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정ㆍ박세영, 쇼트트랙 남녀 1천500m 동반 금빛 질주

‘경기남매’ 박세영(화성시청)과 최민정(성남시청)이 제8회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녀 1천500m에서 동반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은 대회 이틀째인 20일 ‘효자종목’인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스키, 스노보드에서 5개의 금메달을 쏟아내며 순조로운 출발을 이어갔다. 박세영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의 마코마나이 실내링크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쇼트트랙 남자 1천500m 결승에서 2분34초056으로 결승선을 통과, 우다징(중국ㆍ2분34초265)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표팀 ‘맏형’ 이정수(고양시청)는 4위에 머물렀지만 한티안뉴(중국)가 실격 처리되면서 행운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앞서 열린 여자 1천500m 결승에서는 종목 간판인 최민정이 2분29초416을 기록, 심석희(한국체대ㆍ2분29초569)와 궈이한(중국ㆍ2분30초017)을 제치고 우승했다. 또 오비히로 오벌에서 열린 스피드스케이팅에서는 남자 장거리 ‘에이스’ 이승훈(대한항공)이 5천m 결승에서 6분24초32로 2011년 1월 자신이 세운 아시아신기록(6분25초56)을 갈아 치우며 츠시야 료스케(일본ㆍ6분29초67)를 여유있게 제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자 3천m 김보름(강원도청)은 4분7초80으로 아시아신기록(4분7초82)을 0.02초 앞당겼지만 다카기 미호(일본ㆍ4분5초75)에 이어 아쉽게 준우승했고, 남자 단거리 기대주 차민규(동두천시청)는 500m에서 34초94로 값진 동메달을 획득했다. 정상권과 거리가 멀었던 스키에서는 대회 초반 ‘깜짝’ 메달을 쏟아내며 기대감을 높였다. 전날 스노보드 남자 대회전에서 한국 선수단에 첫 금메달을 안긴 이상호(한국체대)는 이날 회전에서도 1, 2차 시기 합계 1분16초09로 우승, 대회 첫 2관왕에 올랐다.스키 크로스컨트리 남자 1.4㎞ 개인 스프린트 클래식에서는 김마그너스(협성르네상스)가 3분11초40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남자 크로스컨트리에서 동계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가 됐다. 이 밖에 스노보드 남자 회전 김상겸(전남스키협회·1분17초42)과 여자부의 신다혜(경기도스키협회·1분26초42)는 나란히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컬링에서는 남녀 대표팀이 나란히 3연승으로 조별예선 선두를 질주했다. 한편, 이날 무더기 금메달을 쏟아낸 한국은 금메달 6, 은메달 3, 동메달 5개로 일본(금3 은5 동4)과 중국(금3 은3 동3)을 제치고 선두에 나서 당초 목표인 종합 2위 탈환의 청신호를 켰다.홍완식기자

경기도 지역총생산은 전국 1위, 하지만 1인당 GRDP는 8위 수준에 그쳐

경기도가 전국에서 지역내총생산(GDRP)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1인당 GRDP는 전국 8위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20일 발표한 ‘경기도와 여타 15개 광역시·도의 주요 경제지표 비교 자료’에 따르면, 도내 지역총생산(GRDP, 2015년 기준)은 351조 원(전국비중 22.4%)으로 1위였다.서울(345조 원), 충남(111조 원, 세종시 포함), 경남(104조 원), 경북(95조 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도체, 휴대전화,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 상당수가 경기도에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는 연평균 GRDP 성장세에서도 3.6%로 제주(5.0%), 충남(4.7%), 충북(4.6%)에 이어 4위에 자리했다. 반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경제지표를 나타내는 1인당 GRDP(2015년 기준)에서 도는 2천800만 원으로 8위에 그쳤다. 도는 전년 대비 1인당 GRDP 증가율이 4.9%로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았지만, 여전히 중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서울에 근무지를 둔 경기도 거주 직장인이 많은 탓으로 풀이된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인구는 91만8천만 명으로 이들은 경기도 집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생산자 수가 거주자 수보다 적다는 뜻이다. 경기도는 수출입에서도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도의 수입은 981억 달러(전국비중 19.8%)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2~4위에 위치한 충남(662억 달러), 울산(652억 달러), 서울(534억 달러) 등과는 격차가 컸다. 도는 수입에서도 1천21억 달러(전국비중 25.1%)를 기록, 서울(1천285억 달러)에 이어 2위였다. 서울과의 격차는 크지 않았지만 3위 인천(342억 달러)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도는 재정규모(2016년 일반회계예산 기준)에서도 전년 대비 6천억 원 증가한 14조 원(전국비중 14.7%)으로 서울(18조 원)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지방세와 세외수입을 합한 금액과 일반회계 예산의 비율을 뜻하는 재정자립도는 55.2%로 5위였다. 유병돈기자

