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올해 코스닥 상장 청구 기업 145개사…12년만에 최고치

코스닥 시장에 입성을 희망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기업은 113개사로 지난해 85개사를 이미 초과했다. 오는 10월까지 총 32개사가 추가로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것으로 예상돼, 올해 청구 기업은 총 145곳으로 지난 200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올해는 기술성장기업의 상장 확대가 돋보였다. 지난 4월 기술평가제도 개편 이후 유망기술 기업의 심사청구 증가로 올해 안으로 기술상장기업의 상장예비심사 청구 기업수는 제도도입 이후 최고인 23곳으로 예상된다. 외국기업의 상장도 늘고 있다. 외국기업의 예비심사청구 건수는 총 3개사, 사전협의 진행은 2개사로 지난 2013년 이후 중단된 외국기업의 상장이 재개됐다. 현재 상장심사 중인 곳은 차이나크리스탈(중국)과 헝셩그룹(중국), 콘텐트미디어(영국) 등이 있으며, 사전협의가 진행 중인 곳은 해천약업(중국)과 로스웰인터내셔날(중국) 등이다. 바이오헬스케어 업종과 게임엔터S/W업종의 상장도 증가세에 있고, 코넥스 기업의 이전상장 청구도 총 8곳으로 지난해 7곳을 넘었다. 한편 올해 코스닥기업의 IPO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8215억원 수준으로 연내 2조7000억원 수준까지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코스닥 개장 이후 최고치로 상장기업수 몇 더블유게임즈외 케어젠, 파마리서치 등 대형 공모기업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관피아 회피 변칙수준으로 고문 위촉

발명진흥회가 지난 6월 최근 퇴직한 특허청 고위직 인사를 고문으로 위촉하면서 특별한 기준도 없이 수당까지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는 등 관파아 회피 변칙수단으로 고문 위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부좌현 의원(안산단원을)이 발명진흥회에서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특허청 산하기관인 발명진흥회는 지난 6월15일 열린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최근 퇴직한 특허청 최고위직 인사를 고문으로 위촉했다. 특히 발명진흥회가 고문을 위촉한 것은 지난 2005년 발명진흥회가 정관 제17조(명예회장?고문)를 신설한 이후 10년만에 처음있는 일이다. 고문 위촉 이외에도 이날 이사회에서는 고문의 수당지급 수준을 비상임 감사와 비상임 이사 수당을 준용해 지급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한 별도의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사회에서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부 의원은 지적했다. 이와관련 부 의원은 관피아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비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에서 원칙과 기준도 없이 자의적으로 고문을 위촉하고 수당까지 지급한 것은 관피아 논란을 회피하려는 변칙수단이라고 꼬집 었다. 또한 발명진흥회는 국민의 소중한 혈세로 운영되는 만큼 기관 운영의 공정성 및 투명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발명진흥회는 올해 정부로부터 492억원의 예산을 지원받는 등 매년 400억원 이상의 예산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산=구재원기자

‘화정’ 김재원, 아들 백성현 죽음에 폭풍 눈물 “난 무자비한 아비”

