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인천국제공항에서 이륙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1천67m 상공에서 새와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큰 혼란 없이 여객기는 계속 운항했지만, 자칫 조류가 엔진으로 빨려 들어갔다면 기체 이상 등으로 큰 혼란을 빚거나 대형사고로까지 이어지는 아찔한 순간이었다. 앞서 지난 4월엔 인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던 대한항공 화물기가 152m 상공에서 새 한 마리가 엔진과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엔진이 고장 나면서 기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등 아찔한 순간이었지만, 다행히도 항공기는 나머지 엔진을 가동해 인천공항 주변을 크게 돈 뒤 무사히 착륙했다. 이처럼 국내 항공기의 조류충돌 사고가 최근 잇따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30일 이찬열 국회의원(새정치수원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지난 6월까지 국내 항공기의 조류충돌사고는 모두 835건에 달했다. 특히 지난 2012년 160건이던 조류충돌사고는 지난해 234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조류충돌 여파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는 항공기체는 엔진이다. 최근 5년간 835건의 사고 중 모두 246건이 엔진에 부딪혔다. 이어 날개 132건, 레이돔(항공기 앞 레이더 안테나 덮개) 117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조류충돌 사고로 부품수리는 물론 항공기 회항 및 결항사태까지 빚어질 수 있는데다, 대부분 사고가 비행 도중에 발생해 관련 대응책 마련도 쉽지 않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기의 조류 충돌 방지를 위해 공항별 조류퇴치 전담인원 및 장비를 상시 배치하고 있다며 국내 각 공항 및 공항 주변 조류유인요소를 사전에 차단해 사고예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응답자 85.9% 육아휴직 사용 못했다 52.2%만 출산휴가 사직 부채질 주범 인천지역 내 사회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여성종사자 대부분이 육아휴직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당수는 출산휴가 3개월조차 쓰지 못해 출산 후 절반 이상이 일을 그만두는 실정이다. 3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최근 인천발전연구원은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79명(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설문 결과 여성종사자의 85.9%가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육아휴직을 했더라도 2개월 9%, 3개월이 27% 등 3명 중 1명이 3개월 정도만 사용했을 뿐이다.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업무량이 많지만, 종사자 수가 적은 사회복지시설 구조상 업무 공백으로 동료 직원에 많은 부담을 주는 점이다. 또 사회복지시설 특성상 여성종사자가 많은데도 직장 내에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못한 점, 육아휴직 후 직장 복귀 불확실 등 고용 불안이 주요 이유로 꼽혔다. 특히 출산 전후 휴가 3개월조차도 52.2%만 모두 사용했을 뿐, 출산 여성종사자 상당수가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남성종사자도 법적으로 배우자 출산 시 유급 5일의 출산휴가를 쓸 수 있지만, 26%만 5일을 모두 썼을 뿐이다. 아예 하루도 휴가를 쓰지 못한 비율이 26.1%였고, 3일(34.8%), 1일(8.7%) 등이었다. 이처럼 여성종사자들의 출산에 따른 휴가가 보장되지 않으면서 출산과 동시에 여성 종사자 2명 중 1명은 자의나 타의로 일을 그만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근무환경개선을 위해 임신출산휴가육아휴직으로 인한 불이익 금지 및 고용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에 의해 3년 단위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해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벌이고, 그 결과를 근거로 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한 시대를 풍미했던 가수들이 수원에 총출동해 잇달아 히트곡을 열창하며 관객의 추억을 소환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이번 콘서트의 출연 가수들이 높은 인기를 끌었던 1990년대에 청소년이었던 관객들이 성인으로서 부모와 자녀 등 가족과 함께 공연을 즐기면서 전 세대가 어우러지는 훈훈한 장면이 펼쳐졌다. 