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규 구리경찰서장, “반칙과 편법 없는 공정 치안행정 실현할 터!”

구리경찰서 소속 경찰관들의 올해 화두는 따뜻한 마음 갖기 운동이다. 시민들로부터 사랑과 신뢰 받는 경찰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여는 따뜻한 가슴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믿음과 소통이 오갈 때 시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반칙과 편법 없는 공정한 사회가 보다 빨리 정착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 방편이자 구리경찰서의 최대 근절 대상은 주로 서민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금융사기 보이스피싱이다. 피해자는 물론 가족까지 힘들게 하는 보이스피싱은 반드시 근절시켜야 하겠다는 강한 행보다. 그 중심에 정한규 구리경찰서장이 있다. 정 서장은 올해 초 구리경찰서 서장으로 부임했다. 발령 후 최대 역점 시책은 시민들과 함께 하는 따뜻한 경찰 표상 확립이다. 그는 먼저,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이틀 동안, 동네를 한 바퀴 돌면서 시민들과 낯을 익히며 먼저 말을 건네는 소통 행보를 가졌다. “처음에 만난 많은 시민들은 왠지 경찰을 어려워 하는 듯 했어요. 하지만, 한 두번 만나다 보니 이제 친근감이 형성돼 가까운 이웃이 된 듯 하네요” 이런 현장 소통을 통해 지역민과 믿음을 쌓은 뒤 꼭 이뤄내고 싶은 치안력을 발휘했다. 바로 보이스피싱 철퇴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 하는 고민에 밤잠을 설칠 때도 한 두번이 아니다. 이같은 열정 때문인지 구리서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크게 줄어드는 성과를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 대면 편취 62건, 비대면 편취 7건, 메신저 피싱 75건 총 144건이었으나 올해 같은 기간, 대면 편취 40건, 비대면 편취 8건, 메신저 피싱 54건 총 102건으로 29.2%나 감소됐다. 그가 보이스피싱 근절을 내세운 데는 연유가 있다. 어린 시절 집안 형편은 어머니가 손수레를 끌어야 했을 만큼 가난했다. 대학때까지 궂은 일을 마다 않고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했어야만 했다. 가난과 서민들의 애환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래서 보이스피싱 근절 선봉장이 된 듯 하다. 피해자가 주로 생활이 어려운 서민들이기 때문이다. 정 서장은 자신에 대한 성찰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함께 하는 따뜻한 마음을 잃지 않기 위해 시간 날 때마다 글을 쓴다. 문장마다 진솔함과 온화함이 배어 난다. 틈틈히 써간 글은 어느덧 한권의 책(삶의 여백을 채우는 한Q 이야기)로 선보여 눈길을 끈다. “보이스피싱범의 한 통의 전화는 어렵게 사는 사람들에게는 인생이 걸린 문제다. 한 사람의 인생 그리고 한 집안이 파산되는 일이 없도록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을 꼭 지키고 싶다”는 정한규 서장, “제복을 입고 있는 한 보이스피싱은 내 사전에 없다”는 확신에 찬 눈빛에서 건강한 구리지역 사회를 엿보게 한다. 구리=김동수기자

군포 금정역세권·산본1지구 재개발사업 '속도'

군포시 금정역 일원에서 추진 중인 재개발사업 중 금정역세권 구역과 산본1지구 등이 각각 신탁방식에 의한 사업시행자 지정 신청을 마치며 속도를 내고 있다. 24일 군포시와 재개발 추진위 등에 따르면 이들 2곳이 재개발 추진 지역 15곳 중 최초로 신탁방식의 사업시행자 지정 신청을 접수했다. 금정역세권은 산본동 1028번지 일원 5만8천여㎡, 산본1지구는 산본동79-8번지 일원 8만4천여㎡ 등으로 각각 1천441여세대와 2천21세대 등이 건립된다. 재개발 추진위 측은 신탁방식에 의한 사업시행자 지정 신청을 위해 토지 등 소유자 4분의 3 이상, 면적의 2분의 1 이상의 동의와 면적 3분의 1 이상의 신탁등기를 마치고 시에 지정신청을 마쳤다고 밝혔다. 신탁방식 재개발사업은 조합정비사업의 주민갈등문제 등을 보완, 지난 2016년 도시정비법 개정으로 신탁사의 참여가 허용됐고 신탁사가 사업시행자로 지정 받으면 조합과 마찬가지로 정비사업을 시행한다. 재개발 추진위 관계자는 “신탁에 따른 비용은 발생하지만 전문회사에 의한 사업 투명성과 기간 단축 등이 가능하다”며 “토지주 등의 기대를 반영해 신탁방식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재개발 추진위의 사업시행자 지정 신청이 접수돼 법적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들 구역은 수도권 전철 1·4호선 환승역이자 GTX-C노선 정차역인 금정역을 생활권으로 하고 있다. 군포=윤덕흥기자

