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은현면 삼표산업 양주사업소 채석장 붕괴사고 구조작업에 나선 소방당국이 2일 마지막 실종자 A씨(52)를 발견, 시신을 수습해 의정부성모병원으로 이송했다. 2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 발생 닷새째인 이날 오후 5시10분께 소방은 사고현장에서 굴착기 14대, 구조인원 44명, 구조견 2마리, 군지원병력 12명을 투입해 수색작업을 진행하던 중 A씨가 사용하던 천공기 일부를 발견, 주변을 수색한 결과 이날 오후 5시38분께 천공기 내부에서 A씨로 추정되는 남자를 발견했다. 이로써 지난달 29일 발생한 삼표산업 양주 채석장 붕괴사고로 숨진 작업자 3명의 시신을 모두 수습했다. 이와 함께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경찰과 노동부의 수사도 진행 중이다. 경찰은 지난달 31일 고용노동부와 함께 삼표산업 양주사업소 현장사무실과 협력업체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고, 현장 관계자들을 불러 사고 원인 등을 조사, 현재까지 현장 발파팀장 1명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됐다. 한편 지난달 29일 오전 10시8분께 양주시 은현면 삼표산업 양주사업소에서 석재 발파를 위해 구멍을 뚫던 중 토사 30만㎥가 붕괴되면서 작업 중이던 3명이 매몰됐으며 이 중 굴착기 기사인 B씨(55)와 천공기 기사 C씨(28) 등은 사고 당일 숨진 채 발견됐다. 양주=이종현기자
설날이 되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를 한다. 복(福)을 많이 받으라고 인사를 하는데 어떤 복을 말하는 걸까. 대표적인 복은 오복(五福)이 있다.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가지의 복이다.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말하는데 유호덕과 고종명 대신 귀(貴)함과 자손이 중다(衆多)함을 꼽기도 한다. 오복이 문헌상에 나타난 것은 서경 홍범편으로 알려져 있다. 오복은 첫째가 수로, 인간의 소망이 무엇보다도 장수를 원하기 때문이다. 둘째가 부로, 부유하고 풍족하게 살기를 바라는 것이다. 셋째가 강녕으로 일생 동안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욕망을 나타낸다. 넷째가 유호덕으로 덕을 좋아한다는 뜻은 오래 살고 풍족하고 몸마저 건강하면 그 다음에는 이웃이나 다른 사람을 위해 보람 있는 봉사를 해보자는 것으로, 선을 권하고 악을 미워하는 선본사상의 발로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고종명은 죽음을 깨끗이 하자는 소망으로 모든 사회적인 소망을 달성하고 남을 위해 봉사한 뒤에는 객지가 아닌 자기집에서 편안히 일생을 마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이와 같은 다섯가지 복은 소망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정치가나 학자 또는 지도계층의 소망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민간에서 바라는 오복은 통속편(通俗編)에 나오는데 수부귀(貴)강녕자손중다(子孫衆多)로, 서경에 나오는 오복과 다소 차이가 있다. 서경 오복의 유호덕이 귀로, 고종명이 자손중다로 바뀐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서민이나 천민은 스스로가 귀하게 되는 것이 남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라 생각했고 자손이 많은 것이 고종명보다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일반 사람이 오복을 누리는 것은 풍족하고 건강하게 오래 살면서 자신을 귀하게 여기며 자손을 많이 낳고 사는 삶을 말한다. 임인년 새해 오복을 누리는 한 해가 되시길 바란다. 최원재 정치부장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경기도 소속 사업 담당 기관들도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 준비에 분주한 모습이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부터 사업 또는 사업장 등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해 인명피해를 발생케 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법인 등을 처벌하는 규정을 담은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다. 이에 따라 도 소속의 사업기관들도 관련 예방계획 등 수립에 나서고 있다. 먼저 경기도노동복지센터는 중대재해 관련 긴급점검 추진을 위한 수행계획을 마련한다. 긴급점검 업무 담당자를 지정하고 비상조직체계를 수립할 예정이다. 또한 사전 긴급점검매뉴얼을 만들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사전 준비에도 나선다. 아울러 4단계로 구성된 중대시민재해 발생 시 조치계획도 마련했다. 