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지정학적 우려·외인 '팔자'에 2,370대로 후퇴

코스피가 7일 한반도의 지정학적 우려와 외국인의 매도 공세에 밀리며 2,380선 밑으로 떨어졌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7.94포인트(0.33%) 내린 2,379.87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1.52포인트(0.48%) 내린 2,376.29로 출발한 뒤 2,380선을 중심으로 횡보 흐름을 보였다. 그러다가 오후 2시 30분께 외국인의 선물 매도 전환에 흘러내린 끝에 결국 2,380선을 내줬다. 코스피가 2,370대에 마감한 것은 지난달 23일(종가 2,378.60) 이후 10거래일 만이다. 미국 뉴욕 증시에서 민간 고용지표가 부진하고 한반도의 지정학적 우려가 불거진 영향으로 주요 지수가 약세를 보이자 국내 증시에서도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간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0.7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0.94%), 나스닥 지수(-1.00%) 모두 하락 마감했다. 대장주인 삼성전자 주가가 양호한 수준의 2분기 잠정실적 발표에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인 것도 영향을 줬다. 김성환 부국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2분기 잠정실적이 양호하게 나왔지만, 깜짝실적(서프라이즈) 수준은 아니다"라며 "주가에 이미 반영된 부분도 있고, 나스닥 등 미국 시장도 안 좋아서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두터웠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오후 2시 30분께 외국인이 선물 순매수에서 순매도로 전환하면서 수급적인 요인에 지수가 흘러내렸다"고 설명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하루 만에 '팔자'로 돌아서서 1천394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639억원, 316억원을 사들였으나 지수 방어에는 역부족이었다.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렸다. 보험(2.12%), 서비스업(1.04%)은 강세를 보였고, 종이·목재(-1.04%), 운송장비(-1.03%)는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주 중에선 삼성전자[005930](-0.42%)가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2등주 SK하이닉스[000660](-2.20%)와 함께 사흘 만에 하락했다. 현대차[005380](-2.57%), KB금융[105560](-2.41%), 현대모비스(-1.21%)도 동반 약세를 기록했다. NAVER[035420](1.58%), 한국전력[015760](0.95%), POSCO[005490](0.68%), 삼성생명[032830](2.52%),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35%)는 올랐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02p(0.00%) 내린 663.77로 마감했다. 지수는 전날보다 1.13포인트(0.17%) 내린 662.66으로 개장한 뒤 보합권에서 움직였다. hyunmin623@yna.co.kr연합뉴스

권익위 “기타공공기관도 출장비 실비로 사후정산해야”

앞으로 출장비를 실제 소요비용과 상관없이 정액으로 지급하고 있는 일부 공공기관의 예산 낭비 관행이 개선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근무지외 출장비를 정액 지급하고 있는 기타공공기관에 출장비를 실비로 지급하고 사후 정산을 의무화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공공기관 예산낭비 요인 개선안’을 권고했다고 7일 밝혔다. 기타공공기관이란 ‘공공기관 운영법’에 따른 공공기관(332개) 중 공기업(35개)과 준정부기관(89개)을 제외한 기관을 말한다. 현재 208개 기관이 지정·운영 중이다. 현재 중앙부처를 비롯한 대다수 공공기관에서는 근무지외 출장 여비(운임·숙박비) 지급시 실제 소요된 비용만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권익위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부 기타공공기관에서는 출장비를 사전에 현금으로 정액 지급하면서 출장 수행에 대한 증거자료를 받지 않거나 사용 금액에 대한 정산 절차가 없어 출장비가 필요보다 과다 지급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공기업·준정부기관은 예산집행지침에 따라 공무원 여비규정을 참조한 여비 규정을 마련·준수하고 있으나 기타공공기관은 자체적으로 마련한 여비 규정에 따라 정액지급제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액 지급은 별도의 정산 절차가 없이 출장 전에 현금으로 여비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실제 지출한 금액과 상관없이 출장 1일당 ‘운임 3만원·숙박비 5만원’ 식으로 받는 것이다. 이 경우 출장을 미리 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여비의 허위·과다 청구 등 부정행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투명성 제고를 위해 지난 2008년 ‘공무원 여비규정’이 개정됐으며 현재 대다수 공공기관에서는 실비 지급 방식을 채택·운영하고 있다. 개정된 ‘공무원 여비규정’은 출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임·숙박비는 법인카드 등을 이용해 결제하고 사후에 매출전표 등 증거자료를 제출, 정산하도록 하고 있다. 권익위 관계자는 “업무상 편의를 이유로 아직도 상당수 기관에서 출장여비를 정액 지급하고 있지만 공공기관의 투명한 예산 운영을 위해서는 실비 지급 방식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밭일 하다 쓰러진 60대 심폐소생술로 살린 경찰관 귀감

