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군기지.
아유미 황정음 결혼식 참석.
국내 건설업계가 해외수주 부진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수주금액은 반토막 났고, 발주물량 축소로 수주절벽이 현실화 되고 있지만 글로벌 경기 악화에 탈출구를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26일 관련업계와 해외건설업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 기준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수주 실적은 46억7159억달러(약 5조 7768억)를 기록하고 있다. 전년 동기 88억6668억달러(10조 9645억달러)보다 무려 47% 감소한 수준이다. 지역별 수주 동향을 보면 건설업계의 수주절벽은 더 심각하다. 지난해 이 날까지 중동지역에서 13억7000만 달러의 수주액을 달성했던 건설업계는 올들어 94% 급감한 8763억달러를 수주하는데 그치고 있다. 수주텃밭 중동에서 체면치레 조차 못하고 있는 셈이다.아시아는 전년 35억 2000만 달러의 절반 수준인 19억4000만 달러로 45% 감소했고, 중남미 역시 전년 39억달러에서 67% 감소한 13억달러로 악화됐다. 태평양·북미 지역과 아프리카 지역이 각각 2624%(11억달러), 357%(3억달러) 급증했지만 전체 수주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는 올해 초부터 잇따라 해외수주 낭보를 전했다. 롯데건설이 베트남에서 롯데ㆍ한라ㆍ한신 조인트 벤처를 통해 5400만달러 규모의 고속도로 공사를 수주하며 해외수주의 막을 올렸고, 쌍용건설은 싱가포르에서 2억5200만달러 규모의 지하철 공사를 따냈다. 특히 쌍용건설은 이번 공사의 입찰에서 최저가를 써내지 않고도 시공능력과 안전관리능력 등 비가격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수주에 성공했다.대우건설도 총 4억8000만달러 규모의 인도 갠지스강 교량 건설사업으로 해외수주의 막을 열었다. 건설사들의 이같은 공격적인 행보에 해외수주 건수는 현재 97건을 기록하며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95건)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이는 실적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올해 중동지역에서는 현대건설이 카타르 도하에 짓고 있는 '하마드 메디컬시티 프로젝트'의 추가 증액된 4000만달러가 가장 큰 수주액을 차지한다. 전체 중동 수주액의 절반이다. 신규 공사에선 경동엔지니어링이 알제리에서 따낸 200만달러(약 25억원) 규모의 고속도로 설계 및 시공감리가 가장 큰 규모이며 대부분의 수주액이 100만, 10만달러에 그치고 있다. 아시아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해 55건으로 35억2000만달러의 실적을 보인 것과 달리 현재 61건의 공사를 따냈음에도 수주액은 작년의 절반(19억4000만달러)을 겨우 넘어섰다.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으로 해외수주 시장이 대형 프로젝트보다는 소규모 프로젝트 위주로 발주가 진행되고 있는데다 전반적인 발주 물량 자체가 줄었다"며 "아시아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사업 규모가 많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올 초 경제 제재 해제로 기대감을 키웠던 이란 시장 역시 올해 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란은 향후 1300억∼5000억 달러를 투자해 가스·정유 플랜트 공사를 쏟아낼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최대 2100억 달러 규모의 발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이란시장이 돌파구가 되기엔 아직 시기상조라는 분석이다. 메리츠증권 김형근 애널리스트는 "이란은 향후 중동에서 가장 많은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면서도 "본격적인 발주는 하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아우디가 컨슈머 리포트가 선정한 2016 최고의 자동차 브랜드에 올랐다고 26일 밝혔다.아우디 AG 루퍼트 슈타들러 회장은 “최고의 자동차 브랜드로 선정되어 매우 기쁘다. 이는 아우디의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비즈니스와 아우디 제품에 대해 고객들로부터 인정받은 결과라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컨슈머리포트는 소비자의 일상 생활에 밀접한 제품들을 비교, 평가, 분석하여 그 결과를 매 월 잡지로 발행한다. 컨슈머리포트 온라인에디션이 사전에 발표한 “최고의 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아우디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스바루 (2위)와 렉서스 (3위)가 이었다.순위는 주행성능 테스트, 신뢰성, 고객만족도, 안전성의 총 4개 항목을 종합평가해 결정됐다. 도로안전 보험위원회(IIHS)와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의 데이터가 이 평가에 사용되었으며, 모든 모델은 약 3200km (2000 마일) 이상의 주행 테스트를 거쳤다. 