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운세] 8월 19일 수요일 (음력 7월 6일 /丁卯) 띠별 / 생년월일 운세

[오늘의 운세] 8월 19일 수요일 (음력 7월 6일 /丁卯) 띠별 / 생년월일 운세 쥐띠 36년생재물지출 소변계통질병조심 음주실수 운 48년생인기상승 초대받고 상사의조언 만사해결 60년생명예생기고 재물원만 연인데이트 만사吉 72년생애인생기고 데이트 술 음식생기고 재수길 소띠 37년생형제친척모임성사 문서변화 상가변동 吉 49년생컨디션불리 심신피로 마음의변화 생길 때 61년생만사불리 가정불화 재수불길 바람기발동 73년생과음과식 유흥탈선 재물지출 마음을 진정 호랑이 38년생자손기쁨 명예상승 문서이득 고민해결 吉 50년생인기생기고 재물성사되나 건강체크해야 62년생금전성사 음식대립 자손문제로 근심생겨 74년생직장고민 교만은금물 남의 의견 존중해야 토끼띠 39년생반길반흉하니 문서문제 원만 건강은 불리 51년생매사불길 금전문제고민 부부갈등 술조심 63년생음식대접 과음과식조심 여자 술문제 자제 75년생구직성사 귀인도움 능력인정 친구화합 吉 용띠 40년생명예상승 금전해결 자손경사 행운오고 吉 52년생재물원만 연인데이트 음식생기고 무난 吉 64년생직장 및 자손근심생기나 친구동료의 도움 76년생재물지출초과 양보하는 마음가져야 무난 뱀띠 41년생만사불리 질병조심 사기 금도박불리 凶 53년생재산관리 잘하나 부부불화 조심 자손걱정 65년생여행출장 및 변동수 친구의조언 차량문제 77년생친구동료 문제로 재물지출 부모형제걱정 말띠 42년생가정화목 인기상승 수유층으로 재물지출 54년생기분불쾌하나 자손기쁨 귀인 도움만사 吉 66년생재물손실 계약불리 연인불화 사업불안 78년생인기생기고 시험원만 선물생기고 만사 吉 양띠 43년생재수원만 사업완성 직장해결 만사 大吉 55년생자손경사 운수완성 고민해결 능력인정 吉 67년생친구형제의 도움 모임성공 계약가능 大吉 79년생칭찬받고 인기있고 소원성취 좋은소식 吉 원숭이 44년생직장고민 자손걱정 생기나 귀인조력해결 56년생재물손해 경쟁불리 투자도박 사업불안운 68년생시험원만 부모님 상사의후원 구직성사 吉 80년생일진원만 명예생기고 재물성사 데이트운 닭띠 45년생직장문제 해결되나 가정부로하 출행불리 57년생직장 스트레스 참는자가 승리 부모님걱정 69년생시비구설주의 문서차량문제로 관재조심 81년생일진불길 여행사고조심 가출탈선반항 凶 개띠 46년생재물지출초과 한발후퇴하면 만사편안 58년생문서계약성사 시험구직 원만 명예상승 吉 70년생인기상승 혼담성사 승진가능 행운오고 吉 82년생연인 데이트 만사화합 재수원만 만사吉 돼지띠 47년생친구 및 상사의조언 전문가와상담결정 吉 59년생계약가능 연인데이트 유흥점출입 빈번 71년생바람기발동 재물지출 탈선방황 술조심 83년생유흥오락 낭비가심하나 왕자가 된 기분 사진= 오늘의 운세, 오늘의 띠별 운세, 생년월일 운세 /경기일보 /서일관 원장 청년철학관 작명연구소

7월 생산자물가 4.0% ↓, 4년9개월 만에 ‘최저’…농산물은 ‘껑충’

7월 생산자물가. 지난 7월 생산자 물가가 4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4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공산품 물가가 전체 물가지수를 끌어내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농림수산품과 서비스 업종 물가는 올랐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 물가지수는 101.43(2010년=100)으로 지난 6월보다 0.3% 내렸다. 지난해 7월과 비교해서는 4.0%나 떨어지는 등 지난해 8월 이후 1년째 하락 행진을 계속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2010년 10월 101.42를 기록한 이후 4년 9개월 만의 최저치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지난 2013년부터 소폭의 등락 속에서 지속적으로 하향곡선을 그려오다 올 4월부터 보합세를 유지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도매물가로, 통상 12개월 뒤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품목별로는 전월 대비 수산물이 3.1% 올랐고, 농산물(2.1%)과 축산물(1.9%)도 상승했다. 특히 포도는 58.9%, 양파는 34.1%, 마늘은 26.3%, 무는 26.9% 급등했다. 양파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8.4%나 뛰었다. 서비스 물가는 운수업이 전월 대비 0.8% 상승하는 등 전체적으로 0.2% 올랐다. 공산품 가운데는 국제 유가가 다시 하락세를 타면서 석탄 및 석유제품이 전월 대비 4.6% 내렸다. 전기요금 인하 덕에 전력, 가스 및 수도는 0.6% 떨어졌다. 온라인뉴스팀

소녀시대 ‘You ThinK’ 공개, 선공개된 ‘Lion Heart’와 다른점은 무엇?

