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의정부 지법 전국 18개 법원 중 성범죄 양형 기준 가장 안지켜

의정부지법이 전국 18개 법원 가운데 성범죄 양형 기준을 가장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서영교 의원(새정치)이 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의정부지법의 성범죄 양형 기준 준수율은 80.3%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8개 법원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전국 평균인 86.7%보다도 무려 6.4%p나 낮은 수치다. 이어 인천지법이 80.4%의 성범죄 양형 기준 준수율을 기록해 18개 법원 중 17위를 차지했으며, 수원지법은 87.7%로 8위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경인지역 법원들의 성범죄 양형 기준 준수율은 갈수록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의정부 지법의 양형 기준 준수율은 지난 2013년 86.7%에서 지난해 80.3%로 6.4%p 하락했으며, 인천지법도 86.7%에서 80.4%로 6.3%p 떨어졌다. 이와 함께 수원지법도 88.6%에서 87.7%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집계돼 경인지역 법원들이 성범죄 양형 기준을 갈수록 지키지 않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영교 의원은 갈수록 성범죄가 교묘해지고 잔인해지고 있는데 법원이 성범죄의 양형 기준을 지키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대법원 양형 위원회가 성범죄 양형 기준을 보다 강화하겠다고 하고 있는데 그 이전에 일선 지방법원들이 정해져 있는 양형 기준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양형 기준이란 법관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형량 차이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대법원이 범죄 유형별로 지켜야 할 형량 범위를 정해둔 것을 의미한다. 의정부=박민수기자

경기하늘바다축전 개최

경기도 최대 캠핑축제가 시흥시 시화 MTV에서 경기하늘바다축전과 함께 개최된다. 오는 8일부터 나흘간 시흥시 시화 MTV에서 펼쳐질 이번 축전은 350대의 카라반과 250동의 텐트가 설치된다. 참가자는 사전접수를 통해 모집했다. 이번 캠핑축제는 드넓은 행사장 뿐만 아니라, 행사기간 동안 40여 가지의 다양한 체험, 각종 해양레저스포츠 퍼포먼스, 버스킹 공연, 의장대 시범, 전시 등을 함께 즐길 수 있고, 17개 업체로 구성된 F&B에서 풍성한 먹거리를 준비한다. 특히, 캠핑이 진행되는 동안 경기하늘바다축전 행사장에서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하늘에서는 열기구체험, 어린이 항공교실(모형제작), 드론체험이, 바다에서는 요트아카데미, RC보트체험, 드래곤보트체험, 우든카약만들기가, 지상에서는 아르고체험, BMW GS 챌린지, ATV체험과 놀이기구 6종, 만들기 10종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 경기도재난안전본부는 가상 소방관체험, 가상 소화기사용체험, 물소화기체험, 옥내소화전체험, 심폐소생술체험, 풍수해체험, 지진체험, 물놀이 안전체험, 연기미로 탈출체험, 지하철사고 대피체험 등을 통해 119재난안전체험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개막식에는 중부해양경비안전본부 관현악단과 해양경비안전교육원 의장대의 시범이 선보일 예정이며, 핫도그 먹기대회, 경기소방 항공구조 시범, 수상레저 퍼포먼스 등의 이벤트 행사가 마련될 예정이며, 청소년가요제, 버스킹 등의 공연이 펼쳐진다. 한편, 시흥시 시화MTV에서 8일부터 11일까지 열리는 이번 2015경기하늘바다축전은 하늘과 바다, 지상의 다양한 레저체험 프로그램과 안전교육프로그램을 하나로 엮은 복합레저 가족페스티벌로 펼쳐진다. 시흥=이성남기자

[국감] 환경특별사법경찰관 1명당 담당 업체 6천여 곳 관리

환경특별사법경찰관 1명당 담당 업체수가 지난 8월말 기준 6천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석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환경특별사법경찰 1인당 담당업체수는 지난 2012년 3천30곳에서 2013년 3천395곳, 2014년 3천937곳, 올해 8월 6천162곳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강유역환경청의 경우 지난 8월 기준 9천957곳으로, 지난 2012년 2천591곳에 비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한강청의 환경특별사법경찰의 수가 57명에서 13명으로 77%나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이 의원은 주장했다. 이에 따라 업체 점검률도 해마다 크게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4년의 경우 점검 대상 업체 29만1천328곳 중 점검한 업체는 7천674곳으로 점검률이 2.6%에 불과했다. 이 의원은 연간 점검률이 2.6%라는 것은 담당 업체를 한 번 돌아보는데 38년이 걸린다는 것이다며 환경 당국은 환경특별사법경찰 증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특별사법경찰은 환경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행정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해 대기와 수질, 폐기물 등 환경 관계 단속ㆍ수사 사무를 하도록 하는 제도로 지난 1990년부터 도입, 운영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