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난해 출생아 수는 43만8천400명으로 1년 전(43만5천400명)에 비해 3천명(0.7%) 늘었다. 합계출산율은 1.24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증가했다. 소폭 늘긴 했지만 여전히 ‘초저출산 국가’(합계출산율 1.3명 미만)인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에선 포르투갈(1.23명)과 꼴찌를 다투는 수준이다. 정부가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년)에서 내놓은 올해 합계출산율 전망은 1.27명이다. 하지만 출생아 수가 상반기에만 지난해보다 1만명이나 줄어 현재 추세라면 1.2명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급기야 저출산 보완대책과 함께 호소문까지 냈다. 보건복지부 장관은 25일 기업에 “눈치 보지 않고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쓰고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교육현장에는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결혼과 가족의 소중함에 대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가르쳐 달라”고 당부했다. 이런 가운데 부천시가 ‘출산장려 종합선물세트’를 내놓아 관심을 끈다. 부천시 출산율은 1.09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다. 226개 자치단체 중 177위, 경기도 31개 시·군 중 29번째다. 이에 김만수 시장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아기환영정책’을 실시키로 한 것이다. 부천시는 우선 셋째 아이 출산 때 지급하던 50만원의 출산지원금을 내년부터 둘째 100만원, 셋째 200만원, 넷째 300만원으로 늘린다. 출산지원금 외에 신생아에겐 10만원 상당의 탄생 축하 출산용품과 3만원 가량의 책 꾸러미 등도 선물한다. 부모의 육아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앞으로 5년간 국·공립 어린이집 30곳을 늘리고 육아나눔터도 7곳 신설한다. 의료서비스도 확대된다. 소득과 상관없이 아이가 5일 이상 입원하면 가사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임산부와 다둥이 가구엔 독감 무료접종을 해준다. 영구치가 완성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에게 구강 치료도 해준다. 다둥이 가정을 위한 공영주차장 전용 주차구역 설치를 비롯해 주차장 이용료 감면, 문화공연 관람이 가능한 티켓 지급, 쓰레기종량제 봉투 무상 지원 등도 시행한다. 시는 이런 정책 시행을 위해 ‘인구정책추진단 테스크포스(TF)’를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가 목소리를 높인다고 출산율이 높아지는 건 아니다. 부천시처럼 지방자치단체도 적극 나서야 한다. 부천시의 출산율이 얼마만큼 높아질지 궁금하다. 이연섭 논설위원
진옥섭 예술 감독이 진행하는 렉처(lecture)콘서트가 경기도인재개발원 대강당에서 오는 30일 오후 3시에 개최된다. 렉처콘서트란 책과 음악, 영상 등 예술과 인문학을 융합해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경기도인재개발원은 공무원의 문화적 욕구 해소와 인문학적 소양 강화를 위해 매월 마지막 주 문화가 있는 날에 렉처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8월 렉처콘서트는 ‘진옥섭 예술 감독의 무용담(舞踊談)’을 제목으로 한 토크쇼와 천안시립예술단의 협연으로 진행된다. 진옥섭 예술 감독은 한국문화재재단 소속 한국문화의집 예술 감독이자 무용평론가, 서울놀이마당 상임 연출, 대전엑스포 놀이마당 총연출, 서울두레극장 극장장을 역임했다. KBS ‘굿모닝코리아’ PD로 국악프로를 제작하기도 했다. 이날 렉처콘서트에서는 강연과 함께 천안시립예술단의 태평무, 설장고춤, 풍물놀이 등 전통춤과 연주가 펼쳐진다. 렉처콘서트는 도민들이면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인터넷 라이브경기(live.gg.go.kr)에서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이호준기자
수원 동원고와 동우여고는 지난 26일 동우여고 대강당 ‘충효관’에서 ‘2016 나라사랑 역사바로알기 발표대회’를 개최했다. 지난해에 올해 2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는, 바른 역사의식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인재를 키우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의 대주제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으로, 동원고의 그것이 알고 싶나?팀 (2학년 김태영, 추지훈, 최승완)과 동우여고 무명팀(2학년 이예영, 박소형, 이예경)이 1위의 영예를 차지했다. 학생들은 3명이 한 팀을 이뤄 발표 주제를 정하고 학교 운영위원, 학부모, 학생 등 1천여 명이 방청하는 가운데 발표 실력을 뽐냈다. 심사는 동원고와 동우여고 교감 선생님과 생활지도 선생님 다섯 명이 맡아 심사 기준표에 의해 공정하게 이뤄졌다. 학생들은 직접 일제 강점기 학생 복장으로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독립운동을 재현하기도 했으며, 발표 중간엔 일제강점기 독립군들이 불렀던 ‘독립군가’와 ‘압록강 행진곡’을 다 함께 부르며 독립 정신을 드높이기도 했다. 이견희 동원고 교장과 송홍섭 동우여고 교장은 “앞으로 이 행사를 통해 학생들에게 역사 지식을 넓히고 바른 역사의식을 통해 미래의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허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