화정 김재원 화정 김재원이 아들 백성현의 죽음에 눈물을 쏟았다. 지난 14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화정 45회에서는 인조(김재원 분)가 아들 소현세자의 죽음이 자점과 소용 조 씨에 의한 것임을 알고 충격에 휩싸여 삶을 포기한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날 방송에서 김재원은 그 동안 보여왔던 악랄한 임금이 아닌 인간적인 면모를 여과 없이 드러내며 세 번의 눈물로 시청자들에게 안타까움을 선사했다. 인조의 첫 번째 눈물은 충격이었다. 소현세자를 정적으로 여겨 고립시켰지만 막상 소현세자가 세상을 떠나자 하염없이 눈물을 쏟아낸 것. 지아비의 죽음을 접한 강빈 또한 봉림대군(이민호 분)과 함께 달려와 오열했다. 이어 강빈은 놀라 휘청거리는 인조를 향해 전하가 죽인 것입니다. 어차피 저 또한 죽지 않겠습니까? 아들을 죽인 전하가 신첩과 원자를 살려두겠습니까?고 외쳤다. 이어 인조는 소현세자의 죽음이 석연치 않다는 사실을 직감,소용 조 씨를 불러 추궁을 했고, 세상을 자포자기한 듯한 인조의 눈물은 정명과 만나 시너지를 냈다. 결국 인조는 자신이 없는 틈에 날림으로 편전 회의를 치르려던 자점의 움직임을 중단시키고 봉림대군을 국본으로 세우며 새로운 파란을 일으켰다. 이날 방송을 본 누리꾼들은 "화정 김재원, 눈물 연기 대박", "화정 김재원, 나까지 눈물날 뻔", "화정 김재원 때문에 본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화정은 혼돈의 조선시대 정치판의 여러 군상들이 지닌 권력에 대한 욕망과 이에 대항하여 개인적인 원한을 딛고 연대하는 광해와 정명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리니지1’ 불법 복제·배포해 20억대 부당수익 올린 운영자 구속

분당경찰서는 국내 유명게임사가 저작권을 보유한 온라인 게임을 복제한 뒤 불법 사설 서버를 구축해 프로그램을 운영한 혐의(저작권법 위반 등)로 운영자 O씨(32) 등 2명을 구속하고 B씨(32)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5일 밝혔다. 또 이들이 사설 서버를 운영할 수 있도록 서버 호스팅을 제공해 준 K씨(35) 등 3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O씨 등은 지난 2010년 8월부터 최근까지 국내 유명게임사의 리니지1 게임 소스 등을 복제하고 이를 변경한 뒤 인터넷에 배포, 불법으로 사설서버를 구축해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정식 리니지1은 월 이용료를 내야 하는 유료게임이지만, O씨 등이 개설한 사설 서버는 무료였다. 이들은 복제한 리니지1 게임에서 경주마 경기 결과에 따라 베팅금을 지급하는 사행성 게임을 운영하기도 했다. O씨 등은 사용자들에게 게임 아이템 등을 판매하는 수법으로 20억원 상당의 부당 수익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 일당이 운영한 사설 서버 사용자는 모두 4만5천명으로, 리니지1 사설 서버 중 국내 최대 규모라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이들은 범죄수익으로 고급 아파트에서 생활하고 외제승용차를 운행했으며, 강남 룸살롱을 다니는 등 방탕한 생활을 통해 수익 전체를 이미 탕진했다고 진술하는 등 죄질이 심히 불량하다며 각 게임사의 게임물마다 사설서버가 운영돼 게임사의 손해가 심각한 상황이라 수사대상을 확대해 불법 사설 서버를 근절하겠다고 말했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檢 가스충전소 인허가 비리 적발… 前공무원 등 2명 기소

개발제한구역 내 가스충전소 인허가를 둘러싸고 수천만원을 주고받은 전직 공무원과 업자가 검찰에 적발됐다. 수원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이용일)는 뒷돈을 받고 가스충전소 인허가 배치계획을 특정 업자에게 유리하게 만들어 고시한 혐의(뇌물수수)로 하남시 전 건축과장 안모(60)씨와 안씨에게 청탁과 함께 수천만원을 건넨 혐의(뇌물공여 등)로 가스충전소 사업자 조모(60)씨 등 2명을 구속기소했다고 15일 밝혔다. 안씨는 2009년 3월께 하남시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중 업자 조씨로부터 청탁 명목으로 5천만원을 받은 뒤 가스충전소 사업허가 기준을 조씨 측에게 유리하게 만들어 고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씨는 지역 주민이어야만 개발제한구역 내 가스충전소 사업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노리고 하남 주민 김모(51)씨 등 2명의 명의를 빌려 사업신청을 한 혐의(위계에의한공무집행방해)도 받고 있다. 조씨는 최근까지 가스충전소를 운영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김황식 전 하남시장도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수뢰후 부정처사 등)가 있는 것으로 보고 14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와 함께 다른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또 다른 업자 박모(51)씨도 가스충전소 비리사건에 연루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