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자살예방 예산 0.016%만 쓴다

지자체 예산 중 자살예방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단 0.016%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예방 담당 공무원도 기초단체 평균이 0.71명에 불과했다. 재난 수준의 국내 자살률 감소를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가 예산, 인력, 사업 등 자살예방활동관련 분야를 전면 재검토하고 대폭의 확대 및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자살예방포럼(공동대표 원혜영, 주승용, 김용태)과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공동위원장 신용길, 이경룡), 안실련(공동대표 권도엽 외)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 지방자치단체 자살예방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직전 3개년 평균 대비, 140개(61%) 지자체에서 자살률이 증가했으며, 감소한 지자체는 38.9%(89개)에 그쳤다. 지자체 인구 10만 명당 내부조직(공무원) 인원은 1.02명(정규직이 0.71명, 비정규직이 0.31명)으로, 광역 지자체별로 보면 충북 인구 10만 명당 정규직 인원이 전국 평균보다 3배가량 높은 2.04명이었으며, 이어 강원도가 1.51명, 충남 1.38명이었다. 지자체 내부(부서, 보건소 등)에 자살예방 조직을 둔 지자체는 54.6%(125개)였으며, 외부에 자살예방센터를 둔 지자체는 전체 229개 중 13%(30개)였다. 특히 지자체 내외부 모두 자살예방 관련 조직이 없는 곳도 5개 지자체(2.2% / 경기 광주시, 전남 영암군, 인천 옹진군, 경북 군위군, 경북 울릉군)나 됐다. 지자체 외부 센터 직원은 평균 5.6명이 근무하고 있었으며 정규직은 2.38명, 비정규직은 3.22명으로 비정규직 비율이 높았다. 특히 외부 센터 직원의 평균 근속기간은 1인당 34.5개월로 채 3년이 되지 않았다. 자살예방조례를 갖추는 지자체는 총 165개(72.1%)로 조사됐다. 자살예방 협의체가 구성된 지자체는 130개(56.8%)였고 해당 지자체장이 협의체의 장을 겸임하는 경우는 전체 229개 지자체 중 35개(15.3%)였다. 전국의 229개 지자체 자살예방예산은 지자체 총 예산(149조 원) 대비 0.016%(평균 9천419만 7천119원)에 불과했다. 예산 절대액으로는 서울 서초구가 10억 이상 사용하고 있는 유일한 기초 지자체였고, 5천만 원 미만의 지자체도 106개(46.3%) 것으로 분석됐다. 자살예방 생명 지킴이 교육 등 예방교육 사업실적은 인구 10만 명당 평균 1천708명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자 대상 자살예방 사업은 인구 10만 명당 759명이었다. 반면, 자살 유가족 대상 자살예방사업은 인구 10만 명당 11명에 그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혜영 국회자살예방포럼 공동대표는 재난 수준의 자살문제를 해법을 모색하고자, 건국 이래 처음으로 지자체 조직과 인사, 예산, 사업의 현황을 파악 살펴봤는데, 일선 현장 지자체의 열악한 인력과 예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자체가 자살예방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법령을 정비하고 예산 지원을 하는 등의 정책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및 분석은 올해 8월부터 3개월간 실시됐으며 국회자살예방포럼에서 보건복지부와 지자체 자료를 제출받아 추진됐다. 전국 229개 지자체 전수를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살률을 포함한 지자체별 자살예방 관련 조직, 인구, 예산 등에 사업 등을 살펴봤다. 조사 결과는 인구 규모별로 3개 그룹을 나눠 분석했다. 강해인기자

경기문화재단, DMZ의 평화예술 거점 공간화 논의…28일 ‘DMZ 평화예술대회’ 개최

평화의 상징 DMZ에 예술을 입혀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장소로 탈바꿈하기 위한 포럼이 열린다. 경기문화재단은 28일 김포 아트빌리지에서 DMZ 평화예술대회를 연다. 한반도ㆍ동아시아 평화를 염원하는 예술가, 작가, 문화 활동가 등 150명이 참석해 평화를 여는 DMZ 예술을 주제로 평화 관련 예술, 운동, 담론, 연대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DMZ 평화예술대회는 경기문화재단이 지난 8월 18일부터 11월 21일까지 진행한 평화예술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평화예술 대장정은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국가 폭력, 전쟁 등 아픔을 기억하고 있는 동아시아 35개 도시(국내 22개, 국외 13)를 순회하며 예술가, 학자, 문화활동가 등을 만나 평화예술 관련 담론을 나누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프로젝트로 운영됐다. 특히 DMZ 평화예술대회는 평화예술 대장정과 연계해 경기도 일원의 비무장지대(DMZ)가 지닌 무한한 문화적 가치를 알리고, 분단의 상징에서 벗어나 평화의 거점으로 거듭나는 방향성을 살펴본다. 한국의 홍성담, 전인경 등과 대만 우다퀀 큐레이터, 베트남의 딘큐레, 쩐르엉 작가, 일본 다나 마사유키 오키나와현립박물관장, 중국(홍콩) 이춘평 작가 등 국내외 저명한 평화예술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대회에서는 강헌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의 평화와 생태의 예술공간 DMZ, 다나 마사유키 오키나와 현립박물관장의 동아시아 근현대 역사와 평화의 미래 기조발제로 시작한다. 또 김준기 평화예술대장정 총감독의 결과보고와 ▲한국의 평화예술 ▲분단체제와 평화예술 ▲DMZ와 평화운동 ▲평화담론과 실천의 확장 ▲동아시아 평화예술연대 등 총 5개 분과별 발제 및 토론이 이어진다. 이를 통해 평화예술 담론의 형성과 확산, 경기도 DMZ의 평화예술 거점공간화를 위한 목표와 전략을 설계할 예정이다. 조병택 경기문화재단 정책사업팀장은 평화예술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DMZ 평화예술대회가 앞으로 DMZ 관련 사업들의 추진동력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DMZ와 평화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경기도로 모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