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1만3천대 ‘올스톱’… 출퇴근길 지하철·버스 ‘북새통’

택시업계가 카카오 승용차 함께 타기 서비스에 반대하는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인천지역 곳곳에서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졌다. 20일 오전 8시께 인천시 미추홀구 인천종합터미널 인근 택시 정류장. 평소 줄지어 서 있던 택시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텅 빈 정류장에는 군복을 입은 남성 1명이 택시를 기다리고 있었다. 10여분이 넘은 후에 택시 1~2 대가 모습을 보였지만 빈차라는 안내 표시는 꺼져 있었다. 군대에서 휴가를 나온 최모씨(25)는 인터넷에 올라온 실시간 검색어를 보고 택시업계가 파업한다는 것을 알았다며 간간이 택시가 보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기다렸는데 빈차가 없어서 당황스럽다고 토로했다. 출퇴근 시간대 버스 정거장과 지하철역에 시민들이 몰리면서 발 디딜 틈 없을 정도로 가득 찼다. 대부분 시민들이 택시 총파업 소식을 알고 있었지만, 사전에 정보를 얻지 못한 일부 시민들과 휴가 나온 군인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일부 시민들은 택시업계 총파업에 불편한 기색도 내비쳤다. 직장인 이모씨(38남동구 만수동)는 오전에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해 택시를 불렀는데 오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지하철로 출근해 지각을 했다며 택시가 파업해 오히려 카풀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등 4개 단체는 정부의 카카오 카풀 사업 허가 움직임에 반대해 전국 택시 운행을 중단하고 오후 2시부터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집회를 벌였다. 인천시는 이날 인천에 등록된 택시 1만 4천371대 중 1만 3천여 대(90%)가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했다. 시는 시민들의 출근길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출퇴근과 심야시간대 인천 지하철 1?2호선 증차?연장운영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지만, 갑작스러운 파업 소식을 접한 시민들의 민원이 이어졌다. 시 관계자는 SNS 등을 통해 비상대책과 실시간 교통상황을 홍보해 지난 10월 총파업 때보다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했다며 출근 시간대인 오전 8시 때 민원이 있기 했지만, 지난번 파업 때보다는 건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송길호기자

kt위즈와 함께하는 수원 사랑의 산타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착공식

제니 'SOLO' 댄스 커버 콘테스트 우승자 발표…대상은 프랑스팀

제니의 'SOLO' 댄스 커버 콘테스트 우승자가 드디어 발표됐다. 20일 오후 5시, YG엔터테인먼트는 공식 블로그 및 SNS를 통해 'SOLO' 댄스 커버 콘테스트 우승 3팀을 전격 공개했다. 대상을 수상한 'RISIN' CREW'는 프랑스 댄스 크루로, 화려한 의상과 현란한 퍼포먼스로 뜨거운 호평을 받았다. 특히 이들의 영상은 에펠탑 등 프랑스의 랜드마크가 돋보이는 야외에서 촬영돼 눈길을 끌었다. 'RISIN' CREW'의 커버 영상은 유튜브에서 무려 58만뷰를 육박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최우수상은 혼성 참가자들로 이뤄진 베트남의 'FGDANCE'로 색다른 매력을 선사한다. 특히, 이들의 커버 영상은 여성 댄서들뿐만 아니라 남성 댄서들도 제니의 'SOLO'에 맞춰 칼군무를 선보여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우수상은 뮤직비디오 속 제니와 댄서들을 연상케 하며 엄청난 싱크로율을 자랑하는 태국의 'K-GIRLS'가 차지했다. 1등에게는 1천만원과 함께 특전이 수여될 예정이며, 2등과 3등에겐 각각 300만원, 200만원이 주어진다. 각 팀의 우승 상금은 지원 이메일을 통해 개별 안내 후 지급될 예정이다. 이로써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 'SOLO' 댄스 커버 콘테스트는 다양한 글로벌 팬들의 참여 속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달 12일 처음 공개된 제니의 'SOLO' 뮤직 비디오는 단 23일 만에 1억뷰를 넘었다. 그룹이 아닌 '솔로 아티스트'가 억대 뷰를 돌파하는 것이 드문 일임에도 제니는 압도적인 속도로 '한국 여자 솔로 가수' 최단 기록을 갈아치웠다. 제니의 'SOLO'는 컴백 이후부터 15일 연속 국내 주요 음원사이트 실시간 차트에서 정상 행진을 펼친 데 이어 일간, 주간차트까지 싹쓸이했다. 46주차 가온차트에서도 디지털, 다운로드, 스트리밍 차트를 석권하며 3관왕을 차지했다. 또 발매 직후 40개국 아이튠즈 1위를 달성했고 한국 여자 솔로 가수 최초로 아이튠즈 월드와이드 송차트에서 1위에 오르는 새로운 역사를 썼다. 더불어 제니의 'SOLO'는 빌보드 '월드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해 글로벌 인기를 자랑했다. 더불어 SBS '인기가요'에서는 '트리플 크라운'을 차지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장영준 기자

