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8개 동네책방 선정… 리모델링비 등 총 1억8천만원 지원

경기도가 동네서점 활성화를 위해 도내 18개 서점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및 문화활동 멘토링을 지원한다. 도는 ‘힘내라! 경기 동네서점’ 공모사업을 진행, 45개 신청 서점 중 총 18개의 서점을 선정, 21일 발표했다. 이는 대형 프랜차이즈 서점과 온라인서점 등에 밀려 어려움을 겪는 동네책방을 지역사회 문화활동 중심지로 육성하는 프로젝트다. 선정 결과 노후시설 교체 등 건물 내·외부 인테리어 개선 비용을 지원하는 ‘리모델링 지원형’에는 ▲스카이서점(구리시) ▲교석서점(연천군) ▲우리서점 송내(동두천시) ▲후곡문고(고양시) ▲인생서점(의정부시) ▲우주소년(용인시) ▲꿈틀책방(김포시) ▲최강서점(용인시) 등 8개 서점이, 문화행사 활성화를 위한 멘토링 지원 등 ‘문화활동 지원형’에는 ▲미스터 버티고(고양시) ▲호평서적(남양주시) ▲북바이북(성남시) ▲행복한 책방(고양시) ▲타샤의 책방(과천시) ▲토닥토닥 괜찮아(안산시) ▲코너스툴(동두천시) ▲작은책방 기역(성남시) ▲5KM 북스토어(부천시) ▲학우당(화성시) 등 10개 서점이 선정됐다. 도는 이들 서점에 내부 공간 재구성, 간판 교체, 노후시설 보수, 철거 등 리모델링과 출판계 전문가의 컨설팅과 300만~500만 원의 문화활동비 등의 지원을 할 방침이다. 안동광 경기도 콘텐츠산업과장은 “‘힘내라! 경기 동네서점’을 통해 어려운 경영 여건에서도 새로운 활로를 찾으려 분투하는 동네서점들이 지역주민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세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며 “경기도에 더 다양하고 특색 있는 동네서점들이 생겨날 수 있도록 사업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법사위, 공수처 설치 협의 난항

'따뜻한 작가' 공지영, 제89회 수원포럼에서 '공감' 주제로 강연

‘대표적 여류작가’ 공지영 작가가 시민과 함께 소통하는 열린 학습의 장 ‘수원포럼’ 강사로 나선다. 수원시는 오는 23일 오후 4시30분 수원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공감’을 주제로 제89회 수원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포럼에는 ‘고등어’, ‘봉순이 언니’, ‘도가니’ 등 수많은 작품으로 독자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공지영 작가가 강연을 진행한다. 공지영 작가는 지난 1988년 단편소설 ‘동트는 새벽’으로 등단, 올해에도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있는 ‘국민 작가’다. 이번 강연에서 공지영 작가는 진정한 ‘공감’의 의미와 그 힘에 대해 이야기한다.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지 못하는 것은 자신의 아픔조차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무감각 때문이라는, 자신의 아픔에 공감할 수 있어야 타인의 아픔도 느낄 수 있다는 자신의 깨달음을 시민들과 소통할 예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포럼은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이라며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시각으로 세상의 차가움을 조명하는 공지영 작가의 나직한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유병돈기자

경기도장애인체육회, 생활체육프로그램 우수사례 시상식

경기도장애인체육회가 21일 수원월드컵경기장 WI컨벤션에서 2017년 장애인 생활체육프로그램 우수사례 시상식을 가졌다. 시ㆍ군장애인체육회, 복지관, 클럽·교실 실무자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시상식에서는 고양시 펭귄스케이트클럽이 장애인생활체육클럽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8개 분문에 걸쳐 시상했다. 재능기부교실 부문은 광주시꿈나무육상교실, 소외계층교실 부문은 성남시게이트볼교실, 유형별ㆍ종목별 방과후교실은 도농아인체육연맹 생활체육교실, 지역특화교실에는 부천시 특화교실, 복지관교실 부문은 과천시성인장애인체육교실, 순회형ㆍ대학봉사단교실 부문은 용인대학교 이기훈, 주민센터교실 부문은 광주시농구교실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한편, 장애인 생활체육프로그램 우수사례 시상식은 도장애인체육회가 도내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교실, 클럽) 우수사례 선정읕 통해 이를 공유하고 전파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호철 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은 “장애인에게 있어서 체육은 단순한 취미활동이 아닌 생활이자 복지이기에 경기도는 지속적으로 예산 증액을 통한 지원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지역 장애인체육회, 장애인단체, 복지관 선생님들이 재가 장애인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황선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