경기일보가 창간 27주년을 기념해 지난 29일 오후 6시부터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공동 주최한 슈퍼콘서트 토요일을 즐겨라 이야기다. 논스톱으로 진행된 이날 콘서트에는 90년대 가요 열풍에 화룡점정이었던 가수들이 대거 출연했다. 룰라, 코요테, 소찬휘, 클론, 이정현, 조성모, SES, 김장훈, 지누션, 쿨, DJ DOC, 김건모, 철이와 미애 등이다. 핀 조명을 받으며 등장한 DJ 처리는 감각적이고 화려한 무대 영상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믹싱 음악을 선보이며 콘서트의 시작을 알렸다. 오프닝 무대는 룰라의 <3!4!>로 열렸다. 관객은 멤버 채리나의 일어나요!라는 말에 자동적으로 일어나 경쾌한 멜로디에 몸을 맡겼다. 이어 김원준의 <모두 잠든 후에>, 코요테의 히트곡 퍼레이드, 불기둥과 함께 등장한 R.ef, 명불허전 가창력을 자랑한 소찬휘까지 관객은 춤추며 노래를 따라 불렀다. 객석의 열띤 분위기는 3시간 넘도록 달궈졌다. 휠체어 댄스를 선보인 클론의 <쿵따리 샤바라>와 여전사 이정현의 <와>, DJ DOC의 히트곡을 한 목소리로 노래했다. 특히 관객은 공연 도중 음향 사고로 똑같은 레퍼토리를 두 번이나 열창한 그룹 쿨과 여성 대체 멤버로 출연한 코요테 신지, 쌍둥이 딸이 보고 있는데 관객 중 저처럼 아이와 함께 온 분이 많은 것 같다면서 무대를 즐겁게 누빈 SES의 슈 등의 프로다운 모습에 환호성으로 화답했다. 또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과 출연진이 함께 DJ DOC의 노래를 부른 앙코르 무대까지, 추억과 한 여름 밤 낭만에 흠뻑 젖어 뛰고 또 뛰었다. 관객 이창욱(53)씨는 DJ처리를 좋아하는 모임 중 지역 모임인 서태안(서산태안)VIP이 2시간 이상 달려 왔는데 30대부터 70대까지 우리 회원 모두 즐길 수 있는 행복한 공연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가족 6명과 함께 온 구본일(56)씨는 25살인 둘째딸이 보고 싶어해서 난생 처음으로 함께 왔는데 기대만큼 신나게 놀고 간다면서 환하게 웃었다. 한편 콘서트에 앞서 2시간 가량 특별게스트 오렌지캬라멜이 출연하고 애프터스쿨의 가은이 파워 디제이로 변신하는 등 디제이 워터 페스티벌이 진행돼 분위기를 돋웠다. 류설아기자
인기가요 소녀시대. SBS 인기가요에 출연한 소녀시대가 마침내 6관왕의 기록을 세워 위상을 과시했다. 소녀시대는 30일 방송된 인기가요에서 신곡 라이온하트로 무대를 제압했다. 그리고, 결국 빅뱅과 SG워너비 등을 꺾고 1위에 등극했다. 소녀시대는 라이온 하트로 SBS MTV 더쇼, MBC 뮤직 쇼챔피언, Mnet 엠카운트다운, KBS 뮤직뱅크, MBC 음악중심에 이어 6번째 트로피를 거머쥐는 기염을 토했다. 온라인뉴스팀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김성회ㆍ한국집단에너지협회장)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개최한 2015 집단에너지 국제세미나가 집단에너지의 새로운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동시에 지역 냉ㆍ난방 시스템 확대 보급의 필요성을 알리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평가를 이끌어내며 성황리에 폐막했다. 지난 27~29일 사흘간 The-K 서울호텔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세계 각국의 집단에너지 전문가 80여명을 포함해 400여명이 참석했다. 개막 첫날인 27일에는 국내ㆍ외 인사 1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국과 IDEA(International District Energy Associationㆍ미국), EHP(Euroheat & Powerㆍ유럽), 중국, 몽골 간 집단에너지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식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각국의 집단에너지 관계자들은 앞으로 정기적으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데 합의했다. 28일에는 집단에너지의 새로운 미래, 어떻게 열 것인가란 주제로, 행사에 참여한 국내ㆍ외 400여명의 관계자들이 집단에너지의 미래 비전을 위한 세미나를 진행했다. 