[특성화 A등급 ‘동남보건대’] 맞춤형 휴먼케어 전문인재 양성… 보건·의료 특성화大 선도

대한민국 보건ㆍ의료 분야 인재 양성을 선도하고 있는 동남보건대학교(총장 홍종순)가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교육부의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SCK) 연차평가에서 2년 연속 A등급을 달성하는 등 다시 한 번 보건ㆍ의료인력 양성 우수 전문대학으로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동남보건대학교는 2017년과 2018년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SCK) 연차평가에서 △대학 특성화와 산업과의 연계성 △특성화 사업 추진 실적 및 성과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등의 우수한 실적을 인정받아 2년 연속 A등급을 받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처럼 명실상부 국내의 선두 보건ㆍ의료 특성화대학으로 도약한 동남보건대학교의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과 발전방안 등을 알아본다. ■ 특성화 취업지원 사업 통해 학생 취업 길라잡이 역할 톡톡 동남보건대학교는 학생들의 취업을 지원하고자 NCS 기반의 현장 실무중심 교육과정과 수요자 중심의 1:1 취업지도에 나서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준비기-다지기-굳히기로 구분되는 학생 및 학과별 특성을 반영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취업뿐 아니라 취업 후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처럼 특성화사업을 통해 학생 취업지원에 나선 결과, 4년 연속 취업률 상승(2015년 73.4%2016년 74.5%2017년 74.6%2018년 75.7%)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특성화사업계열 취업률도 지난 2015년 68.5%에서 2016년 75.6%로 1년 사이 무려 7.1%p 급증한 뒤 2017년에는 75.3%를 달성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같은 기간 자격증 취득 건수는 4천66건에서 5천464건까지 34.4% 증가했고, 재학생 1인당 취업지원 참여시간도 32.9시간에서 51.6시간으로 56.8% 늘어났다. 직무능력 성취도(산업체 만족도) 역시 2016년 79.5%에서 2017년 86.5%로 7%p 상승했다. 동남보건대학교는 이 같은 △NCS 기반 교육과정과 연계한 높은 전공일치 취업 지원 △특성화계열 취업률과 직접 관계있는 국가고시 합격률 향상 및 특성화계열 취업률 증가 △연도별 취업지원 강화를 통한 재학생 1인당 취업지원 참여시간 증대 등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차별적 가치를 제공하는 창의적 보건ㆍ의료 인재의 취업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 학생이력관리 프로그램 운영 학교생활 등 통합적 지원체계 마련 동남보건대학교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통해 건강사회 맞춤형 휴먼케어 전문인재 양성을 목표로 취업지원에 나설뿐 아니라 학생들의 진로ㆍ적응ㆍ학교생활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분절돼 있는 학생의 진로ㆍ경력ㆍ취업ㆍ적응ㆍ중도탈락ㆍ주요정보 관련 지원체계 마련 △학생 생활 상담지도ㆍ진로설계ㆍ경력개발ㆍ취업정보 등 학생 개인별 맞춤 이력관리 △고위험군 스크리닝 및 지속적인 관심ㆍ지도를 통한 중도 탈락 예방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지난 2016년 5.3%에 달했던 중도탈락률은 이듬해 5.1%로 소폭 감소한 뒤 올해 3.8%까지 1.5%p 하락했다. 반면 특성화 사업에 대한 재학생 만족도는 같은 기간 81.2점에서 87.1점까지 5.9점 상승했다. ■ 수도권 보건의료 서비스 인재양성 선도 4차 산업혁명 대비한 창의적 인재까지 지난해 기준 수도권 인구가 약 2천300만 명에 달해 전국 인구의 45%를 차지하는 등 보건ㆍ의료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수도권은 인구 1천 명당 일반 병상 수가 9.1개에 불과해 전국 평균(13개)보다 매우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수도권은 병원급 의료시설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연평균 2천여 명에 달하는 간호사 및 의료종사자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동남보건대학교는 우수 보건ㆍ의료 특성화전문대학으로서 최상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 특성화 및 중장기발전계획의 방향으로 △보건ㆍ의료 휴먼케어 분야 중심 및 NICE 교육모델 운영 통한 대학 역량 강화 △사회수요 맞춤 인재양성 △대외 추진 사업성과 창출 및 지역 공유가치 창출의 사회적 성과창출 등을 주요 추진방향으로 선정해 내실을 다지고 있다. 홍종순 동남보건대학교 총장은 2년 연속 특성화사업 연차평가에서 A등급을 달성하면서 국내 보건ㆍ의료 분야를 이끄는 전문대학으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국가 및 지역 산업과 연계해 보건ㆍ의료계열 특성화를 완성한 뒤 4차 산업혁명 선도 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동남보건대학교 센터들 수원FMS센터(Foreigner Medical System) 동남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원FMS센터(Foreigner Medical System)는 지역 내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의료기관과 연계를 통해 외국인 노동자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동남보건대학교는 지난 2016년 국민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대적 취약계층인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수원FMS센터 사업을 시작했다. 수원FMS센터는 주요 사업으로 △의료보험이 없는 외국인 응급의료비 모금 △다문화 건강보건교육 △의료보험이 없는 외국인 건강검진 지원 △다문화 안경지원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다. 아동발달지원센터 지역사회 아동을 위한 발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동남보건대학교는 지난 2016년 교육부 특성화 사업 중 하나인 아동발달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아동발달지원센터를 개소해 지역 내 아동발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아동발달지원센터는 △감각통합실 △스노즐렌실 △영유아실 △개별치료실 △소동작인지실로 구성돼 지역 내 아동의 발달평가와 중재 프로그램 등을 통한 발달지원 서비스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프로그램 대상은 0~6세 아동과 초등학교 입학 전 유치부 아동, ADHD 의심 및 진단 아동 등이다. 아동발달지원센터는 아동에 대한 프로그램뿐 아니라 부모의 심리평가도 진행, 아동발달 관련 종합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응급의료안전교육센터 동남보건대학교 응급의료안전교육센터는 지역 주민과 학생,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응급처치교육을 제공해 생활 속에서 예상치 못한 사고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있다. 특히 실습 위주로 이뤄지는 심폐소생술 교육은 현장 구조 및 응급처치 능력 향상에 탁월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밖에도 연안해역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예방에 필요한 교육을 진행하는 연안체험활동안전교육도 위탁받아 진행하고 있다. 해당 교육은 △일반형 △수중형 △수상형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돼 있는데, 응급의료안전센터에서는 일반형과 수중형 교육을 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