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르포] 남구 홀몸 노인들, 쓰레기와 악취로 고통

“어르신이 잘 계시나 순찰하다 집 앞에 쌓여 있는 쓰레기 더미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 12일 오후 2시께 인천시 남구 용현동 한 빌라. 현관문 앞에는 화분과 나무판자, 플라스틱, 천 쪼가리, 대형 박스와 고장 난 선풍기 등 수많은 쓰레기가 쌓여 있다. 집 안은 썩는 듯한 심한 악취와 함께 각종 음식물 포장지와 페트병·종이박스, 정체불명의 비닐봉지 등 쓰레기 더미에 발 디딜 틈이 없다. 집 밖으로 금방이라도 쏟아질 것처럼 쌓인 쓰레기 탓에 33㎡ 남짓한 집 안 구조는 확인조차 불가능했다. 쓰레기를 들춰낼 때마다 개미와 바퀴벌레가 쉴 새 없이 튀어나왔다. 인천 남부경찰서 직원 10여 명은 이날 A씨(61)의 집 앞에 놓인 쓰레기를 모두 정리했다. 그 양만 해도 1t 트럭을 한가득 채우고도 남았다. 집 안에는 더 많은 쓰레기가 남아 있지만, A씨가 완강히 거부해 수거하지 못했다. A씨는 “수년 동안 모은 것으로 나중에 모두 내다 팔 것”이라고 말했다. 비슷한 시각 인근의 또 다른 빌라. 왼쪽 다리 등에 장애가 있는 B씨(75)가 홀로 거주하는 집. 집 안은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어수선하고 어두컴컴한 분위기였다. 경찰은 이날 지팡이 없이는 거동이 불편한 B씨를 위해 집안 곳곳에 남아 있는 쓰레기를 수거했다. 고장 난 문고리를 무상으로 수리한 것은 물론, 곰팡이로 뒤덮였던 화장실과 침실 청소까지 말끔히 마쳤다. 앞서 경찰은 구도심 남구에서 홀몸 노인의 독거사가 끊이지 않음에 따라 지자체의 협조로 노인들의 주소를 파악, 순찰을 하는 과정에서 A씨 등을 발견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른 시일 안에 지자체, 사회복지기관 등과 협의해 A씨의 집 안에 남은 쓰레기를 수거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내 홀몸 노인을 위해 다양한 도움을 드리는 것은 물론,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최성원기자

인천유시티·경기과학기술진흥원 대표·간부, 채용과정서 다른지원자 정보 건네받아

인천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12일 채용과정에서 다른 지원자의 개인정보를 건네받은 혐의(개인정보보호법 위반)로 인천유시티·경기과학기술진흥원 대표 2명과 간부·직원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은 이들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경찰에 따르면 인천시 출자기관인 인천유시티 대표 A씨는 지난해 7월 실장·부장 등 2급 직원을 공개 채용하면서 평소 친분이 있는 입사지원자 2명에게 다른 지원자 9명의 이름·생년월일·학력·출신학교·경력·자격 등이 담긴 내부 문건을 넘겨준 혐의를 받고 있다. A 대표는 또 지난 2014년 12월 경기도 출자기관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의 원장 공개 초빙에 지원한 지인 B씨에게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직원을 통해 개인정보가 포함된 공모자 11명의 현황과 도덕성검증위원회 위원 10명의 명단 등을 빼내 전달한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 조사 결과 경쟁자들의 개인정보를 건네받은 지원자 3명은 모두 채용돼 현재 인천유시티 간부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편, 경찰은 인천유시티의 과거 입찰 비리에 대해서도 수사하는 한편, 지자체 출자기관 인사 채용과 관련한 개인정보 유출이 더 있는지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민우기자

법원, OCI 세금 3천844억원 중 2천880억원 취소

서울고법 행정3부(정형식 부장판사)는 12일 OCI㈜가 남대문세무서장과 인천세무서장을 상대로 낸 세금 불복 소송에서 “OCI에 부과된 법인세 2천742억여 원 중 1천823억여 원, 가산세 총 1천102억여 원 중 1천56억여 원을 취소하라”고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당국이 부과한 3천800억 원대 세금 중 965억여 원만 인정했다. OCI는 지난 2008년 5월 화학제품제조 사업부문과 도시개발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해 자회사 ㈜DCRE를 설립하고, 이 과정에서 법인세법상 적격분할로 구분해 신고하면서 자산양도차익 7천485억여 원을 손해로 잡았다. 하지만, 남대문세무서는 2013년 8월 DCRE 설립이 적격분할에 해당하지 않아 양도차익은 손해가 아니라며 OCI에 법인세와 가산세 3천억여 원을 매겼다. 인천세무서도 비슷한 무렵 85억여 원의 세금을 부과했다. 이에 따라 OCI는 DCRE 분할은 적격분할이라서 이 같은 법인세 부과는 부당하다며 소송을 냈다. 앞서 1심은 분리사업이 가능한 사업부문을 분할한 것이고 분할 사업부문 자산 및 부채를 포괄 승계한 점에 비춰 적격분할이라고 판단, 법인세 등 약 3천20억 원을 취소하라며 사실상 OCI 승소 판결을 했다. 이와 함께 인천시도 같은 이유로 지난 2012년 DCRE에 원금 500억 원에 가산금·이자를 포함해 1천700억 원의 세금을 부과하자 DCRE가 이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으며, 1심에서 승소했지만 시가 항소해 현재 심리 중이다. 이민우·최성원기자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 옥시 불매운동 본격 나서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기업의 횡포가 한국사회에 발붙일 수 없도록 시민이 동참해주셔야 합니다.” 전국유통상인엽합회 인천지부를 비롯해 시민사회단체는 12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홈플러스 앞에서 옥시제품 판매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소비자단체협의회, 국민의당 인천시당, 정의당 인천시당 등 11개 단체 40여 명이 참여했다. 특히 옥시제품으로 인한 피해자와 그 가족이 함께 참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아직도 옥시 제품을 진열 판매하는 대형마트 등을 비판하며 “국민을 죽인 회사의 제품은 사는 것도, 파는 것도 안된다. 탐욕을 앞세워 옥시제품을 판매하는 대형마트는 당장 판매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옥시제품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윤정애씨는 “15년간 고통을 받아왔고, 몸이 아픈 건 나지만 가족이 함께 고통받고 있다”며 “불매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옥시 처벌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홈플러스에 쇼핑용 카트를 끌고 들어가 매장 내 옥시제품을 매장 밖으로 빼낸 뒤 사진촬영을 하는 등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들 단체는 오는 16일까지 인천 전역에서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불매운동을 벌이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옥시제품이 판매될 경우 항의방문과 판매중단 촉구서 전달 등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옥시가 한국에서 발붙일 수 없도록 시민이 윤리소비를 해달라”며 “시민과 함께 살인기업을 몰아낼 때까지 불매운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이인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