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국내 처음으로 항공사 신용카드 선보인다

대한항공이 오는 2020년 3월 국내 최초로 항공사 신용카드를 선보인다. 대한항공은 17일 현대카드와 대한항공 카드 출시를 위한 상업자 표시 신용카드(PLCC) 파트너십 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PLCC(Private Label Credit Card)란 신용카드를 직접 보유하고자 하는 기업이 카드상품의 설계운영 부문에서 전문성을 보유한 카드사와 협력해 만드는 신용카드다. 제휴 기업의 브랜드와 고객 우대 프로그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한항공이 카드사와 제휴해 항공사 이름으로 신용카드를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한항공은 현대카드의 운영마케팅 노하우를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차별화한 신용카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카드는 카드 마케팅 및 운영과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을 지원한다. 대한항공 카드는 마일리지 적립과 항공 여행에 최적화한 구성을 갖출 예정이다. 전 가입 회원에게 차별화한 보너스 마일리지 특전을 제공하며, 다양한 특별 적립처를 통해 추가 마일리지 적립 기회를 제공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현대카드와의 협력으로 고객에게 보다 좋아진 마일리지 혜택과 대한항공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앞으로도 항공 서비스 분야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어 나가겠다고 했다. 강정규기자

안양시 4억 원 고액체납 법인 대표 추격 끝에 체납액 징수

안양시가 고액을 체납 중인 한 법인 대표를 2개월 동안 추적해 체납세 4억2천만 원을 받아냈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지난 11일 1차로 1억2천만 원을 징수한데 이어 나머지 3억 원을 내년 2월까지 징수할 방침이다. 건설업을 하는 해당법인 대표는 지난 2015년부터 지방세를 체납하면서 또 다른 법인을 설립, 인근 시에서 1천500여 채의 오피스텔과 상가를 분양하고 있었다. 대표자만 같을 뿐 별도 법인으로 시에서는 방문독려 외에는 징수 방법이 없는 상태였다. 시는 체납법인 회계 자료를 면밀히 검토해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그 결과 해당법인이 관련회사에 64억 원의 대여금 채권이 있는 것을 발견, 제3채무자로 이 회사를 압류 조치했다. 대표자 지분이 47%로 2차 납세의무자 지정요건에 미달했지만 7%를 보유한 이혼한 전처가 있고 함께 거주하고 있음을 확인, 2차 납세 의무자로 지정했다. 그럼에도 체납법인 대표는 납부의사를 보이지 않았다. 시는 최후의 수단으로 지방세 범칙사건으로 전환, 체납처분 면탈혐의로 출석을 요구함과 아울러 고발조치할 것임을 통보하기까지 했다. 체납법인 대표는 그제야 1억2천만 원을 먼저 납부하고 나머지 3억 원도 2월말까지 완납하겠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고의로 체납세를 면탈하기 위한 행위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을 통해 체납액 징수에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각종 체납 처분 등 현장중심 밀착징수를 통해 착실하게 세금을 내고 있는 대다수 납세자들과의 형평성을 높이고 성실납세 풍토가 확산되는 계기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양=한상근기자

안산 시민사회단체, ‘공직선거법 위반’ 시의원 탄원서 규탄

안산시 일부 공직자들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손된 시의원의 선처를 호소하는 탄원서에 서명해 논란(본보 16ㆍ17일자 12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들이 이같은 공직자들의 행동에 반박하고 나섰다. 17일 안산시민사회단체 등은 의견서를 통해 A 의원이 시립국악단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정치인으로 여성 국악단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등 인권 문제가 발생했을 당시 기자회견과 의견서 등을 통해 이를 규탄하며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어 A 의원이 선관위에 의해 고발된 것도 이러한 사건들의 연장선에서 이뤄졌다고 강조 한 뒤 공무원들이 서명한 탄원서에는 넘치는 열정을 갖고 의원활동을 하면서 법이 규정하는 부분을 인지하지 못한 채 벌어진 일이라고 호소하고 있으나 열정을 갖고 했다는 의정활동이 여성 국악단원에 대한 인권침해 등 인가라고 지적했다. 특히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도 불구 A 의원은 공개 및 개인적인 사과는 없었다.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알고 있을 안산시청의 일부 공직자들이 이런 탄원서에 서명을 했다는 사실에 시민들은 개탄을 금치 못한다며 이번 공무원들의 탄원서 서명 문제는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안산=구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