소비자만족 항목에서는 23만명 이상의 운전자들의 의견을 참고한다.신뢰성 평가 항목에서의 데이터는 최고 15년이상 된 차량까지 총 74만대의 차량을 분석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채권시장이 강보합세를 기록했다. 장기물이 상대적으로 강해 커브도 플래트닝됐다. 국고10년물과 국고3년물간 스프레드는 2주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3년 국채선물 시장에서는 미결제가 2010년말 신국채선물 재상장이후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특별한 이슈가 없던 가운데 오전장중엔 통안채 정례모집 물량에 단기물이 부진했다. 오후장들어서 매수세가 유입되는 분위기였다.채권시장 참여자들은 달러/원 환율 급등세가 잦아들어서인지 한국은행 3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조금씩 살아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주말사이 예정된 주요20개국(G20) 회의에 대한 기대도 있다고 봤다.당장 다음주 월요일(29일)로 예정된 3월 국고채발행 계획이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물량에 따라 변동성을 줄 수 있다고 봤다. 다만 미 연준이 3월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한은 3월 금융통화위원회도 다가온다는 점에서 소폭 강세 분위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26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통안1년물과 통안2년물이 각각 보합인 1.472%와 1.465%를 기록했다. 국고3년 15-7은 1.2bp 떨어진 1.450%를 나타냈다. 국고5년 지표물 15-4와 선매출 15-9도 각각 1.5bp씩 하락해 1.550%와 1.560%로 거래를 마쳤다.국고10년 15-8은 2.2bp 내린 1.775%를 보였다. 국고20년 15-6도 2.5bp 하락한 1.855%를, 국고30년 지표물 14-7과 선매출 16-1도 3bp씩 내려 각각 1.872%를 기록했다. 국고10년 물가채 15-5 역시 2bp 하락한 1.340%에 거래를 마무리했다.국고3년물과 기준금리(1.50%)간 역전폭도 1.4bp 확대된 –5.0bp를 기록했다. 지난 2일 이후 역전상황이 지속됐다. 10-3년간 스프레드도 1.3bp 좁혀진 32.5bp를 보였다. 이는 지난 12일 2주만에 최저치다. 30-3년간 스프레드는 2bp 떨어진 42.2bp로 2012년 12월4일 40bp 이후 3년3개월만에 가장 낮았다.장외채권시장에서는 투신이 7920억원, 보험이 3250억원씩 순매수했다(거래대금 기준). 외국인도 810억원 순매수하며 8거래일째 매수세를 이어갔다. 반면 은행이 1910억원 순매도로 대응했다.3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5틱 오른 110.33을 보였다. 마감가가 장중 최고가였다. 장중 저점은 110.27로 장중변동폭은 6틱에 그쳤다.미결제는 32만1415계약으로 9542계약 늘었다. 이는 2010년말 신국채선물 재상장이후 역대 최대치다. 직전 최대치는 2013년 3월14일 기록한 32만986계약이었다. 거래량은 6만9911계약으로 6034계약 감소했다. 회전율은 0.22회에 그쳤다.매매주체별로는 외국인이 2981계약 순매수했다. 반면 금융투자가 2965계약 순매도하며 사흘째 매도세를 이어갔다.3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24틱 상승한 129.49로 거래를 마쳤다. 역시 장중 최고가다. 장중 저가는 129.19였다. 장중변동폭은 30틱을 보였다.미결제는 39계약 감소한 8만2301계약을 나타냈다. 거래량도 9244계약 줄어 3만8103계약을 기록했다. 회전율은 0.46회였다.매매주체별로는 외국인이 946계약 순매수하며 이틀째 매수했다. 반면 금융투자가 1125게약 순매도해 이틀연속 매도대응했다.현선물 이론가는 3선이 고평 6틱, 10선이 고평 7틱을 각각 기록했다.이날 한은이 실시한 통안채 정례모집에서 1조2000억원어치 2년물은 1.50%, 5000억원어치 1년물은 1.49% 모집금리에 각각 예정액 전액이 낙찰됐다. 응모액은 각각 5조2000억원과 2조600억원이었다.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특별한 이슈가 없는 가운데 장초반 1.50%에 통안채 비경쟁입찰물량이 나오며 2~3년 구간으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오후장들어서는 G20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폭 매수세가 유입되며 전반적으로 소폭 강세로 마감했다. 커브는 다소 플랫됐다”며 “금통위에 대한 기대감도 다시 살아나고 있어 소폭 추가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 같다”고 전했다.은행권의 한 채권딜러도 “달러/원이 좀 잠잠해져서인지 금리인하 기대감이 살아나는 듯 싶다. 다만 주식도 강했다는 점에서 오늘의 강세는 이해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 월말을 앞두면 환매물량과 차익실현 등으로 단기물을 파는 게 통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그는 또 “다음주는 변동이 좀 있을 것 같다. 아직 다음달 국고채 발행계획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발행물량에 따라서도 달라지겠다. 