신부예 회장 “미래세대들이 살기 좋은 세상 만들고 싶어”

“봉사활동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미래세대들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일조하고 싶습니다” 모든 사람을 공손하게 두 손으로 받들어 모신다는 생각으로 현재 ‘그린든그린나래’ 봉사단체에서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부예 회장(55·여)의 목표다. 신 회장은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이 미래에는 힘든 세상에서 살지 않고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빠, 삼촌이랑 셋이서 곰팡이 핀 지하 방에서 사는 중원구의 한 초등학생을 돌봐준 일이 기억에 남는다”며 “한부모 가정 아이들을 보면 특히 마음이 아프다. 앞으로는 아동, 청소년 대상으로 집중하고 싶다”고 다짐했다. 신 회장은 올해로 봉사활동을 시작한 지 20년이 됐다. 그동안 이삿짐센터를 운영하면서 이사하는 고객이 버리는 옷, 가전제품, 가구 재활용해 필요한 곳에 전달하고 있다. 또 청소년 일자리 창출 재능 나눔 봉사, 노숙인 시설 배식 봉사 및 반찬 지원, 장애인 및 실향민 생필품 지원, 학교 밖 청소년 멘토링 봉사활동, 김장김치 나눔, 헌혈캠페인 및 헌혈동참 등 활동을 해왔다. 그는 아름방송 여성봉사단, 청사모봉사단, 성남시여성지도자협의회, 성남농협 고향생각 봉사단 등 성남 내 봉사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보람도 느끼고 건강도 되찾는 등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됐으나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었다. 특히 사업을 하면서 봉사하기에는 시간이나 체력적으로 쉽지 않고 상처도 많이 받는다고 했다. 봉사활동을 하러 가서 ‘약 팔러 왔냐’, ‘돈 받았냐’는 질문도 받고 ‘거짓말한다’, ‘장사꾼이다’라는 소리를 들어 쫓겨난 적도 있다고 고백했다. 그는 이런 일들을 겪으면서 마음도 많이 다치고 울었던 적도 있으나 봉사가 필요한 사람들이 있고 그들을 위해 봉사활동을 할 수 있기에 항상 감사하고 행복한 마음으로 살고 있다. 신 회장은 “사람이 재산이다. ‘사람이 살면서 내가 가진 것이 있으면 다 내 것이 아니고 줄 수 있는 것이 있으면 나누며 살자’는 목표로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동‧청소년들에게 장학금 후원, 물품 지원 등 앞으로 잘 살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미래세대들에 좋은 환경을 만들고 싶다”고 소망을 밝혔다. 성남=이명관·안치호기자

