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열망을 예술로 토로해 온 우석(又石) 최규명의 작품세계를 만나는 특별전이 열린다. 우석재단은 7~30일까지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우석 최규명(1919~1999) 탄생 100주년 서예ㆍ전각 특별전 보월(步月), 통일을 걷다를 개최한다. 우석은 1919년 개성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와 광복, 625전쟁과 남북분단 등 역사의 실존을 전각과 서예로 표현한 예술가다. 고미술 시보 순간을 창간했고, 서예와 전각 작품 활동을 하며 국내외에서 여러 차례 전시회를 열었다.기존의 틀을 과감히 벗어난 전각과 서예로 전위 예술로서의 경지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특별전은 우석의 아들인 최호준 우석재단 이사장과 김양동 계명대 석좌교수, 이종목 이화여대 동양화과 교수, 이동국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의 참여로 기획됐다. 통일을 키워드로 1부 보월, 백두한라, 2부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천리지행시이족하, 3부 파라다이스, 녹명, 4부 나를 이기다, 극기로 마련됐다. 일자서, 대자서, 파체서 등 실험적이고도 전위적인 서(書)와 필묵추상, 전통 행초서ㆍ전예작품, 서예ㆍ전각 합체 작품 등 총 120여 점을 선보인다. 주요 전시 작품은 산홍산, 금강산, 고려, 산, 반핵, 주체, 인내천 천내심, 자강불식, 협, 보월 등이다. 우리 민족의 시대적 과제이자 작가의 실존 문제인 통일을 우석이 어떤 철학으로 서(書), 각(刻), 필묵(筆墨)의 언어로 형상화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 큐레이터는 우석은 문자구조ㆍ게슈탈트의 창조적 파괴자로, 분단의 고통과 통일의 열망이라는 실존 문제를 정면으로 녹여내고 있다며 전통 서예나 일본 전위서, 서구의 순수 추상 미술과도 차별적이라고 평가했다. 우석재단 관계자는 우석은 20세기 한국 서단의 아웃사이더로 고독한 필묵 투사이자 통일작가라며 미래 서예의 길을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우석 100년의 작품세계를 만나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공연·전시
정자연 기자
2019-06-06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