미 연준이 3월 인상을 안한다고 가정하면 지지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예측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원/달러 환율이 사흘만에 하락반전했다. 밤사이 뉴욕증시가 상승하는 등 누그러진 안전자산회피 분위기와 월말에 따른 네고(달러매도) 물량으로 장중 1230원대 초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다만 역외매수세가 지속되면서 상승압력이 여전했다. 상해증시가 보합세를 보이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주말 상해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회의와 다음주 미국 고용지표와 중국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장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봤다. 이미 역외 시장에선 1240원을 돌파한 바 있어 이들 지표가 부진할 경우 국내시장에서도 쉽게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여전히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다.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6원 떨어진 1238.2원에 거래를 마쳤다. 마감가가 장중 최고가였다.이날 원/달러 환율은 떨어진 역외환율을 반영해 1236.0원에서 출발했다.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236.5원/1237.5원에 최종 호가되며 전장현물환 종가(1238.8원)대비 2.8원 하락한 바 있다. 오전장중엔 1232.5원까지 떨이지기도 했지만 이후 고점을 지속적으로 높인 셈이다.은행권의 한 외환딜러는 “글로벌 시장에서 리스크오프 모드가 희석된데다 G20회의를 앞두고 있어 장초반 1232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후 오프쇼어에서 강하게 비드를 대면서 빠른 복원력을 보였다. 장막판엔 숏커버도 나와 고점 부근에서 끝났다”고 전했다.그는 이어 “G20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 강한 대책이 나온다면 모를까 실망감에 오히려 위쪽으로 튈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또 다른 은행 외환딜러도 “역외 매수가 계속되고 있다. 장중 1230원대 초반까지 갔다 올라왔다. 월말이다 보니 네고 물량이 있었지만 역시 결제물량도 나왔다”며 “전날 7% 가까이 빠진 상해증시가 오늘 보합권에 머물며 반전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안전자산선호 분위기에 엔화도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보단 달러를 매수하는 모습이었다”고 말했다.그는 또 “오전 네고물량이 처리되면 이후 오퍼가 비드보다 강하지 않았고 역외 매수가 지속된 탓에 빠지면 상승하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당분간 이런 추세가 계속되지 않을까 싶다. 네고가 강해 밑으로 보기 어렵다”며 “장외 ND에서 1240원을 돌파한 바 있다. 당국 경계감에 1240원이 막힐 것 같긴 하다. 다만 다음주 미 고용지표와 3월1일 중국 PMI가 나온다. 서울시장이 휴장한 가운데 나오는 지표라는 점에서 결과가 부진하다면 다음날 쉽게 1240원을 돌파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오후 3시12분(현지시각) 현재 상해지수는 1.00%(27.51포인트) 오른 2768.76으로 거래중이다. 오후 3시27분 현재 달러/엔 환율은 0.13엔 하락한 112.66엔을, 유로/달러는 0.005달러 오른 1.1054달러를 기록하고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의 ‘사자’로 코스피가 소폭 상승했다. 국제 유가 급등과 미국 증시 상승도 투심을 크게 회복시키는 못했다.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오후 들어 개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거세지며 1920선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지만, 이후 외국인의 매수세가 강해지며 1920선에 턱걸이 하며 상승 마감했다.26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1.59포인트(0.08%) 오른 1920.16에 거래를 마쳤다.지난밤 뉴욕 증시는 이틀째 상승세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12.30포인트(1.29%) 상승한 1만6697.29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1.90포인트(1.13%) 오른 1951.70을, 나스닥지수는 39.60포인트(0.87%) 높은 4582.21을 각각 기록했다.미국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은 이날 전 거래일 대비 2.9% 급등한 배럴당 33.09달러로 마감하며 4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브렌트유 가격도 2.6% 뛴 배럴당 35.29달러를 기록했다.투자자 동향을 보면 개인과 기관의 매도세에도 외국인이 홀로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를 밀어올렸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717억원, 820억원어치 물량을 팔아치웠지만 외국인은 홀로 764억원어치 물량을 사들였다.