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문재인-김정은, 백두산 천지 올라 … 제3의 ‘도보 다리 대화’ 재연

문재인 대통령은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날인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백두산 천지에 올랐다.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의 여정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남북 정상 내외가 백두산 천지를 동반 산책한 것은, 4·27 회담 당시 ‘도보 다리 대화’와 같은 큰 상징성을 띤 역사의 명장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 내외는 이날 공군 1호기 대신 물품 수송을 위해 북한에 들어가 있는 공군 2호기를 타고 오전 7시27분 평양 순안공항(평양국제비행장)을 떠나 오전 8시 20분께 삼지연공항에 내렸다. 삼지연공항에서는 문 대통령 내외를 맞이하기 위해 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가 대기 중이었으며, 군악대와 의장대, 시민들의 환영식이 약 10분간 진행됐다. 자동차를 타고 공항을 떠난 남북 정상 부부는 정상인 장군봉까지 향했다. 다만, 청와대는 문 대통령 내외와 김 위원장 내외가 같은 차에 탔는지는 알 수 없다고 전했다. 남북 정상은 장군봉을 지켜본 뒤, 백두산행 열차가 오가는 간이역인 향도역에 잠시 들렀다가 오전 10시10분 케이블카를 타고 10시 20분께 마침내 천지에 발을 디뎠다. 양 정상 내외는 천지 주변을 산책했으며 여기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도 동행했다고 청와대는 말했다. 평양ㆍ서울공동취재단=강해인ㆍ정금민 기자

[평양정상회담] 靑, “美, 비핵화 문제 풀겠다는 의지 보여”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0일 “양측이 대화를 통해 비핵화와 평화정착 문제를 풀겠다는 (의지가 보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본부장은 이날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남북간 평양공동선언과 이후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성명 등을 놓고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일단 내주 한미정상회담이 있고, 유엔총회 계기에 장관급 협의가 이뤄질 수 있다”면서 “북미가 만나 협상하면 아주 좋은 진전이 이뤄질 것이고, 그것을 기초로 북미정상회담까지 이뤄지면 금상첨화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이 영변 핵시설에 대한 폐기 등을 얘기한 만큼 이제는 외교적 협상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를 의논할 때가 됐다”며 “(지금까지) 남북미 정상이 큰 틀에서 갈 길을 정했다면 그 속의 내용을 채우는 것은 협상단이 하는 것이고, 합의되면 다시 정상 간에 동의해주는 형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에 채택된 평양공동선언에 대해서는 “남북 관계 진전이 북미 간 진전을 가져오는데 밑받침이 될 수 있다는 논리를 방증한 것”이라며 “이런 식으로 성과를 만들어내고 다시 미국한테 넘겨주는 우리 역할이 분명히 자리를 잡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로 생중계되는 TV 앞에서 그걸 했다는 것이 아주 중요한 대목”이라며 “과거에는 북한이 이 정도로 최정상급에서 대외적으로 (비핵화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힌 바 없다”고 말했다. 평양ㆍ서울공동취재단=강해인ㆍ정금민 기자

[평양정상회담] 靑, “남북 불가침 제도화, 야당과 협의할 것”

청와대는 남북정상회담 마지막 날인 20일 “(남북 불가침 원칙의) 제도화 문제를 야당과 긴밀히 협의하며 제도화 방향에 대해 고민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사전에 언급한) 불가역적인 단계,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가기 위한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첫발을 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수석은 ‘북한은 미래의 핵 포기를 천명하는 반면, 미국은 현재 핵 포기를 요구하는 등 양측의 괴리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접점도 반드시 찾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전날 합의 사항의 각론 중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도 “이번 공동선언의 모멘텀을 최대한 살려 잠시 느슨해졌던 북미 간 대화의 끈을 복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 상황과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한을 사흘 전에 받았다. 매우 좋은 소식이다. 엄청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며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내 비핵화 완성 등 북미 간 근본적 관계 전환 협상에 즉시 착수한다’고 발표했고, ‘유엔 총회에서 만날 것을 리용호 외무상에게 요청했다’고도 공개했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중국의 외교 대변인은 새롭고 중요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했고, 러시아 대변인은 실질적, 효율적인 행보를 당연히 지지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면서 “일본 관방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소개했다. 한편 윤 수석은 문 대통령의 유엔 총회 참석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은 평양에서 돌아오자마자 다시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뉴욕으로 떠난다”면서 “이는 북미 대화의 중재와 촉진 역할을 위한 것으로, 낙관할 수는 없지만 새로운 미래가 만들어지는 건 분명하다.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평양ㆍ서울공동취재단=강해인ㆍ정금민 기자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합동 네트워크 발전 컨퍼런스 개최

