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ㆍ인천지역 어촌의 혁신성장을 돕는 지역밀착형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인 어촌뉴딜 300 사업의 내년도 대상지 6곳이 선정됐다. 해양수산부는 18일 가기 쉽고, 찾고 싶고, 활력 넘치는 혁신어촌을 본격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평가단을 구성해 사업을 신청한 143개 대상지에 대해 서면평가와 현장평가, 종합평가를 거쳐 경기 1곳, 인천 5곳 등 최종 70곳을 선정했다. 이들 대상지를 사업유형별로 살펴보면 해양레저형 9곳, 국민휴양형 18곳, 수산특화형 10곳, 재생기반형 6곳, 복합형 27곳이다. 지역별로는 부산 1곳, 인천 5곳, 울산 1곳, 경기 1곳, 경남 15곳, 경북 5곳, 전남 26곳, 전북 5곳, 충남 6곳, 강원 2곳, 제주 3곳 등이다. 이 중 경인지역을 보면 화성시 백미항이 국민휴양형으로 선정돼 해양생태휴양마을 조성사업에 지원을 받는다. 인천은 중구 소무의항(수산특화형)이 어촌뉴딜 300 아름다운 어촌만들기 사업, 옹진군은 야달항, 답동항, 대이작항 등 3곳이 복합형으로 선정돼 무인도 체험관광ㆍ자연생태 탐조관광ㆍ마리나 해양레저 관광 등으로 개발된다. 이어 강화군은 후포항(재생기반형)이 밴댕이마을 조성사업으로 선정됐다. 사업비는 한 곳당 평균 100억 원으로, 총 7천억 원(국비 70%, 지방비 30%)이 투입된다. 우선 내년에는 국비 1천729억 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한다. 해수부는 내년 상반기에 사업 대상지에 대한 사업설계를 추진하고, 단기에 완료할 수 있는 선착장 보강, 대합실 마련 등의 사업을 먼저 집행해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문화관광, 도시계획항만기술, 경관레저, 수산어촌, 지역경제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어촌뉴딜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한다. 해수부는 타 부처와의 협업 활성화 및 사업추진체계 내실화 등을 담은 어촌뉴딜 300 후속조치 추진방안을 마련, 이달 중 경제관계장관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정치일반
강해인 기자
2018-12-19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