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해안재해 등 243곳의 자연재해 위험지구를 지정했다. 시는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개별 사업화 계획을 수립, 실질적인 자연재해 저감 조치에 나선다. 12일 시에 따르면 최근 수립한 자연재해 저감계획에 대해 지난 7월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았다. 시가 지정한 자연재해 위험지구는 사면재해 68곳, 해안재해 67곳, 하천재해 53곳, 내수재해 42곳, 토사 재해 10곳, 기타재해 3곳 등이다. 위험지구가 가장 많은 기초 자치단체는 옹진군이다. 옹진군에는 해안재해 49곳, 사면재해 23곳, 하천재해 15곳, 내수재해 3곳, 토사재해 5곳 등 총 95곳의 위험지구가 있다. 특히 시는 영흥면 선재리와 내리, 연평면 연평리 등 일부 지역은 경사면 인근에 주거지가 밀집해있어 흙이나 돌 등으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화군도 위험지구가 58곳에 달해 많은 편에 속했다. 강화군의 위험지구는 하천재해 18곳, 내수재해 14곳, 사면재해 13곳, 해안재해 5곳, 토사재해 5곳, 기타재해 3곳 등이다. 이와 함께 시는 중구, 서구, 미추홀구, 남동구, 계양구, 부평구, 연수구, 동구에도 각각 24곳, 17곳, 16곳, 10곳, 10곳, 9곳, 3곳, 1곳의 위험지구를 지정했다. 특히 중구에는 해안재해 위험지구가 12곳이 있으며, 서구에는 하천재해 위험지구를 10곳이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많이 지정했다. 이 밖에도 시는 부평구의 산곡여자중학교, 계양구의 서운초등학교 주변 등을 빗물받이 및 역류방지 시설이 미흡해 집중호우가 오면 저지대에 있는 주거지역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내수재해 위험지구로 지정했다. 시는 이번에 선정한 계획을 10개 군구와 시의 관련 사업부서에 보내 자연재해 방지 사업화 계획을 수립하도록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세운 것은 기본계획으로 볼 수 있으며 관련 대책은 각 군구에서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를 지정하는 등을 통해 추진해야 한다며 각 군구와 시의 사업부서가 기타 사업 계획을 세울 때 재해 방지 대책이 최우선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인천정치
이승욱 기자
2019-08-12 1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