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상' 수상 심상용 서울대 교수

경기도민이 수준 높은 건축 미술작품을 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경기도에서 건축물 미술작품의 질적 향상과 작가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한 이가 있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약 1년간 경기도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원장을 맡은 심상용 서울대 미술사학과 교수(59)다. 심 교수는 화가가 되고자 서울대학교 미대에 진학했다. 이후 그는 현대미술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파리로의 유학을 감행했다. 파리 8대학에서 석사, 1대학(현대미술사)과 8대학(조형예술)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했다. 이어 그는 동덕여자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오다 지난해부터 서울대 교단에 섰다. 심 교수는 경기도내 전시된 작품들을 보며 작품의 질적 수준이나 흉물처럼 방치된 전시 형태, 구조적 적폐 등 건축물 미술작품의 선정에 문제의식을 느꼈다. 이런 가운데 심 교수는 경기도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원으로 참여, 수준 높은 작품이 도민에게 좋은 문화경험으로 다가갈 수 있게끔 심의를 해왔다. 건축물 미술작품이 미술관에 전시된 것과 달리 불특정 다수를 위한 작품인 만큼 더 공정하고 투명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소신에서다. 1년간 12번의 심의를 진행했으며, 8~9명의 위원과 평균 40~60건(1회 심의당)의 작품을 심의했다. 이로 인해 특정 작가의 출품 쏠림 현상도 완화됐다. 2017ㆍ2018년에는 1년에 다섯 작품 이상 출품한 작가가 10명이나 됐으나 지난해 심의위원 활동으로 개선됐다. 대신 1년에 한 작품을 출품하는 작가 비중이 같은 기간 40%에서 56%로 증가하는 등 신인 작가의 참여가 대폭 확대됐다. 심 교수는 더욱 다양한 작품들이 빛을 보고 작가들의 활동 영역을 넓히고자 경기도 측과 수차례 회의를 하기도 했다. 심 교수는 도민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17일 경기도민상을 받았다. 심상용 교수는 경기도민의 문화예술 기회 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건기자

경기도ㆍ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소재부품 오픈랩ㆍ중앙분석지원실’ 개소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주영창)은 27일 소재ㆍ부품ㆍ장비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본 연구시설인 소재부품 오픈랩과 기술난제 해결 지원을 위한 중앙분석지원실을 개소했다. 소재부품 오픈랩은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에 필요한 실험과 시료 분석을 위한 전처리실이 함께 구축돼 있다. 도내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용 연구공간으로 연구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 연구시설이다. 중앙분석지원실은 고도화된 시험분석 서비스를 지원하는 연구시설로, 박사급 전임연구원을 비롯한 해당분야 전문인력이 시험 분석의뢰에 대한 신속한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연구지원 사업 수행기관 뿐만 아니라 시험분석이 필요한 도내 기업들의 폭넓은 활용이 기대된다. 주영창 원장은 공용연구실인 소재부품 오픈랩과 중앙분석지원실 개소를 통해 관련 기업이 제품 개발과 개선에 효율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도내 많은 기업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정책과 연구 환경이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융기원은 이날 오픈랩ㆍ중앙분석지원실을 개소하면서 제2회 경기도 소재부품장비산업 상생포럼도 함께 진행했다. 포럼에서는 업단의 수요연계형 연구지원과제 중 우수사례의 성과가 공유돼 도내 소부장 산학연관 관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김태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