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마감] 연기금 매수 행렬에 상승 마감…장 중 1930선 횡보 흐름

코스피 지수가 소폭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매도 물량을 쏟아냈지만 연기금이 18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하락을 방어했다. 15일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6.10포인트(0.32%) 상승한 1937.56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1930.44(-0.05%) 에 장을 시작한 코스피는 이내 상승 반전했지만 상승폭을 확대하지 못하고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오후 들어 상승세로 돌아선 코스피는 장 마감 전 상승폭을 키우며 소폭 오름세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전일의 하락세를 이어가며 큰 폭의 낙폭을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오후 2시 5분 현재 전일보다 3.63% 하락한 3001.71를 기록 중이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기관은 2126억원어치 순매수하며 지수를 이끌었다. 다만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352억원, 1163억원 순매도하며 지수 상승을 제한했다. 외국인은 지난 8월 5일부터 이날까지 29거래일째 매도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올랐다. 증권(2.54%), 섬유의복(2.31%), 의료정밀(2.22%) 등이 비교적 강하게 상승한 가운데 은행(1.66%), 의약품(1.41%), 통신업(0.90%) 등이 상승률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철강금속(-0.69%), 운수창고(-0.53%), 전기전자(-0.25%) 등이 하락 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시가총액 상위 10위권 내에서는 하락 종목이 많았다. 삼성에스디에스가 1.08% 하락했고 합병 후 거래를 재개한 삼성물산이 0.95% 내렸다. 반면 현대차와 기아차가 원화 약세수혜 기대감에 각각 1.29%, 1.18% 올랐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상한가 2개를 포함한 474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325개 종목이 내렸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코스닥 마감] FOMC 앞두고 관망세…소폭 상승

코스닥 지수가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지난 11일 이후 물량을 쏟아내던 기관이 사흘 만에 순매수로 전환했지만 지수는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보합권에서 횡보하는 흐름을 보였다. FOMC 회의를 앞둔 투자자들이 시장을 관망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코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3.87포인트(0.58%) 상승한 666.75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이 235억원을 매도 우위를 기록했지만 개인이 270억원을 사들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기관도 사흘만에 순매수로 전환해 3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했다. 운송업이 4.01%로 상승폭이 가장 컸고 건설, 전기전자, 금융업종도 각각 1.92%, 1.86%, 1.57% 상승했다. 반면 종이/목재, 통신서비스는 각각 1.33%, 1.18% 하락 마감했다. 디지털콘텐츠, 금속, 음식료/담배도 하락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시가총액 10위권내의 대부분 업종도 상승했다. GS홈쇼핑이 2.58%, 이오테크닉스가 2.39%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메디톡스 1.38%, 셀트리온이 1.14%로 뒤를 이었다. 반면 동서와 파라다이스는 각각 1.22%, 0.23% 하락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한가 8개를 포함한 585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413종목이 내렸다. 뉴프라이드가 중국 면세점 진출 소식으로 상한가를 기록했고, 케이테코를 인수했다는 소식에 이아이디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오늘의 상한가] 이아이디, 케이테코 인수 소식에 上

15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코스피 상장법인 2개, 코스닥 상장법인 8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이아이디는 전일 대비 29.87%(560원) 오른 2435원으로 장을 마쳤다. 이아이디는 박종권 외 6인과 주식 및 전환사채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고 케이테코의 보통주(지분율 100%), 우선주(지분율 100%) 및 전환사채(액면가 22억 5000만원)를163억 8900만원에 양수할 예정이라고 전일 공시했다. 케이테코는 시스템 폼, 시스템 서포트, 엔지니어링 서비스, 수출입 무역업 등을 하고 있다. 지난 7일 중국에서 면세점업에 진출한다고 밝힌데 이어 사업을 확장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성문전자우 역시 상한가를 기록하며 7590원으로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뉴프라이드가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4680원으로 장을 마쳤다. 뉴프라이드도 중국 면세점 사업에 진출하면서 상한가 행진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새로닉스(종가 3730원), 뉴프렉스(종가 3000원), 엠제이비(종가 2285원), 광진윈텍(종가 2730원), 이트론(종가 523원), 이화전기(507원), 케이디건설(종가 283원) 등이 상한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외에 아이팩토리(종가 2040원), 뉴프렉스(종가 2310원) 등이 상한가 행진에 동참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장애인 300여명 명의 빌려 아파트 분양권 받아낸 부동산업자들 징역형

