박융수 인천교육청 부교육감 등 50여 명은 15일 남동구 정각초등학교 앞에서 노란 발자국·깃발·카드 등 ‘노랑 3종 캠페인’을 벌였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보도에서 안전하게 신호를 대기하는 장소를 표시하는 ‘노란 발자국’을 설치했다. 또 운전자 눈에 어린이가 잘 띄도록 ‘노란 깃발’을 들고, 길 건너기와 가방에 ‘노랑카드’ 달아주기 행사도 가졌다. 지역 내 어린이 교통사망사고를 1건도 없게 만들겠다는 다짐의 표시다. 인천지역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지난 2014년과 2015년 각각 1명씩 발생했다가 지난해 들어 5명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올해는 이날 현재까지 어린이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인천경찰청은 ‘어린이 교통사망사고 제로’를 목표로 안전한 어린이보호구역 만들기, 어린이통학버스 안전 확보, 어린이 안전띠 착용 등 여러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안전보행 3원칙인 ‘서다, 보다, 걷다’와 안전띠 매기가 습관이 되도록 가르쳐 주고, 운전자는 어린이보호구역이나 통학버스 주변을 지날 때 항상 서행과 방어운전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영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