퇴근길 교통 소통지도를 하던 경찰관이 밭일하다 쓰러진 60대 할아버지를 심폐소생술로 구한 사실이 알려져 귀감이 되고 있다. 주인공은 양주경찰서 경비교통과 교통관리계에 근무 중인 신한준 경위(55). 신 경위는 지난 6일 오후 6시께 은현면 선암리 은현2교차로에서 퇴근길 교통 소통근무를 하던 중 지나가던 시민으로부터 “저쪽 집 앞에 방금 사람이 쓰러져 있는데, 술에 취해 쓰러진 것 같지는 않다”는 다급한 구조요청을 듣고 현장에 출동, 쓰러져 있는 김모(69)씨를 발견했다. 평소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던 김씨는 이날 뙤약볕에 밭일을 하던 중 갑자기 쓰러졌고, 신 경위는 119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등 응급처치를 했다. 김씨는 119구급대에 의해 의정부 성모병원으로 이송돼 현재 회복 중이다. 신 경위는 “평소 경찰서 직장교육에서 꾸준히 심폐소생술 교육을 배워 온 것이 위급한 현장에서 많은 도움이 됐다”며 “경찰관으로서 한 사람의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게 돼 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송호송 서장은 “신한준 경위의 신속한 대처로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위민봉사의 마음가짐으로 시민의 도움에 항상 귀 기울이는 경찰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김영우, “포천 집단에너지사업 계획 승인 과정에서 총체적인 문제 드러나”

국회 국방위원장인 바른정당 김영우 의원(포천·가평)은 7일 감사원이 전날 밝힌 ‘포천시 집단에너지시설 및 개별 열공급시설 인·허가’ 감사결과와 관련, “포천 집단에너지사업 계획 승인 과정에서 총체적인 문제가 드러났다”고 밝혔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8월26일 김 의원이 요청한 ‘포천시 집단에너지시설 및 개별 열공급시설 인·허가’ 감사결과를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으며, 감사결과 ‘포천집단에너지사업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 불철저’라고 밝히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 하여금 관련자에게 주의를 촉구하도록 했다. 김 의원은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않은 사업자,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이 사업계획에 제대로 반영돼 있지 않은데도 경기도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채 공사계획을 승인한 산자부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산자부로부터 통보받은 결과에 협의내용이 구체적으로 반영돼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협의내용을 반영하도록 요청하지 않은 환경부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완공된 사업도 문제가 있다면 재검토 하겠다는 것이 현 정부의 입장”이라면서 “공정률이 높아도 환경영향평가법 제30조를 철저하게 이행하지 않은 정부에 귀책사유가 있으니 사업 공사계획 승인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대기배출시설 등에 대해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혹들이 남아있다”며 “환경은 지켜져야 한다. 이번 기회에 유착관계를 완전히 뿌리 뽑아야 한다. 필요하다면 사실 확인을 위해 수사당국에 의뢰 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갤럭시노트FE 오늘 출시…이통 3사 7만∼24만원대 지원금 책정

갤럭시노트7의 부품을 재활용해 만든 갤럭시노트FE(Fan Edition)가 7일 출시됐다. 이통 3사는 지원금의 범위를 7만~24만 원으로 책정했다. 갤럭시노트FE는 지난해 배터리 발화 사고로 단종된 갤럭시노트7의 미개봉ㆍ미사용 제품을 활용해 만들었다. 외양, 카메라, 메모리 등 주요사양이 갤럭시노트7와 같다. 전ㆍ후면 대칭 엣지 디자인이며, 뒷면에 ‘Fan Edition’ 로고가 각인돼 있다. 올해 상반기에 나온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8와 같은 동일한 UX가 적용됐고, 음성비서 서비스 ‘빅스비’ 중 정보를 한 화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홈’과 약속시각ㆍ장소와 할 일을 알려 주는 ‘리마인더’ 기능도 탑재됐다. S펜의 방수ㆍ방진 기능과 언어 번역 기능, 홍채인식으로 은행 사이트 로그인이나 공인인증이 가능한 ‘삼성패스’ 기능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갤럭시노트7 때보다 300mAh(밀리암페어시) 작은 3천200mAh다. 색상은 블랙 오닉스, 블루 코랄, 골드 플래티넘, 실버 티타늄 등 4종이다. 갤럭시노트FE는 국내에 40만 대 한정으로 판매된다. 출고가는 갤럭시노트7보다 30만 원가량 저렴한 69만9천600원이다. 이통 3사 중 KT는 3만 원대 데이터 요금제에서 8만6천 원, 6만 원대 요금제에서 15만 원, 10만 원 이상 요금제에서 24만7천 원을 지원한다. SK텔레콤은 3만 원대 요금제에서 11만2천 원, 6만 원대는 13만5천 원, 10만 원대 이상은 16만7천 원의 지원금을 준다. 추가 지원금을 반영한 최저 실구매가는 50만7천 원이다. LG유플러스는 7만5천∼20만7천 원의 지원금을 제공한다. 10만 원대 이상 요금제에 가입하면 46만원 대에 구매할 수 있다.여승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