수원지법 형사10단독 이의석 판사는 장애인들의 명의를 사들여 아파트 분양권을 받아낸 혐의(주택법위반 등)로 김모(49)씨에게 징역 10월을 선고하고, 박모(43)씨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고 15일 밝혔다. 또 이들을 도운 김모(34)씨 등 부동산업자 2명 등 공범 3명에게 징역 4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 이 판사는 판결문에서 "피고인들의 범행은 장애인 등을 위한 아파트 특별공급 제도를 악용한 것으로 당첨자 선정절차의 공정성을 훼손하고 주택공급질서를 교란시켰다"고 판시했다. 김씨 등은 2013년 11월27일부터 2014년 2월18일까지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에서 비교적 당첨확률이 높은 특별공급으로 청약신청을 하려고 분양의사와 능력이 없는 장애인 300여명의 명의를 빌려 청약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들은 부산지역 장애인협회 지부장들을 통해 장애인들로부터 특별분양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받았으며, 서류비 명목으로 장애인 1인당 5만원을 건넨 것으로 조사됐다. 김씨 일당은 아파트를 분양받은 뒤 비싼값에 되팔아 전매차익을 얻으려고 했으며, 실제로 총 25세대의 아파트 입주권을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고위공직자 아들 18명, 국적 버리고 군대 안갔다… 외국 영주권자 자원 입영 겨우 4명

고위공직자 아들 행정부와 사법부 현직 고위 공직자의 아들 18명이 대한민국 국적을 버리고 외국 국적을 얻어 병역 의무에서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새정치민주연합 안규백 의원이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행정부와 사법부 4급 이상 직위에 재직 중인 공직자의 아들 가운데 국적 이탈 혹은 상실의 사유로 병적에서 제적된 사람은 18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미래창조과학부 고위 공직자의 아들이 4명으로, 가장 많았다. 외교부 고위 공직자의 아들도 2명이나 됐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 고위 공직자 1명은 아들 2명이 모두 캐나다 국적을 얻어 병역에서 벗어났으며 나머지 16명은 모두 미국 국적을 취득함으로써 한국 국적을 버렸다. 이들과 같이 국적 이탈상실로 병적에서 제적되는 사람은 지난 2012년 2천842명이었으나 이듬해 3천75명으로 늘고 작년에는 4천386명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올해 17월에도 이 같은 사람은 2천374명에 달했다. 이들과는 대조적으로 외국 영주권을 갖고 있어 군대에 가지 않아도 되는데도 자진 입대함으로써 애국심을 실천한 사람은 2011년 200명에서 작년에는 436명으로, 3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올해 17월에도 이 같은 사람은 316명에 달했다. 그러나 현재 행정부와 사법부 고위 공직자의 아들 가운데 시기와는 상관없이 외국 영주권자로서 자원 입영한 사람은 겨우 4명에 불과했다. 징병검사에서 질병으로 4급(보충역)이나 5급(면제) 판정을 받고도 병을 고쳐 현역으로 자원 입영한 사람은 지난해 227명이었으며 올해 17월에는 123명으로 집계됐으며, 행정부와 사법부 고위 공직자의 아들 중 이 같은 사례에 해당하는 사람은 모두 10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현재 법원에 재직 중인 판사 3명은 본인이 질환이 있어 현역 입영을 피할 수 있음에도 이를 고치고 자원 입대한 것으로 파악됐다. 안규백 의원은 소수이지만 병역 이행에서 모범을 보이는 공직자들이 있어서 다행이라며 고위 공직자들이 갖가지 방법으로 병역을 회피한다면 비판받아 마땅하므로 엄중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고위공직자 아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