업종별로는 상승세가 강했다. 섬유/의류가 2.57%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종이/목재와 정보기기도 2%대의 상승폭을 보였다. 출판/매체복제와 방송서비스, 인터넷은 1%대 미만의 하락세를 보이며 소폭 내렸다.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렸다. 기계가 2.05%로 가장 높은 폭의 상승세를 보였고, 전기가스업, 증권도 1%대의 상승폭을 나타냈다. 반면 철강금속은 1.30%, 운수창고는 0.72%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내림세가 강했다. 삼성전자우가 1.72% 하락했고, LG화학도 1.18% 하락했다. 반면 삼성물산 2.61%, 한국전력 1.85% 상승했다.코스닥은 전일대비 3.03포인트(0.47%) 오른 649.30에 거래를 마쳤다.투자자 동향을 보면 외국인이 206억원 순매수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9억원, 57억원 순매도를 보였다.업종별로는 상승세가 강했다. 섬유/의류가 2.57%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종이/목재와 정보기기도 2%대의 상승폭을 보였다. 출판/매체복제와 방송서비스, 인터넷은 1%대 미만의 하락세를 보이며 소폭 내렸다.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하락세가 많았다. 메디톡스가 2.83% 내렸고, 로엔과 바이로메드도 각각 1.02%, 1.13% 내렸다. 반면 이오테크닉스는 2.10% 상승했고, 셀트리온은 1.01% 상승했다. 한편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일대비 0.6원 내린 1238.2원에 마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CJ헬로비전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SK브로드밴드와의 합병안이 통과됐다는 소식이 전해진데 따른 것이다. 26일 오후 2시 22분 현재 CJ헬로비전은 전일 대비 2.58% 오른 1만1950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날 오전 CJ헬로비전은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비지니스타워 4층 대회의실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SK텔레콤(SKT)이 CJ헬로비전을 인수한 후 CJ헬로비전이 다시 SKT의 미디어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SKB)와 합병하는 안건을 표결에 붙여 통과시켰다. 발행주식의 75.2%(5824만1752주)가 참석한 이날 주총에서 참석주주의 97.15%가 합병 원안을 승인했다. 합병 기일은 4월1일이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토탈소프트가 국내 최초로 교육ㆍ훈련용 가상현실 제품을 국산화했으며 삼성전자 앱 공학분야에 등록돼 있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26일 오후 2시18분 현재 토탈소프트는 전일대비 390원(15.23%) 상승한 2950원에 거래 중이다. 이 날 토탈소프트는 교육 훈련용 VR 제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해서 판매 중이며 지난해 인도네시아에 이어 올해는 일본 등 해외 판매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했졌다.토탈소프트의 제품은 현재 특화 앱으로 구글 플레이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의 2014년 전략 단말기 대상으로 사용성이 최적화된 앱(대표 10개 직업군 중)으로도 선정돼 삼성(Samsung GALAXY Apps for Professionals) 공학분야에 등록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이랜텍, 에스코넥, 케이디씨 등 VR관련주들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토탈소프의 소식에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에스넷이 롯데그룹 계열사와 클라우드 사업 MOU를 체결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다.26일 오후 1시50분 현재 에스넷은 전 거래일 대비 110원(1.67%) 오른 670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에스넷시스템은 롯데정보통신-현대정보기술과 클라우드 사업발전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 대표는 클라우드 업계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우수 솔루션 발굴 및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 강화에 합의했다.에스넷시스템은 첫 협력의 결과로 오는 3월 자사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인 ‘카탈로그플러스’를 롯데그룹 전용서비스로 새롭게 출시한다. 롯데정보통신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대외고객용 전자카탈로그 및 전자책 서비스인 ‘북스위트(Book Suite)’도 출시할 예정이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