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모바일브랜드 ‘나무’ 전용 ELS 모집

NH투자증권의 모바일 브랜드 나무에서는 7일부터 나무 전용 ELS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나무 전용ELS는 최소가입금액을 10만 원으로 낮췄고, 현재 출시 기념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5월 2주차에 출시되는 나무 전용 ELS 가입 시, 가입 금액에 따라 최대 100만 원의 현금이 지급되며 가입한 모든 고객이 대상이다. 1억 원 이상 가입고객은 100만 원, 1억 원 미만은 가입금액의 1%, 100만 원 미만은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지급한다. 5월 2주차 발행되는 NH투자증권 ELS 18016호는 니케이225지수(NIKKEI225),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유로스톡스50지수(EuroStoxx50)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연 5.01%(세전) 수익률에 만기는 3년이다. 4개월마다 조기상환의 기회도 돌아온다. 조기상환 평가일에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최초기준가격의 90%(4, 8, 12개월), 85%(16, 20, 24개월), 80%(28, 32개월), 75%(36개월) 이상이면 최대 15.03%(연 5.01%, 세전)의 수익을 지급한다. 단, 만기 시 기초자산 중 어느 하나라도 55%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있고, 최초 기준가격의 75% 미만이면 만기상환 조건에 따라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품의 최소 가입금액은 10만 원 이상 10만 원 단위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NH투자증권 고객지원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ELS/ELB는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발행증권사의 신용(NH투자증권,AA+,2017년 06월 28일 기준, 한국기업평가)으로 발행되므로 발행사의 부도 또는 파산 시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투자자는 투자 전 반드시 영업직원으로부터 설명을 충분히 듣고, 투자결정을 내려야 한다. 서울=민현배기자

