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장애인아시안게임 개막…8일간 대열전

아시아 최고의 장애인 스포츠 축제가 인도네시아에서 성대한 막을 올린다. 제12회 인도네시아 장애인아시안게임은 6일 오후 9시(한국시간)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GBK) 주 경기장에서 개회식을 시작으로 8일간 열전에 돌입한다. 한국은 지난 1977년 제2회 호주 대회 때 처음으로 출전해 안방에서 열린 2002년 부산 대회와 2014년 인천대회에서 종합 2위로 최고 성적을 거뒀다. 한국은 종합 3위를 목표로 17개 종목 307명의 선수단(선수 202명, 경기임원 83명, 본부임원 22명)을 파견해 금메달 33개, 은메달 43개, 동메달 49개를 노린다. 또한, 북한도 탁구와 수영, 육상 등 3개 종목에서 23명의 선수단(선수 7명)이 참가해 2014년 인천대회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장애인아시안게임 인원을 파견했다. 아울러 남북은 이번 대회에서 개회식 공동 입장,일부 종목(탁구 단체전, 수영 계영, 혼계영) 단일팀을 구성한다. 최근 남북정상회담으로 마련된 평화분위기 속에 남북 선수단은 이번 대회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국 전민식 단장은 “스포츠를 통해 평화통일에 기여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북측 정현 단장 역시 “단일팀으로 힘을 뭉쳐 좋은 성과를 내고 싶다”라며 “2032년 올림픽과 패럴림픽도 함께 치러내자”고 의지를 피력했다.이광희기자

휘발유 가격 14주째 상승… 평균 1659.6원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이 10월 들어서도 비교적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며 연중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다.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첫째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평균 9.4원이나 오른 1천659.6원으로 집계됐다.이는 2014년 12월 둘째주(1천685.7원) 이후 약 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이다. 지난 6월 넷째주 이후 무려 13주 연속 올랐고, 특히 최근 5주 동안에만 40원 가까이 급등했다.자동차용 경유도 전주보다 10.0원이나 오른 1천461.5원에 판매되며 1천460원 선을 넘어섰다. 실내 등유는 975.5원으로 7.8원 올랐다.상표별로는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ℓ당 평균 9.5원 오른 1천634.3원으로 가장 낮았으며, 가장 비싼 SK에너지는 9.3원 상승한 1천675.4원을 기록했다.지역별로는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평균 6.8원 오른 1천744.8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9.5원 오른 1천634.6원을 기록했다.지난 5일 기준으로 전국에서 가장 휘발유 가격이 비싼 곳은 서울 중구의 한 주유소로 보통 휘발유가 ℓ당 2천356원이었고, 고급 휘발유는 무려 2천644원에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가장 싼 곳은 보통 휘발유를 1천579원에 팔고 있는 울산 북구의 한 알뜰주유소였다.석유공사는 주간 보고서에서 "국제유가는 11월 이란 제재를 앞두고 공급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미국과 이란 갈등 심화 등의 영향으로 상승했다"면서 "국제유가가 7주 연속 상승세를 유지함에 따라 국내 제품 가격도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3.2달러 오른 82.9달러로, 80달러를 넘어섰다.

"집 한 채가 전 재산"이라던 MB, 벌금·추징 212억원 낼까

이명박 전 대통령이 1심에서 징역형과 함께 거액의 벌금과 추징금을 선고받으면서 납부 가능성이 주목된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정계선 부장판사)는 전날 이 전 대통령에게 징역 15년과 함께 벌금 130억원, 추징금 82억7천만원도 선고했다. 이 전 대통령이 삼성그룹 등에서 받은 뇌물이 벌금과 추징금 산정에 영향을 미쳤다. 뇌물죄는 받은 액수에 따라 가중 처벌하는데, 특히 징역형과 함께 수뢰액의 2∼5배 벌금을 병과한다. 재판부는 이 전 대통령이 삼성그룹에서 다스의 미국 소송비 61억원 상당을 뇌물로 받았다고 인정했다. 또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김소남 전 의원에게서 각각 19억원과 4억원을, 원세훈 전 원장에게서는 10만달러(1억원 상당)를 뇌물로 받았다고 인정했다. 재판부는 이 가운데 이 전 대통령이 삼성에서 받은 61억원 상당의 뇌물을 기준으로 2배가 조금 넘는 130억원을 벌금액수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 벌금은 판결 확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내야 한다. 만약 벌금을 내지 않으면 이 전 대통령의 경우 최대 3년간 노역장에 유치된다. 추징은 불법 행위로 취득한 재산을 몰수할 수 없을 때 그에 상당하는 금액을 강제로 환수하는 조치다. 이 전 대통령이 뇌물로 챙긴 돈을 환수하기 위해 82억원 가량의 추징금을 선고한 것이다. 이 전 대통령은 2016년 3월 개정된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의 적용을 받게 된다. 개정법에 따라 공무원이 뇌물 등 불법으로 취득한 재산의 추징 시효가 10년으로 연장됐다. 범인 외에 가족을 비롯한 제3자가 그 정황을 알면서 취득한 불법재산 및 그로부터 유래한 재산도 추징할 수 있게 됐다. 법원은 올해 4월 검찰의 추징보전 청구를 받아들여 이 전 대통령의 재산 111억원 상당을 묶어놨다. 이에 따라 이 전 대통령은 올해 공시지가로 62억6천만원 상당인 논현동 사저와 40억원 상당의 부천 공장 부지 등을 확정판결 전까지 처분하지 못한다. 이 전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달 6일 열린 결심 공판에서 "전 재산은 현재 사는 논현동 집 한 채가 전부"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검찰에서 혐의를 두는 그런 돈을 알지 못한다"고도 말했다. 차명 재산은 하나도 없다는 주장이다. 법조계 관계자는 "형이 확정됐는데도 이 전 대통령이 추징금을 내지 않으면 가압류 상태인 논현동 사저 등을 강제 경매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으로선 집을 넘기느냐, 차명 재산의 존재를 스스로 인정하느냐의 문제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