특별연사로 참여한 로빈 윌셔 IEA(Intrenational Energy Agency)-DHC 의장과 로버트 쏜튼 IDEA 회장 등은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써 집단에너지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유럽과 북미지역의 지역 냉ㆍ난방과 열병합발전 확대 계획을 밝혔다. 또 미국과 덴마크, 중국, 독일,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참여한 연사들도 지역 냉ㆍ난방 수요개발 및 보급확대 전략, 국가별 CHP/DHC 역할과 지원정책, 미래융합형 집단에너지 기술 등을 주제로 한 강의를 통해 지역 냉ㆍ난방 및 열병합발전소 확대보급 지원 정책과 미래 기술 개발 방향 등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양원창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수요관리과장은 4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에 대해 설명하며, 집단에너지를 통한 미활용 열에너지 이용을 위해 국가적인 열지도(Heat map) 작성에 착수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와 함께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감축 기술과 지역난방 열을 활용한 제습 냉방 기술 등 공사의 친환경 기술을 소개, 국ㆍ내외 참가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김성회 사장은 이번 행사가 국가적인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이바지해 온 지역 냉ㆍ난방 시스템의 우수성과, 확대보급 필요성을 널리 알릴 기회의 장이 됐다면서 공사는 앞으로도 집단에너지 확대 보급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내년 9월 IEA-DHC가 주관하는 제15차 지역 냉ㆍ난방 국제 심포지엄을 아시아 최초로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김규태기자
지난달 신설법인 수가 6월에 이어 월별 기준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40~50대가, 업종별로는 건설업과 부동산임대업 등이 창업을 주도했다. 중소기업청이 30일 발표한 신설법인 동향에 따르면, 7월 신설법인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9.9%(807개) 증가한 8천936개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6월 8천778개를 뛰어넘는 역대 최고 수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2천56개, 23.0%), 도ㆍ소매업(1천899개, 21.3%), 건설업(964개, 10.8%), 부동산임대업(948개, 10.6%) 등 순으로 설립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부동산임대업(305개)과 건설업(230개) 등이 증가세를 나타냈다. 연령별로는 40대(3천365개, 37.7%)와 50대(2천400개, 26.9%)가 신설법인 성장을 이끌었다. 여기에 30대 청년들의 창업도 1천939개(21.7%)로 창업 활성화에 한몫했다. 연령대-업종별 현황에서는 30대 미만~30대의 청년계층은 도소매업(117개, 510개)을, 40~50대에서는 제조업(783개, 623개)에서의 창업이 활발했다. 한편 올해 들어 새로 생긴 법인은 모두 5만5천354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6%(5천740개) 늘어났다. 부동산임대업(1천524개)과 도소매업(1천275개), 건설업(1천53개)이 증가율을 이끌었다. 중기청 관계자는 7월 창업은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10% 내의 탄탄한 증가세를 보였다며 지속적인 창업지원 정책과 부동산 호경기를 반영한 건설업의 높은 창업활동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관주기자
봉필규 경기도상인연합회 제4대 회장(51ㆍ안양남부시장 상인회장) 취임식이 지난 28일 오후 3시 안양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됐다. 봉 회장은 이날 전통시장 경영 발전을 위한 1시장 1매니저 도입과 전통시장 협동조합ㆍ물류센터 조성, 안전한 시장 만들기, 상인 재산권 보호 등 공약들을 차질 없이 수행할 것이라며 앞으로가 경기도 전통시장 발전의 골든타임으로 생각하고 끊임없이 소통해 나가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한편, 봉 회장은 지난달 3일 도상인연합회 임시총회에서 유효표 82표 중 43표(52.4%)를 획득, 재선에 성공했으며 임기는 3년이다. 이관주기자