7천% 살인적 고금리에 협박까지…경기지역 불법고리사채 무더기 적발

인터넷 카페 회원을 대상으로 고금리 불법 대부 영업을 한 무등록 대부중개업자와 이를 묵인한 카페관리자가 경기도 수사에 덜미를 잡혔다.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특사경)은 올 1월부터 3월까지 무등록 대부업과 불법 대부 광고, 법정 최고금리 연 24% 초과 수수 등의 불법 대부행위에 대한 집중수사를 벌여 불법 대부업자 22명과 카페관리자 1명을 적발했다고 8일 밝혔다. 적발된 이들의 대출 규모는 27억 6천948만원, 피해자는 1천447명에 달했다. 특사경은 적발한 23명 가운데 13명을 입건하고 10명은 내사 중이며 수사가 끝나는 대로 모두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다. A카페의 경우 온라인상에서 대부, 자산관리, 경매, 대출상담을 해주며 관리자가 카페 내에서 활동하는 무등록 대부업자로부터 매월 20만원의 수수료를 받다가 적발됐다. 이 카페관리자는 게시판에 올라오는 불법 대부 게시글을 삭제하지 않고 오히려 이들에게 수수료를 받고 카페에서 활동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관리자는 36명의 대부업자로부터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모두 54회에 걸쳐 1천63만원의 수수료를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A카페에서 불법 대부행위를 해 입건된 6명은 100만원 이하의 소액대출을 하면서 최고 연 이자율 3천650%에 달하는 고금리를 받아온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이 카페에서 50만원을 대출받은 한 회원은 5일 후 75만원(연 이자율 3천650%)을 갚아야 했다. 이렇게 6명으로부터 돈을 빌린 사람들은 모두 1천358명이었으며 불법 대부액은 16억5천여만원에 달했다. 특히 이들은 돈을 빌려주면서 지인 연락처, 신분증, 차용증 등을 받은 후 돈을 제때 못 갚으면 문자나 전화로 지인 등에게 연락하겠다고 협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대학생, 저신용 서민,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7천145%라는 살인적인 고금리로 불법대부 영업을 한 10명도 덜미를 잡혔다. 이들 가운데 불법 대부업자 B씨는 3천90만원을 대출해 주고 51일 만에 3천248만원을 돌려받았지만, 이자율 335.5%에 해당하는 1천200만원을 더 내놓으라며 피해자를 협박했다. B씨는 원리금 상환이 지연되면 피해자 자녀의 학교로 찾아간다는 협박, 가정주부에게는 가족에게 알리겠다고 협박하는 수법으로 불법 추심행위를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특사경은 이들 10명의 대부업자가 89명의 피해자로부터 받은 불법 대부액이 11억1천60만원에 이른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밖에도 특사경은 수원, 부천, 김포 등 경기도 전역에 무차별 불법 광고 전단을 살포한 배포자 6명을 현장에서 검거했다. 현행 제도는 미등록 대부업자가 불법 대부업을 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릴 수 있으며 등록업자가 법정 이자율 등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김영수 경기도 공정 특별사법경찰단장은 대출을 받아야 한다면 금융위원회 또는 금감원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대부업체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정우, ‘불법폐기물 원천차단’ 법률안 2건 발의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군포시)은 불법폐기물 발생의 예방을 강화하는 내용의 불법폐기물 원천차단 관련 법률안 2건을 대표발의 했다고 8일 밝혔다. 김 의원은 그동안 폐기물 처리업체가 스스로 발급하던 폐기물처리능력 확인증명을 공신력 있는 기관이 발급하도록 개선하는 등 처리능력 확인 제도를 강화해 폐기물의 불법 수탁을 예방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또한 폐기물 불법 배출처리에 대해 처벌 기준을 높여 가중처벌을 강화하는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안 도 대표발의했다. 올 2월, 정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방치폐기물불법투기 폐기물불법수출 폐기물 등 120만 3천톤의 불법폐기물이 확인됐다. 대전세종제주를 제외한 14개 시도, 235곳에 불법폐기물이 쌓여있던 것으로 조사됐으며, 경기도가 69만t으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의 경우, 수도권 폐기물이 흘러들어와 여기저기 쌓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전체 불법폐기물의 41.2%인 49만6천톤을 올해 안에 우선적으로 치우고, 2022년까지 모든 불법폐기물을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이번 불법폐기물 처리계획과 더불어 불법폐기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폐기물 관리제도에 대한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김 의원은 사업장 내에 폐기물을 무단 방치하거나 임야 등에 불법 투기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회적환경적 피해가 심각하다며 근본적으로 불법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불법행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제도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유의동, 가족돌봄·간병휴가 도입 법안 발의

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 등으로 인해 급하게 그 가족을 돌봐야 할 경우 단기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바른미래당 유의동 의원(평택을)은 8일 근로자가 가족을 긴급하게 돌봐야 할 경우 연간 5일 동안의 단기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5일도 일일단위로 나눠 쓸 수 있도록 하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 했다. 현행 법령에 따르면, 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으로 인해 근로자가 가족을 돌봐야 할 경우 연간 최대 90일까지 가족돌봄휴직를 신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휴직 1회당 최소 30일 이상 직장을 쉬어야 하는 규정 때문에 긴급한 단기 간병휴가는 불가능한 상태다. 반면, 일본에서는 1995년부터 가족을 돌봐야 할 경우 잠시 직장을 쉴 수 있는 간병휴가를 연간 5일 동안 허용해주고 있고 독일에서도 2008년부터 연간 10일 동안의 간병휴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유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다면 우리나라 근로자들 역시 긴급하게 가족을 돌볼 수 있는 권리가 생기는 것이다. 유 의원은 가족의 질병과 사고는 예측이 불가한 상태에서 갑자기 찾아오기 때문에 그 가족을 간병해야 하는 근로자 역시 긴급한 돌봄휴가가 필요하다면서 우리나라 역시 일부 선진국에서 일찌감치 시행하고 있는 간병휴가 제도를 도입해 간병가족들의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