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17월드컵’ 한국, 벨기에에 선제골 허용 0-1로 전반전 종료

한국 벨기에.한국 U-17 축구대표팀이 2015 국제축구연맹(FIFA) U-17 월드컵 16강전에서 벨기에에 선제골을 내주면서 전반전을 0대 1로 마쳤다.최진철 감독이 이끄는 한국대표팀은 29일(이하 한국시각) 칠레 라 세레나의 라포르타다 스타디움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16강전에서 전반 11분 만에 요른 반캄프에게 실점했다.반캄프에게 골을 내주면서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첫 실점의 아픔을 맛봤다.한국은 기니와의 조별리그 2차전과 똑같은 선발명단을 들고 나와 벨기에와 맞섰다.이승우(바르셀로나)와 유주안(매탄고)을 최전방 투톱 스트라이커로 세운 한국은 중원에 김정민(금호고)과 장재원(현대고)을 포진하고 좌우 날개에는 박상혁(매탄고)과 김진야(대건고)를 내세웠다.포백라인은 왼쪽부터 박명수(대건고), 이상민(현대고), 이승모(포항제철고), 윤종규(신갈고)가 포진하는 가운데 골키퍼는 안준수(의정부FC)가 맡았다.한국은 전반 11분 만에 패스 실수가 빌미가 돼 실점했다.주장 이상민이 벨기에 진영에서 짧게 내준 프리킥이 상대 미드필더에게 막혔다.볼을 가로챈 벨기에는 곧바로 한국 진영 뒷공간을 향해 길게 볼을 투입했고, 반캄프가 이어받아 단독 드리블한 뒤 골키퍼와 1대1 상황에서 침착하게 득점에 성공했다.이번 대회에서 4경기째 만에 처음 실점한 한국은 이승우가 전반 30분 중앙선을 가로지르며 멋진 드리블로 공격에 나섰지만 벨기에 수비진의 강한 태클에 막히는 등 이렇다 할 공격을 보여주지 못한채 전반을 0-1로 마감했다.온라인뉴스팀

‘마을 아치아라의 비밀’ 문근영, 장희진이 언니라 확신… 잔인하고 안타까운 운명

‘마을 아치아라의 비밀’‘마을-아치아라의 비밀’ 문근영이 잔인할 만큼 안타까운 운명과 마주했다.지난 28일 방송된 SBS 수목드라마 스페셜 ‘마을-아치아라의 비밀’에서는 한소윤(문근영 분)의 언니가 죽은 김혜진(장희진 분)이라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소윤이 혜진의 시체를 발견했던 바로 그 날, 그녀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23년 만에 언니와 재회를 했던 것.이날 방송에서 소윤은 “너랑 나랑 같이 TV에도 나왔잖아”라는 유령아기엄마의 말에 그녀가 출연한 방송을 확인하다가 혜진으로 추정되는 여성을 발견했다. 점점 커져가는 의심에 소윤은 PD를 찾아가 원본 영상을 확인했고, “다들 유령아기엄마가 미친 여자라고 피할 때, 우리 엄마도 그리움에 미쳐 나를 찾고 있을 거다”라며 유령아기엄마를 보살핀 여성이 혜진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언니일지도 모르기에 화면 속 혜진을 보며 아무 말 없이 눈물을 흘린 소윤의 모습은 시청자들의 애처로움을 자아냈다.충격적인 진실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혜진의 엄마라던 영옥은 그녀의 친모가 아니었던 것. 친딸 김혜진이 급류에 휩쓸려 사망하자, 딸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영옥이 자신의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소정을 수양딸로 거둬들이며 모녀 사이처럼 지냈던 것이었다. 결국 살아만 있길 바랐던 언니 소정은 더는 소윤이 만날 수 없는 곳으로 떠나버렸다. 하지만 혜진의 죽음을 풀어줄 실마리들도 발견됐다. 죽기 전 혜진이 어머니가 같은 여자 자매를 찾았다는 유전자 검사 결과지가 발견됐기 때문. 또 소윤은 유령아기엄마를 촬영했던 PD의 제안으로 ‘1984년 당시 아치아라 지역에서 행해진 신생아 불법 입양에 관련된 일을 하셨거나 정보를 갖고 있는 분들은 제보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자막을 방송에 내보냈다. 이를 본 경순(우현주 분)은 이를 보자마자 강주희(장소연 분)를 찾아가 “뱅이 아지매를 찾고 있어!”라고 전하며 궁금증을 자아냈다.한편 미스터리 트랩 스릴러 ‘마을-아치아라의 비밀’ 8회는 29일 밤 10시에 방송된다.온라인뉴스팀사진= 마을 아치아라의 비밀, 방송 캡처

LG유플러스, 비용절감ㆍ재무구조 개선 통한 이익 성장 기대-삼성증권

삼성증권은 29일 LG유플러스에 대해 비용절감과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꾸준한 이익 성장을 예상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3000원을 유지했다.양승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LG유플러스는 전년동기 대비 1.4%, 전분기 대비 10.5% 감소한 1721억원의 영업이익을 발표했다"면서 "이는 시장 예상치와 유사하다"라고 분석했다.그는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를 "데이터 중심 요금제 도입과 선택적 요금할인 가입자 비중 증가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가 정체된 상황에서 단말 판매량 증가로 마케팅 비용이 소폭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단통법으로 신규와 기변 가입자에게 동일한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번호이동을 통한 가입자 성장이 과거처럼 쉽지 않으며 LTE 비중이 80%를 넘어서면서 LTE 전환을 통한 ARPU 성장도 둔화된 상황이다.양 연구원은 "경쟁 강도가 완화되고 선택적 요금할인이 확대되면서 마케팅 비용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가 예상된다"면서 "LTE 보급 초기와 같은 가파른 이익 성장을 기대하기보다는 비용절감과 재무구조 개선에 따른 꾸준한 이익 개선이 주요 투자 아이디어"라고 판단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