최근 전세금이 집값의 70%에 육박하는 등 집값 폭락 때 깡통전세가 생길 우려가 커지면서 전세금 보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세금 보험은 전세계약 종료 시 집주인에게 돌려받아야 하는 전세보증금 반환을 보장해주는 상품이다. 30일 SGI서울보증 등에 따르면, 전세금 폭등과 초저금리에 따른 대출증가로 전세금 지키기가 불안해지면서 전세금 보험을 찾는 가입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SGI서울보증의 전세금 보장신용보험의 경우 지난 7월말까지 전세금 보장신용보험 가입건수는 8천500가구, 가입금액은 1조70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가입건수 1만2천900가구, 가입금액 1조5천원을 기록했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SGI서울보증 관계자는 전세금을 떼일 수 있다는 우려들이 많아지면서 전세금 보험에 대해 가입조건과 보증금액에 대한 문의가 자주 이어진다고 말했다. 전세금 보험은 SGI서울보증의 전세금 보장신용보험과 대한주택보증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두 가지다. SGI서울보증의 전세금 보장신용보험은 1년 이상 임대차 계약 중 계약 시작일로부터 10개월이 지나지 않은 시점까지 가입할 수 있다. 대한주택보증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전세계약 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까지 가능하다. SGI서울보증은 각 지점에서 상품가입이 가능하고 대한주택보증은 우리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다. 보장받을 수 있는 전세금의 보증한도는 주택가격의 60~100%다. 예를 들어 집값이 1억원이고 대출이 4천만원 설정돼 있다면 6천만원까지만 보험가입을 할 수 있다. 지금처럼 전세금과 집값이 비슷한 경우,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100% 보장받으려면 최대한 대출이 없는 전세물건을 골라야 한다. 주택가격은 실거래가, 분양가격 등을 고려해 산정된다. 가입한도는 대한주택보증은 주택가격이 수도권의 경우 4억원 이하, 그 외 지역은 3억원 이하까지 가입할 수 있다. SGI서울보증은 가입 한도가 없다. 수수료율은 대한주택보증은 연 0.15%, SGI서울보증은 연 0.192%다. 전세계약이 일반적으로 2년인 점을 감안해 전세금 1억원을 보장받을 때 각각 30만원, 38만4천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 대한주택보증은 수수료를 6개월 분할납부할 수 있고 SGI서울보증은 나눠서 낼 수 없다. 이정현기자
복면가왕 기타맨. MBC 일밤-복면가왕(이하 복면가왕) 기타맨은 엑소의 첸으로 밝혀졌다. 30일 오후 4시50분 방송된 복면가왕에선 가왕후보 결정전이 드라마틱하게 펼쳐졌다. 기타맨은 가요계 디바 신효범을 꺾고 가왕 결정전 진출 자격을 얻었다. 이어 기타맨은 김동률의 취중진담으로 여심을 공략했다. 가왕 니가 가라 하와이는 방어전으로 정경화의 나에게로 초대를 열창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니가 가라 하와이는 2연승을 하며 가왕 자리를 지켰다. 이후 11대 복면가왕이 공개됐다. 기타맨 복면을 벗자 엑소 첸의 얼굴이 드러났다. 온라인뉴스팀
하남시 ◇4급 승진 △안전자치행정국장 장영모 ◇5급 승진 △도시과장 오세인 △미사1동장 이수호 ◇5급 전보 △기획예산담당관 진영애 △종합민원과장 류경순 △세무과장 신기철 △회계과장 김형분 △문화체육과장 양희영 △사회복지과장 김동화 △교육지원과장 문창식 △농업지원과장 박성래△기업지원과장 김재의 △환경보호과장 박건석 △자원관리과장 최문환 △주택과장 이철경 △상수도과장 정상원 △하남시립도서관장 김주하 △하남시의회 수석전문위원 이명훈 △초이동장 박영기 중부지방국세청 ◇행정사무관 승진 △감사관실 김종무 △〃정석현 △납세자보호담당관실 장석진 △성실납세지원국 개인납세1과 곽병설 △〃김재민 △성실납세지원국 법인납세과 이호관 △징세송무국 징세과 김진숙 △〃장영서 △징세송무국 체납자재산추적과 박종완 △조사1국 조사1과 이교진 △〃임기성 △조사1국 조사2과 이연선 △조사1국 국제거래조사과 박진영 △조사2국 조사관리과 서인창 △〃원성희 △조사2국 조사1과 박옥임 △조사2국 조사2과 김심선 △조사3국 조사관리과 이성협 △〃한수길 △조사3국 조사1과 전봉준 △조사3국 조사2과 이성만 △조사4국 조사1과 전주석 △조사4국 조사2과 서기열 △조사4국 조사3과 조국환 △운영지원과 최형진 △인천세무서 재산세과 황길식 △서인천세무서 운영지원과 복용근 △남인천세무서 개인납세2과 국중현 △부천세무서 법인납세과 김병규 △안양세무서 운영지원과 최환영 △동안양세무서 법인납세과 이희섭 △안산세무서 법인납세과 박경용 △수원세무서 재산법인납세과 이강무 △평택세무서 개인납세1과 권춘식 △신광주세무서 운영지원과 윤미자 △파주세무서 운영지원과 양희석 △시흥세무서 법인납세과 이성호 △용인세무서 운영지원과 이민병 △홍천세무서 세원관리과 배종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