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이웃 위한… 광주판 ‘러브하우스’

광주시는 정부의 집수리지원(수선유지급여사업)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주거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통한 생활 편의 및 안전을 도모를 위해 ‘2016년 G하우징 리모델링사업’을 시행한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G하우징 리모델링사업은 관내 건설업체의 자재·인력 등 재능기부를 통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현재까지 14개 업체가 참여, 3천만원 상당의 사업비가 모금됐다. 시는 올해 컨테이너·비닐하우스 등에 거주하는 저소득 주거취약계층 11가구에 부엌, 화장실, 거실 등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한 부분을 우선 지원한다. 도배, 장판 및 경미한 전선교체 등 경미한 보수가 필요한 가구는 광주시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자 연계사업’으로 지원한다. 차상위 계층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주택 단열공사를 지원하는 에너지관리공단의 ‘햇살하우징사업’과 ‘농어촌주거환경개선 사업’ 등 유관기관 사업과 연계를 통해 많은 취약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한다. 아울러, 광주소방서와 협력해 건설업체 등에서 기부한 소화기와 화재경보기를 작년 110가구 보급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100가구에 보급한다. 시 관계자는 “저소득 주거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에 더 많은 관내 건설업체가 재능기부에 동참할 수 있도록 민간업체의 참여를 유도하고 주거취약계층 집수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기부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업체 및 집수리가 필요한 차상위 저소득가구는 광주시청 주택과(031-760-4487)로 문의하면 된다. 광주=한상훈기자

성남 ‘사회적경제기업 창업’ 돕는다

성남시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창업할 6개팀 내외를 발굴해 올해 1억원의 창업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시는 다음달 3일부터 9일까지 사회적경제 창업팀을 공모한다고 24일 밝혔다.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에 관한 사업 아이템이 있는 2명 이상의 팀(성남시민 1명 이상 포함)은 누구나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성남시는 팀 구성원의 기업가적 자질과 역량, 사업 아이디어의 참신성, 실현 가능성, 사회적 가치, 파급효과 등을 종합 평가해 지원할 팀을 다음달 28일 선정한다. 선정팀은 평가를 통해 오는 4월 2천만원 내외의 창업자금을 차등 지원받게 된다. 이와 함께 정자동 킨스타워 21층의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사회적경제 교육, 현장탐방, 창업컨설팅 등 실제 창업에 필요한 지원을 최대 2년까지 받게 된다. 희망자는 성남시나 성남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홈페이지를 참조해 공모 신청서, 사업계획서 등을 갖춘 뒤 기한 내 성남시청 2층 사회적경제지원센터(031-729-4956)를 방문 접수하면 된다. 성남시는 2011년부터 사회적경제 창업 공모 지원 사업을 펴 24개팀에 7억7천만원을 지원했다. 그 중 사회적협동조합 드림위드앙상블, 휠링보장구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문화숨 등 18개팀은 창업 후 활발하게 사회적경제 활동을 하고 있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시흥, 전국 최초 ‘학교 책 받음 서비스’ 내달 실시

시흥시는 전국 최초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도서관 책을 받아 볼 수 있는 ‘학교 책 받음 서비스’를 3월부터 본격 실시한다. 24일 시흥시에 따르면 학교 책 받음 서비스는 학생들이 읽고 싶은 책을 학교 도서관 담당자에게 신청하면 시흥시도서관에서 책을 학교로 배달, 학생, 학부모, 교직원이 받아 보고 반납할 수 있는 서비스다.지난해 학교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갖고, 4개 학교를 시범학교로 선정해 1월부터 2월까지 책받음서비스를 운영했으며, 관내 75개교중 33개 학교가 책받음서비스를 신청해 다음달부터 본격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시흥시중앙도서관에서는 한 번의 회원가입을 통해 책을 대출하고 반납하는 것은 물론, 읽고 싶은 책을 집에서 가까운 도서관을 통해 받아볼 수 있는 상호대차와 통합반납서비스를 2007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시는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27개소(공공 11개소, 공립작은 14개소, 사립작은 2개소)에 도서배달 네트워크망을 형성하고,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차량이 매일 2회씩 순회한다. 상호대차서비스는 2015년에 12만6천88건으로, 전년 대비 18.4%가 증가했으며, 이용자가 아침에 신청하면 저녁에 바로 책을 받을 수 있어 시민만족도가 매우 높다. 시흥=이성남기자

속도내는 의왕시, ‘철도박물관 유치’ 민관 함께 뛴다

의왕시가 국립철도박물관 유치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유치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시는 24일 김성제 의왕시장을 비롯해 전경숙 시의회의장, 송문석 한국철도대학장, 유치위원회 위원 및 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청 대회의실에서 국립철도박물관 의왕시 유치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를 위해 개최된 이날 발대식은 경과보고 및 결의문 낭독, 구호제창과 서명운동 등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의왕시는 사통팔달의 교통망과 수도권 배후인구 2천600만명의 강력한 집객력을 두루 갖추고 세계적 수준의 철도관련 핵심시설까지 집약돼 있어 박물관 입지에 최적화된 곳으로, 경부선 개통 당시부터 대한민국 철도역사의 한 축을 형성하며 철도여객 및 화물수송의 거점으로 성장 발전해 온 철도산업ㆍ문화의 요충지인 의왕시에 박물관이 유치될 수 있도록 민ㆍ관이 함께 노력할 것을 결의했다. 이봉환 유치위원장은 “의왕시를 비롯한 대전ㆍ충주ㆍ울산 등 16개 시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오늘 발대식을 계기로 시민 공감대 형성과 사회적 분위기 확산 등 대대적인 홍보 및 서명 운동을 활발하게 펼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제 시장은 “유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의 뜻을 하나로 모으고 다각적인 유치활동을 전개하는데 앞장서 주길 바란다”며 “유치 경쟁에 뛰어든 다른 도시와 차별화된 전략과 경쟁력으로 후세에 길이 남을 문화유산인 국립철도박물관이 반드시 의왕시에 건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의왕=임진흥기자

[김상돈 만평] 이참에 우리끼리 당 하나 만들까?

개통 이틀 앞둔 수인선 송도~인천구간 연장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