해당 계획의 내용을 보면 1단계 긴급안전조치 실시, 2단계 위험표지 설치 및 재난 추가 발생 대비 안전조치, 3단계 재해 발생 원인 규명 등 사고조사 수행, 4단계 시설물 보수보강계획 수립 및 추진 등이다. 이어 민간단체가 수행하는 민간위탁민간자본보조민간경상보조 등 사업에 대해 재해 발생 시 연관된 공무원의 책임범위 명확화, 중대재해 관련 대처 방안 등 교육 지원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센터도 자체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하기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한다. 또 이 같은 자체 세부계획에 맞춰 이행사항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도 나선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 중대재해 발생 시 조치계획 등이 주요 내용으로 담길 예정이다. 경기도건설본부 역시 각종 위험시설물 안전검사 실시와 안전보건관리 강화를 위한 실천과제 추진에 돌입한다. 실천과제로는 ▲소방 및 가스전기시설 등 위험물 안전검사 진행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정기 안전보건교육 추진 등이 주요 내용으로 담겼다. 앞서 도는 전날 중대재해처벌법의 본격 시행과 관련해 법의 취지 이해와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오병권 경기도지사 권한대행을 비롯한 전 직원 대상 영상교육을 하기도 했다. 아울러 경기도 안전보건경영방침을 도 홈페이지에 게시했으며, 향후 관련 교육 동영상도 제작배포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안정적으로 정착해 경기도가 산업재해 등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조성 예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휘청거리고 있다. 반도체 클러스터를 짓겠다고 발표한 지 3년이 돼가는데 아직 첫 삽도 못 떴다. 지난해 1월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5차례나 연기되며 지지부진한 상태다. 새 공장을 2026년 가동한다는 계획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SK하이닉스와 협력사 등이 414만8천㎡(126만평) 부지에 차세대 메모리 생산 기지를 짓는 사업이다.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공장 4곳을 지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착공이 연기되면서 진행이 순조롭지 못하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수도권 공장총량제의 예외 사례로 인정하는 정부 심의에만 2년이 걸렸다. 비수도권 지자체 눈치를 보느라 결정을 계속 미뤘고, 지역 국회의원들까지 반발하면서 시간만 허비했다. 인근 지자체에서 환경영향 등을 이유로 문제를 제기하면서 다시 6개월 이상이 소모됐다. 토지 보상을 둘러싸고 원삼면 주민들의 반발도 크다. 각종 불합리한 규제와 토지 보상 문제 등으로 공장 건설에 6~7년이 걸리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K반도체의 경쟁력이 추락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SK하이닉스 목표대로 2026년에 공장을 가동한다 해도 부지 선정에서 가동까지 7년이 걸리는 셈이다. 공장 건설에 걸리는 시간이 2년 정도인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3배 정도 진도가 느리다. 반도체 강국 코리아를 이끄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정작 우리나라에선 찬밥 대우를 받고 있다. 지난달 1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반도체 특별법(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도 대기업에 혜택을 주면 뒷말이 나온다 수도권에 투자가 쏠리면 지방이 소외된다는 정치 논리에 밀리며 반쪽짜리 법으로 통과됐다. 반도체 기업들이 줄기차게 요구해 온 반도체 인재 육성, 세제 혜택 확대는 법안에서 삭제되거나 대폭 축소됐다. 정부와 국회 협의 과정에서 대기업 견제, 지역균형 개발, 통상 마찰 우려 등의 논리에 밀려 초안은 누더기가 됐고, 그나마도 해를 넘겨 간신히 통과됐다. SK하이닉스가 공장 설립 지연에 따른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용인에 공장을 세울 수 있는 시점이 미뤄질 경우 다른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한다. 반도체는 해외 경쟁사들과의 속도 경쟁에서 밀리면 앞선 기술력이 의미가 없다. SK하이닉스의 공장 착공을 더 이상 늦추면 안된다. 정부와 경기도, 용인시 등은 국가 경제와 미래를 위해 필요한 행정적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 주민들과의 갈등 조정에도 적극 나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