안산시, 소설 ‘상록수’ 주인공 최용신 기념유물 53점 구매

안산시는 24일 최용신 선생 관련 유물 공개 구매를 통해 올해 22종 53점을 구매했다. 최용신 선생은 일제강점기 심훈 선생의 소설 ‘상록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인물이다. 이번에 사들인 유물은 ‘서른해 상록수는 푸르러, 최용신양의 첫 추도식’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린 1962년 한국일보 신문 기사와 1900년대 초 구한말의 풍속이 담긴 ‘스테레오 뷰’(입체경에 끼워서 보는 사진)와 입체경 세트, 최용신 선생의 고향인 함경남도 원산의 옛 모습이 담긴 ‘금강산 사진첩(1912)’ 등이다. 시는 앞서 지난 3월 공고를 내고 유물 구매에 나섰으며, 전문가 감정평가 등을 거쳐 구매 대상을 선정했다. 안산시 상록구에 있는 최용신기념관은 지난 2007년 개관 이래 매년 유물 공개 구입을 추진, 이번 공개구입 품을 포함해 1천370종 1천550점의 소장품을 수집해 보관·전시 중이다. 최용신기념관의 소장품은 기념관 인터넷 홈페이지와 국립중앙박물관 E 뮤지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 선생은 1931년부터 안산 상록구 본오동에 샘골 학원을 세우고 민족교육을 하는 등 농촌계몽 운동에 전념하다가 26세 생을 마감한 애국지사로, 국가보훈처로부터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서훈을 받았다. 안산=구재원기자

[현장의 목소리] 부천 대형카페 주차면 파라솔 등 영업 빈축

부천 송내동 대형카페가 주차장을 영업장으로 사용하면서 고객에게 인근 공영주차장 이용을 유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24일 부천시와 A대형카페 등에 따르면 부천시 송내동 388번지 A대형카페는 주차장 3면에 파라솔과 테이블, 간이의자 등을 설치하고 옥외 영업장 일부로 사용 중이다. 해당 카페는 최근 인터넷 블로그 등에 부천의 핫플레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고객들은 해당 대형카페가 주차장을 영업장 일부로 사용하고 있어 주차장에 주차할 수 없다. 해당 대형 카페는 입구에 인근 송내 문화원 부설 공영주차장 지하주차장 이용을 안내하는 배너 거치대를 설치하고 고객 주차를 공영주차장으로 유도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송내동 주민 B씨(51)는 “집 부근에 대형카페가 있어 커피를 마시기 위해 자주 이용하고 있다”며 “그런데, 주차장에 파라솔 등을 설치해 영업하는 등 주차장법을 어기고 있다. 고객들에게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라고 안내하는 건 비양심적인 영업행위가 아니냐”라고 지적했다. A대형카페 관계자는 “내부가 아닌 밖에서 커피를 마시려는 고객들이 있어 이들의 편의를 위해 파라솔과 테이블, 간이의자 등을 주차장에 설치했다”며 “주차장법 위반인지는 몰랐다. 조치하겠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해당 대형카페가 주차장법을 위반한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다. 현장을 나가 지도·감독하겠다”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안양 박달스마트밸리 초기화 위기…연말 공모 시작될 듯

안양 박달스마트밸리사업이 초기화 위기에 놓였다. 관련 법 개정으로 우선협상대상자(민간사업자) 공모 등을 다시 밟아야 하기 때문이다. 24일 안양시와 안양도시공사(이하 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박달동 탄약대대 일원 328만㎡ 중 114만㎡에 탄약고를 지하화하고 나머지 214만㎡에 4차산업 중심의 첨단산업과 문화·주거가 어우러진 스마트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박달스카트밸리사업을 추진 중이다. 해당 사업은 기부 대 양여방식으로 국유지와 사유지를 공동개발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22일부터 적용된 관련법(도시개발법) 개정에 따라 해당 사업 관련 우선협상 대상자 공모 등의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앞서 공사 측은 지난해 8월 기부 대 양여 사업을 대행할 민간사업자를 공모했다가 돌연 해당 공모를 취소시킨 바 있다. 이어 같은해 10월 민간사업자를 재공모했고, 12월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민간사업자 4곳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심사를 진행했지만, 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지난 1월 재심사하기로 해 논란이 일었다. 이런 결정에 대해 해당 사업에 참여했던 A컨소시엄은 법원에 재심사 중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인용된 상태다. 공사 측은 지난 18일 해당 사업 타당성 조사 등과 관련한 용역입찰을 제출했지만, 하루 만에 취소했다. 이유는 ‘과업내용서 재검토’다. 공사 관계자는 “민간사업자 공모 시작은 연말 목표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안양=박용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