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텃밭에 ‘진보 바람’ 경기지사 격전지로 부상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외치며 20년 만의 경기지사 탈환을 노리고 있는 반면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정국 운영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당선자를 배출해야 한다는 각오 아래 필사항전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여당이 지지율 고공행진을 앞세워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선거 판세를 뒤흔들 변수가 곳곳에 산재한 상태여서 결과가 주목된다. 이에 본보는 보수 표심, 정계 개편, 사전투표 등 6·13 지방선거의 향방을 가름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전포인트를 짚어본다. 편집자 주
여야가 6ㆍ13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지방선거기획단 설치, 인재영입 및 당원 결속을 위해 지방순회하는 등 본격적인 선거 모드로 돌입한 가운데 경기도 내 전통적으로 보수진영을 지지해 온 지역들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역대 경기지사 선거에서 결정적 승패를 좌우한 ‘보수텃밭’ 중 상당수가 지난 대선 때는 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제4회~2014년 제6회 경기지사 선거에서 보수진영 후보를 지지한 지역은 도내 44개 선거구 중 22곳에 이른다. 이들은 양주, 구리, 남양주, 하남, 여주, 이천, 포천, 연천, 양평, 가평 등으로 지난 6차례의 지방선거에서 보수진영에 5승 1패라는 우월한 전적을 가져다준 바 있다.
지난 2006년 경기지사 선거에서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는 도내 모든 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 진대제 후보를 압도하며 승리를 거뒀다. 김문수 후보는 당시 남양주, 하남, 파주, 여주, 이천, 포천, 연천, 양평, 가평 등 보수 강세 지역에서 60% 이상을 얻었고, 2위인 진대제 후보를 무려 28.93%p 차로 따돌리며 경기호(號)의 선장이 됐다.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와 맞대결을 펼친 김문수 지사는 경기 중서부권 등 도내 14개 선거구에서 패배했다. 김 지사는 자신의 정치적 고향이자 2006년 경기지사 선거 때 9만 9천850표 차로 승리했던 부천에서마저 패했다.
하지만 김 지사는 양평(68.83%), 가평(68.55%), 연천(67.1%), 포천(64.39%), 여주(64.05%) 등 텃밭에서 여전히 압도적인 지지를 앞세워 재선에 성공했다.
새누리당이었던 남경필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후보가 맞붙은 지난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때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정권 초기였던 만큼 여당의 우세가 예상됐지만 선거 두 달 전 세월호 참사가 발생,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악화하면서 남·김 후보는 막판까지 혈전을 벌였다.
도내 44개 선거구의 최종 스코어 역시 23(남경필) 대 21(김진표)로 개표 막판까지 승부를 결정짓지 못할 정도였다. 그럼에도 승리는 ‘집토끼’를 잡은 남 후보에게 돌아갔다. 남 후보는 평택, 양주, 동두천, 과천, 구리, 남양주, 하남, 파주, 여주, 이천, 포천, 연천, 양평, 가평 등 안방에서 승리, 0.87%p 차로 경기지사 쟁탈전에서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이런 보수표심이 지난 대선에서는 대폭 돌아서면서 새로운 관전포인트로 떠올랐다. 제4·5·6회에서 보수진영을 지지한 22곳 중 의정부, 평택, 양주, 동두천, 구리, 남양주, 하남, 파주, 이천, 광주 등 17곳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아닌 문 대통령을 선택한 것이다. 변함없이 보수진영을 지지한 곳은 여주, 포천, 연천, 양평, 가평 등 5곳에 불과했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대통령 탄핵 국면이라는 상황적 요인으로 그동안 보수성향이 강했던 경기도 내 군사접경지역 표심을 돌아서게 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형 자체가 바뀐 게 아니고 다양한 정치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