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 지난해 영업이익 2656억원···흑자전환 성공

대림산업이 지난해 부진을 딛고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대림산업 별도기준만 놓고 보면 실적 신장세가 두드러졌다. 대림산업은 28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2015년 IFRS 연결기준 매출액 9조5117억원과 영업이익 2656억원, 당기순이익 2107억원이 예상된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2%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대림산업 연간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건설사업부와 석유화학사업부의 원가율이 고르게 개선되며 전년 동기대비 175% 증가한 4256억원을 달성했다. 건설사업부에서는 부동산시장 회복과 원가경쟁력 확보로 주택, 빌딩, 호텔건설을 담당하는 건축사업의 원가율이 크게 개선됐다. 플랜트사업 역시 동남아시아 고마진 현장의 매출 증가로 원가율이 개선됐다. 이로 인해 전체 건설사업부의 영업이익은 2669억원으로 전년 대비 301% 개선됐다. 석유화학사업부는 저유가에 따른 원재료 가격 하락 및 마진 확대 지속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영업이익은 158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대림은 세계 최초로 단일 공장에서 범용 폴리부텐과 고반응성 폴리부텐을 함께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지난해 국내 최초로 석유화학산업의 본 고장인 미국에 석유화학 제조기술 수출에 성공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여수에 있는 폴리부텐 공장의 증설작업이 끝나는 올해 11월에는 생산능력 및 판매기준으로 세계 1위의 폴리부텐 제조업체가 될 전망이다. 연결종속법인인 대림C&S는 건설호황에 따라 영업이익이 535억원으로 전년 대비 59% 성장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건설현장에서 시공을 담당하는 현지법인인 DSA는 전년 동기대비 적자폭을 크게 줄이는데 성공했으며 올해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크게 좋아진 석유화학 시황으로 여천NCC, 폴리미래 등 지분법 자회사들의 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여천NCC 지분법이익은 전년대비 141% 증가한 1129억원, 폴리미래는 전년대비 189% 증가한 661억원 등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지분법 이익의 개선에 힘입어 세전이익은 전년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해 4289억원을 기록했다.대림산업은 2015년 총 12조 9677억원의 수주실적을 달성하며 수주목표인 9조2000억원을 41% 초과 달성했다. 국내에서 11조 1994억원, 해외에서는 1조 7683억원의 수주를 달성했다. 대림이 세계적으로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해상 특수교량과 수력발전 사업을 브루나이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잇달아 사업을 수주하며 해외사업 다변화에도 성공했다.한편 대림산업은 2016년 신규수주 전년과 유사한 13조원, 매출은 전년대비 13% 증가한 10조 7000억원을 경영목표로 설정했다. 대림산업 2015년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151%며 특히 보유현금은 2조 2088억원, 순차입금은 7458억원으로 대형건설사 중 가장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보이고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사자’에 열흘만에 1900선 탈환

코스피가 기관의 매수세이 힘입어 10거래일 만에 1900선을 탈환했다. 뉴욕증시의 하락에 영향받아 하락출발했던 코스피 지수는 기관의 사자에 탄력을 받으며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은 하루만에 순매도세로 돌아섰지만 그 강도는 약했다. 28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9.07포인트(0.48%) 상승한 1906.94에 거래를 마쳤다.간밤 뉴욕증시는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22.77포인트(1.38%) 하락한 1만5944.46으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0.68포인트(1.09%) 내린 1882.95를, 나스닥지수는 99.51포인트(2.18%) 급락한 4468.17을 각각 기록했다.투자자 동향을 보면 기관이 홀로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기관은 홀로 1095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035억원 외국인은 211억원 순매도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 9억원와 비차익거래 664억원으로 모두 매수우위를 차지했다.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삼성생명의 급등세에 힘입어 보험이 5.55% 폭등했고, 금융이 3.66% 올랐다. 기계와 전기가스업도 2%대의 상승세를 보였다.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삼성생명이 지주사 전환 소식에 11.51% 올랐고, 현대모비스도 6.07% 상승했다. 반면 NAVER는 지난 4분기 실적 부진과 함께 6.38% 떨어졌다. 삼성전자도 2.55%의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닥도 전일대비 6.04포인트(0.89%) 상승한 681.29에 장을 마쳤다.기관이 739억원어치 물량을 팔아치웠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61억원, 543억원어치 물량을 사들이며 지수상승을 견인했다.업종별로는 대부분이 상승세를 연출했다. 소프트웨어가 2.62% 상승했고, 통신장비도 2%대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통신서비스업과 디지털콘텐츠는 각각 1.80%, 0.35% 내렸다.시가총액 상위종목은 등락이 엇갈렸다. 셀트리온이 3.05% 상승했고, 메디톡스와 CJ E&M이 1%대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이오테크닉스 0.86%, 코미팜 0.24% 하락했다.한편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일대비 6.5원 오른 1208.5원을 기록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이슈 따라잡기] 제4이통사 선정 D-1, 콤텍은 오르고 세종은 떨어졌네

제4 이동통신사 선정을 하루 앞둔 28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경쟁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급등락을 거듭해 온 세종텔레콤은 이날 9% 넘게 주가가 빠진 반면, 콤텍시스템은 13% 이상 뛰었다. 이날 세종텔레콤은 전 거래일보다 9.78% 하락한 2490원에 거래를 마쳤다. 거래량은 무려 1억주가 넘는다. 콤텍시스템은 13.45% 오른 253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 회사 거래량도 2300만주를 넘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4일부터 진행한 심사위원의 합숙심사 결과를 오는 29일 오후 발표한다.제4 이통 사업자 선정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이 과점한 통신시장에 네 번째 사업자를 투입해 경쟁을 촉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요금 인하와 서비스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해온 정책 과제다. 정부는 지난해 8월부터 제4이통 사업자 선정 절차를 진행해 왔다.이번 공모에는 K모바일, 퀀텀모바일, 세종모바일 등 3개 법인이 출사표를 던졌다. 지난해 10월 기간통신사업 허가를 신청한 이들은 11월 적격 심사를 통과해 본심사를 받아왔다.세종모바일은 세종텔레콤을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이고, 콤텍시스템은 퀀텀모바일 컨소시엄에 합류한 상황이다. 이에 관련 기업 주가는 대량의 거래량을 동반한 채 급등락을 거듭해 왔다. 특히 제4이동통신 사업자 선정이 무산될 가능성도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정부가 그동안 통신비 인하 명목으로 제4 이통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그 어느때보다 기대감이 높다. 하지만 지난 5년간 6차례나 사업자 선정이 무산된 전례를 미루어 볼 때 이번에도 어렵지 않겠냐는게 시각도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2016 지역사회 교육인프라 박람회

운전면허증 이번엔 꼭 따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