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제수·선물용 농식품 원산지 부정유통 지난해보다 증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은 설 명절을 앞두고 설 제수ㆍ선물용 농식품 원산지 부정유통을 단속한 결과, 927개 업체를 적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농관원은 지난달 8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 1만2천803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먹을거리 원산지를 거짓 표시한 621개 업체를 형사입건 또는 고발 조치하고, 원산지 미표시 업체 306개소에는 과태료(5만~220만원)를 부과했다.품목별로 돼지고기가 283건(27.6%)으로 가장 많이 적발됐으며, 배추김치 206건(20.1%), 쇠고기 150건(14.6%), 떡류 34건(3.3%) 순으로 나타났다.업종별로는 일반음식점이 436개소(47.0%)로 가장 많았고, 식육판매업 143개소(15.4%), 가공업체 98개소(10.6%), 슈퍼 56개소(6.0%), 노점상 33개소(3.6%)등이었다.지역별로는 서울ㆍ경기 등 수도권이 171개소(18.4%), 광주ㆍ전남 144개소(15.5%), 부산ㆍ경남 128개소(13.8%) 순으로 적발됐다. 지난해 설과 비교하면 위반 업체는 3.8% 증가했다. 원산지 거짓표시 업체는 12.9% 늘어났고 미표시 업체는 1.8% 감소했다. 농관원은 “원산지 표시 지도ㆍ홍보로 미표시 업체 적발은 줄고 있지만, 거짓 표시업체는 늘고 부정유통 방법이 고도화ㆍ지능화하는 추세”라며 “농식품을 구매할 때 원산지 표시가 없거나 표시가 의심스러우면 전화(☎1588-2112)나 홈페이지(naqs.go.kr)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자연기자

수출 강화 위해 올해 무역보험 196조원 공급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김영학, 이하 무보)는 16일 ‘2016년도 무역보험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지난해 대비 28조원 늘어난 196조원의 무역보험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무보는 올해 중점 추진사업으로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중소ㆍ중견기업 수출역량 강화 ▲유망시장 개척을 위한 신시장 선제 지원 ▲차세대 수출먹거리 육성을 위한 미래산업 지원 강화 ▲수주 절벽 극복을 위한 해외 프로젝트 맞춤형 지원 등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우선 중소ㆍ중견기업 수출역량 강화에 작년보다 5조원 늘어난 46조5천원, 해외 프로젝트 금융지원에 14조7천억원을 지원한다.수출 초보기업과 내수기업의 수출 기반 조성을 위해 ‘희망보험’과 ‘특례보증’ 지원 규모를 각각 8천억원, 2천억원으로 늘리고 창업 및 성장 초기기업에 대한 ‘수출희망보증’ 지원한도도 기존 5천만원에서 1억5천만원으로 확대한다. 특히 이란과 쿠바 등 신흥시장에 대한 무역보험 한도를 증액하고 한류 등 문화콘텐츠 산업 관련 투자 보증제도를 신설하는 등 미래 수출산업 육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김영학 무보 사장은 “새로운 수출시장과 미래산업을 선도적으로 발굴해 수출기업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무역보험 지원을 한층 강화하겠다”며 “어렵고 힘들 때마다 우리 경제를 이끌었던 대한민국 수출의 저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도록 무역보험 총력 지원을 통해 수출위기 조기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도농기원, 친환경 농산물 생산위해 19일까지 '토양검정 전문교육' 진행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시ㆍ군 농업기술센터 종합검정실 분석 담당자 40명을 대상으로 오는 19일까지 토양검정 전문교육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데 기본인 토양, 농업용수, 퇴비 및 상토, 중금속 분석 등 도내 농업현장에서 필요한 분석기술에 대한 전문교육이다. 도농기원은 전문가를 강사진으로 구성해 이론과 실습교육을 병행한다. 효율적인 분석능력 향상을 위한 신규장비 구입, 시료 채취 건조, 조제 및 보관 방법 등은 물론 종합검정실 운영 요령 교육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현재 도농기원에서는 친환경ㆍGAP 인증, 쌀 소득보전직불제 등을 위한 토양 검정진단을 지원 중이다.아울러 농업인들이 의뢰한 토양을 분석해 알맞은 비료 종류 및 양, 토양관리 요령을 담은 시비처방서를 연간 8만3천부가량 발급하고 있다. 임재욱 원장은 “시ㆍ군 농업기술센터의 토양검정 등 분석업무는 환경친화적인 농업기반조성과 고품질 안전농산물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이번 교육을 통해 종합검정실 분석요원의 전문성을 키우고,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정자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