농촌진흥청, 장 건강 돕는 발효 소시지 개발

농촌진흥청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한 발효 소시지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프로바이오틱스는 ‘충분한 양을 섭취했을 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살아 있는 균’을 뜻하며 유해균을 억제하고 원활한 배변활동을 돕는다. 농진청 연구진은 염지 처리한 돼지 뒷다리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KACC 92130)을 스타터(발효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발효미생물)로 첨가하고 온도와 습도를 4단계로 조절하면서 40여 일 동안 발효시켰다. 이렇게 만든 발효 소시지는 5g만 섭취하더라도 프로바이오틱스 1일 섭취기준을 충족시킨다. 일반 소시지에 비해 유산균 수는 3배가량 많으면서 풍미를 잃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지금까지 국내에서 사용된 상업용 스타터는 풍미 개선 등을 위해 프로바이오틱스가 아닌 일반 미생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다. 농진청은 이번에 개발한 스타터 균과 기술을 특허출원했으며, 고급 육제품 수요 증가에 맞춰 소규모 육가공 농가 등에 기술을 지원할 예정이다.함준상 연구관은 “발효유뿐 아니라 발효 소시지도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면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소시지 생산 기술이 돼지고기 부가가치 증진과 소비촉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병돈기자

경기도콘텐츠진흥원, 4차 산업 연계특화 지원사업 지원 대폭 강화

경기도가 올해 MCN(Multi channel network·1인 영상창작자), VR(가상현실), 빅데이터 등 4차 산업 연계특화 지원사업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할 전망이다. 경기콘텐츠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올해 경기도 콘텐츠 분야 지원사업설명회를 오는 22~23일 양일간에 걸쳐 개최한다. 사업설명회는 22일 오후 2시 부천 경기콘텐츠진흥원 9층 홍보세미나실과 23일 오후 2시 성남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7층 별똥별실에서 연이어 열린다. 진흥원은 이 설명회를 통해 총 3개의 전략과 22개의 사업을 사업별 담당자가 직접 설명하고 참석자 대상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설명회는 융합콘텐츠산업 육성 분야로 만화·애니 영화 콘텐츠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영상 크리에이터 육성, 게임산업 활성화를 위한 G-NEXT 사업과 글로벌 공략을 위한 수출지원센터 사업 등을 소개한다.콘텐츠 클러스터 강화사업에 대한 설명으로는 경기콘텐츠코리아랩, 판교·북부·광교 경기문화창조허브 확대 구축 운영 방안과 VR/AR 분야 특화 지원프로그램 등이 예정돼 있다. 경기도 빅데이터 산업 육성을 위한 민간 비즈니스모델 발굴 지원, 빅포럼, 아이디어 공모전, 민간 협업 모델 발굴 및 활용 방안 등도 공개될 예정이다. 박헌용 진흥원장은 “올해 설명회는 콘텐츠기업이 밀집한 지역을 직접 찾아 상세한 일정과 절차 등을 설명할 계획”이라며 “2017년에는 융합콘텐츠 및 빅데이터산업 육성을 통해 경기도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조성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