걸그룹 소녀시대의 두 번째 신곡 You Think가 베일을 벗었다. 소녀시대는 19일 정규 5집 타이틀곡 You Think의 뮤직비디오와 음원을 공개했다. 이날 오전 7시 기준 소녀시대가 공개한 첫 번째 신곡 Lion Heart는 지니, 소리바다, 몽키3, 네이버뮤직, 엠넷, 벅스, 올레뮤직에서 실시간 음원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두 번째 신곡 You Think 는 2위에 안착했다. 전날 발표된 Lion Heart는 중독성 강한 복고 멜로디가 돋보이는 반면 You Think는 강렬한 팝댄스 장르로 멤버들의 보컬에 초점이 맞춰졌다. Lion Heart의 가사는 길들여지지 않은 남자를 사자에 비유해 사자 같은 너의 마음을 길들이겠다는 내용이다. You Think는 이별 후 끊임 없이 나쁜 루머와 험담을 퍼트리는 전 남자친구에게 따끔한 충고를 하는 여자의 당찬 모습이 가사에 담겨있다. 또한 Lion Heart의 뮤직비디오는 홍원기 감독이 연출해 멤버들의 고풍스러운 헤어스타일과 드레스로 음악의 분위기를 한껏 살렸다. 멤버들이 바람둥이 Lion Heart를 만나면서 펼쳐지는 여러가지 일들을 빈티지 영화 느낌으로 촬영했다. You Think의 뮤직비디오는 이기백 감독이 연출을 맡아 상처받은 마음을 상징하는 못 박힌 사과가 단단한 강철 사과로 변하는 모습 등 강렬한 색감 등으로 당당하고 쿨한 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소녀시대는 21일 KBS 2TV 음악프로그램 뮤직뱅크 출연을 시작으로 각종 음악 프로그램에서 Lion Heart와 You Think의 무대를 공개한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대신증권 “아모레퍼시픽 레벨 다운…高밸류 성장주 경계감 심화”

코스닥 지수가 18일 3% 넘게 밀리며 700선을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코스닥의 단기 하락 추세 전환이 확인됐으며 2차 상승을 대비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최근 아모레퍼시픽 주가의 레벨 다운은 그 동안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았던 코스닥 성장주에 대한 경계가 심리가 커졌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성장주 경계감과 밸류에이션 부담이 해소되는 시점까지는 보수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김영일 대신증권 연구원은 19일 보고서를 통해 코스닥 시장이 올해 처음으로 저점을 낮추며 헤드앤숄더 패턴을 완성했고 수급선인 60일선 방향도 아래쪽으로 바뀌고 있어 수급 여건도 비우호적일 전망이라며 단기 하락 추세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되며 의미 있는 저점 확인때까지는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9월 중순으로 예상되는 성장주 경계감과 밸류에이션 부담이 해소되는 시점까지는 보수적인 대응을 할 것을 권고했다. 코스닥 하락 추세 전환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아모레퍼시픽, 밸류에이션 2가지인데, 이들 변수가 회복세로 전환하거나 의미 있는 지지선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보수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아모레퍼시픽이 5월 이후 지지선 이었던 40만원을 이탈하며 주가가 한 단계 레벨은 낮추었다며 이로 인해 올해 코스닥 상승을 주도했던 성장주에 대한 경계감도 커지고 있으며 아모레퍼시픽이 박스권으로 회귀(40만원 회복)하거나 장기 지지선인 200일선에 근접해야 성장주 심리가 개선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단기 하락 추세의 기술적 목표치로 650p내외를 제시하면서 650p는 △헤드앤숄더패턴 목표 △2015년 상승폭의 50%되돌림 △200일선이 위치해 있는 지수로 강력한 중기 지지선이며 이후 코스닥은 2차 상승을 진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상장사 불황형 흑자 지속…“마른 수건도 짜냈다”

올 상반기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상장사들은 매출 감소 속에서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불황형 흑자다. 한국거래소와 상장사협회, 코스닥협회 등이 18일 밝힌 12월 결산법인 상반기 실적을 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506개 상장사의 매출(연결기준)은 전년 대비 4.7% 감소한 823조4535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업이익은 오히려 전년보다 7.3% 증가한 52조3703억원을 기록했다. 소폭 감소한 순이익(37조9130억원) 역시 매출 감소비율에 비해 선방(-1.4%)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코스피 상장사 매출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삼성전자(11.3%)를 제외하면 매출 감소비율은 7%포인트 줄어든 4.0%다. 이 기준에서 영업이익(39조4930억원)과 순이익(27조5349억원)은 오히려 19.2%와 11.8%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6.36%였다. 작년보다 0.7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매출 감소 상황에 영업이익율을 더 높여 이익을 낸 셈이다. 이른바 마른 수건도 짜낸다는 불황형 흑자다. 코스닥 상장사 역시 사정은 비슷했다. 개별 재무제표 기준 902개사의 매출액(50조2309억원)은 전년 보다 0.8% 증가하는데 그쳤다. 영업이익(2조8186억원) 역시 0.5%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반면 순이익(2조2866억원)은 오히려 10.5%나 증가했다. 윤정선 현대증권 연구원은 상반기를 요약하면 대형주 부진, 중소형주 강세로 정리할 수 있다며 성장성의 관점에서 매출과 함께 이익성장이 동시에 나타나는 기업들에 주목해야한다고 분석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