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장애인의 탈시설 자립지원 사업 계획을 발표하며 장애인 삶의 질 개선에 나섰다. 탈시설 자립지원 사업은 장애인 지원시설에 격리된 장애인들이 시설에서 자립해 지역사회와 어울리며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하는 사업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인천시 시설거주 장애인의 탈시설 및 지역사회통합지원 5개년 계획 발표회에서 4개의 정책과제를 내놨다. 4개 정책과제는 자기결정이 가능한 인천, 주거가 확보되는 인천, 소득과 건강이 보장되는 인천, 자립생활을 주도하는 인천 등이다. 자기 결정이 가능한 인천 분야에는 탈시설 전환지원센터(가칭) 설립, 탈시설 민관협의체 구성,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확충, 탈시설 발달장애인 개인별 지원계획 수립, 탈시설 장애인 사례관리 등 5개 사업이 세부 방안으로 제시됐다. 주거가 확보되는 인천에는 탈시설 체험주택 단지(가칭) 설치, 자립생활 체험주택 운영 확대, 탈시설 단기체험홈 설치운영, 시설퇴소자 초기정착금 지원 확대 등이 4개 사업이 포함됐다. 소득과 건강이 보장되는 인천에는 탈시설 장애인 자립 정착 생계비 지원과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추가 지원 등이 제시됐으며 자립생활을 주도하는 인천에는 거주시설의 자립지원 계획 수립 의무화와 자립생활지원 교육 강화, 관계기관 협치사업 추진 등이 포함됐다. 시 관계자는 탈시설에 대해 입장 차이가 있는 각 분야의 대표가 모여 장애인의 자립생활이라는 1개의 지향점을 위해 상호 이해와 협력을 이뤘다며 앞으로도 이 관계가 계속돼 시 정책 추진에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인천뉴스
이승욱 기자
2018-12-18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