국군지휘통신사령부(이하 통신사)는 지난 19일 軍 네트워크 발전방향과 국방분야에 적용 가능한 핵심기술을 공유하기 위한 ‘합동 네트워크 발전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연합사 통신전자참모부장, 한화시스템 고문,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위성체계단장 등 산·학·연의 주요 관계자를 포함한 약 500여 명이 참석했다. 컨퍼런스에서 이재숭 대령이 M-BcN(국방광대역통합망), MW(초 극단파), 위성에 대한 ‘합동네트워크 발전방향’을 발표했고 이어서 안병오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차기 M-BcN 발전방향’을 통해 미래 군사적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박성혁 ㈜우리넷 박성혁 이사의 ‘차세대 MPLS-TP를 활용한 전달망 구축 방안, 박경열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의 ‘통합망 구성을 통한 기반체계 발전방향 수립에 대한 軍 위성통신체계 발전방향’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또, 삼성전자와 SK텔레콤, 포스텍, 코위버 등 총 20개 업체가 26개의 장비 전시부스를 운용해 대형 드론을 선보이고 RoIP(인터넷 기반 무전기), 광모듈, PTN(광전송장비) 등 네트워크 전송 장비를 전시, 신기술을 공유했다. 특히 통신사에서는 차량용 위성단말 시스템제어장치 내 자체 개발한 ’외장형 통신모듈‘ 시연을 통해 軍 자체 SW 기술력을 보여주는 등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사기도 하였다. 최낙중 국군지휘통신사령관은 “4차 산업혁명은 앞으로의 전쟁 패러다임을 급속도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유연하게 적용, 미래전장 환경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첨단전력 軍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 기자

동방신기, 日 새 앨범 'TOMORROW' 오리콘 데일리 1위

그룹 동방신기가 일본 새 앨범 'TOMORROW'(투모로우)로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1위에 올랐다.동방신기는 지난 19일 일본에서 발표한 새 앨범 'TOMORROW'로 발매 당일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해, 현지에서의 굳건한 위상과 독보적인 인기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이번 앨범에는 'Jungle'(정글) 'Showtime'(쇼타임) 'Get going'(겟 고잉) 'Yippie Ki Yay'(이피 카이 예이) 'Make A Chance'(메이크 어 찬스) 'Trigger'(트리거) 'Electric Love'(일렉트릭 러브) 'This is my love'(디스 이즈 마이 러브) 등 신곡 8곡과 한국 정규 8집 타이틀 곡 '운명'의 일본어 버전, 싱글 발표곡 'Road'(로드), 새롭게 편곡한 '明日は来るから'(아스와쿠루카라/내일은 오니까) 'Reboot'(리부트) 'Begin'(비긴)까지 총 13곡이 수록되어 동방신기의 풍성한 음악 감성을 만나기에 충분하다.또한 동방신기는 9월 26~28일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공연을 시작으로 일본 12개 지역에서 총 32회에 걸쳐 아레나&돔 투어 '東方神起 LIVE TOUR 2018 ~TOMORROW~'(동방신기 라이브 투어 2018 ~투모로우~)를 개최, 다채로운 음악과 환상적인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고품격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어서 관객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장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