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년 만에 고국 땅을 밟은 로웰로혼씨 등 파주출신 4명의 혼혈입양인이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었던 친엄마는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파주가 고향이라는 것을 확인했던 정체성 회복은 소중한 선물이 됐어요.” 지난달 31일부터 오는 9일까지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인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를 성공리에 마무리하고 출국을 앞둔 지난 8일 만난 김민영 me & korea 대표(44ㆍ여ㆍ미국 캘리포니아 소재)는 “40~59년 만에 처음 고국 땅을 밟은 혼혈입양인들은 실망하지 않고, 앞으로도 파주에서 뿌리 찾기를 계속할 것이다”며 이같이 밝혔다.앞서 지난 7일 파주출신 로웰로혼(62ㆍ한국명 신상호), 스티브워커(52ㆍ한국명 안준석), 카라이즈 코프만(46ㆍ여ㆍ한국명 백수지) 등 4명은 서툰 모국어를 사용하며 생모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법원읍 등지를 방문했으나 만나지 못했다. 하지만 당시 삶의 흔적 등 혼혈입양인들의 ‘편린’을 찾은 것은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김 대표는 전했다. 김 대표의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은 2013년 시작됐다.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남편의 직장을 따라 미국으로 간 김 대표는 대학시절 자원봉사(혼혈입양인들의 뿌리 찾기)를 했던 경험을 미국에 가서도 잊지 않아 혼혈입양인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았다.그러던 중 혼혈입양인 모임에 참석했다가 이들이 “어릴 적 자신을 버린(?) 고국을 꼭 방문해 친엄마를 찾고 싶다”라는 얘기를 들었던 김 대표는 “이때부터 혼혈입양인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주고 싶다는 생각이 번쩍 떠올랐다”고 말했다. 2012년 ‘나를 알고 한국을 알게 하자’라는 me & korea는 이렇게 해서 발족하게 됐다.김 대표는 “2013년 처음 21명의 혼혈입양인과 함께 한국을 방문했다. 친모의 하늘과 함께 했다는 것만으로도 감동적이었다”며 “이 방문이 계기가 돼 2015년 미국 내 혼혈입양인들이 함께 모이는 모임도 처음으로 결성되는 등 강한 유대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후 me & korea 주최로 지금까지 130여 명 가까운 혼혈입양인들이 한국을 찾았다. 김 대표는 “이번에 32명의 혼혈입양인이 파주를 방문, 친모 찾기와 DMZ 방문 등으로 정체성을 더욱 진화시킨 성과를 냈다”면서 “파주시가 혼혈입양인 등의 모국 방문을 위해 8억 원을 들여 인류애로 조성하는 캠프 하우즈(파주 조리읍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내 ‘엄마품’ 동산 조성(올해 말 완성 예정)에 해외 입양인들의 모금활동 등을 통해 조력할 것이다”고 말했다.아울러 “혼혈입양인들의 아픈 상처인 애환과 미국 내 성공스토리를 유무형으로 엄마품 동산에 기증해 파주와 혼혈입양인 간 유대를 형성토록 이바지하겠다”고 다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광명시를 방문한 분들에게 쾌적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심어주고 싶어 환경 정화활동을 시작하게 됐습니다"올해 광명시자원봉사센터는 ‘봄맞이 국토대청소’가 한창이다. 광명시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Clean day(클린데이)’를 열고 쓰레기줍기 등 깨끗한 광명시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25일에 펼친 봉사활동은 목감천변(실개천 포함) 제방주변, 학온동 지역, KTX광명역, 광명스피드돔, 마라톤 행사장 등 15코스에 84개 단체, 1천830여 명의 봉사자들이 모여 무려 27t의 쓰레기를 수거했다.이들 자원봉사자가 광명시 내의 환경정화 활동에 뜻을 모은 결과다. 클린데이가 끝나도 광명 곳곳의 자원봉사자들은 자발적으로 쓰레기를 줍는 등 이들의 자원봉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클린데이는 광명센터가 지난 2008년부터 민관 협동사업으로 광명시와 연계해 처음 시작했다. 광명시 모든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대(大)시민 합동 봉사활동이다. 지난 2008년에 시작한 제1회 클린데이는 약 1천 명의 봉사자들과 함께 광명시 환경정화를 시작했으며 매년 3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진행한다. 1회부터 5회까지 KTX 광명역 중심으로 진행됐던 클린데이는 지난 2012년에 목감천변 가학천 지류, 노리실천 등의 천변환경정화 활동으로 전환됐다. 특히 2014년에는 KTX 광명역 일대로 코스트코, 이케아 등의 대형업체가 들어서면서 방문객들이 급증한 탓에 KTX 광명역 교통, 물류 거점 육성 범시민대책위원회와 공동 주관으로 약 1천500명의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환경정화에 힘썼다. 올해는 지난 2일 열린 ‘KTX 광명역 통일 전국 마라톤 대회’로 타 지역주민들에게 광명시의 깨끗한 이미지를 심어주자는 취지로 활동 구역을 더 확대했다.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최벼리 학생(14ㆍ광남중)은 “광명시에 이렇게 많은 봉사자가 있는지 처음 알았다”며 “이번 봉사활동을 계기로 ‘나부터 쓰레기를 줄이자’라는 마음이 생겼다”고 소감을 밝혔다. 클린데이를 본격 시작한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약 1만 명 이상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으며 약 10년 동안 150t의 쓰레기를 수거했다. 조미수 광명시자원봉사센터장은 “매년 15톤 이상의 쓰레기를 줍고있는 등 자발적인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로 깨끗한 광명시를 만드는 데에 센터가 앞장서고 있다”며 “클린데이 봉사활동으로 지역주민이 하나가 돼 소중한 자원이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도록, 또 버려진 쓰레기가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정민기자
낮은 지지율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두 보수정당,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간 단일화 변수는 결국 두 후보의 지지율이 될 전망이다. 양 당과 후보들이 연일 날 선 신경전을 주고받으면서도 양측은 보수후보 단일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다. 홍 후보 측 관계자는 10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보수가 단일화 안하면 다 죽는다”면서 “양측 캠프 의원들이 지속적으로 회동하며 물밑접촉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 후보 측 지상욱 수석대변인도 “후보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유 후보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은 점, 또 두 후보가 단일화를 해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에 크게 못 미치는 점 등이 두 후보의 단일화를 가로막는 결정적인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우선 한국당이 바른정당에 비해 규모나 지지율 등에서 앞서지만 결정적으로 홍 후보의 지지율이 바른정당과 유 후보를 투항시킬 만큼 그리 높지 않다. 바른정당과 유 후보 입장에서 섣불리 고개를 숙일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가능하다. 여기에 두 후보의 지지율을 합쳐도 대선에서 승리를 이룰만한 수준이 아닌 점도 단일화를 망설이게 하는 요소다. 보수층 대결집에 희망을 걸고 확신 없는 단일화를 했다가는 자칫 바른정당의 정체성과 유 후보의 정치 인생에 심대한 타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본선에서 이길 가능성이 있다면 후보 단일화가 가능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이기기 어렵다면 명분이라도 챙겨야 한다는 것이 당내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재민ㆍ구윤모기자
부천종합운동장 일원 역세권이 개발된다. LH 인천지역본부(본부장 김수종)와 부천시(시장 김만수)는 10일 ‘부천종합운동장 일원 역세권 융복합개발사업 사업시행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LH에 따르면 이번협약은 부천종합운동장 일대(490천㎡)를 첨단산업, 문화, 주거 등 복합도시로 조성할 개발사업에 대해 LH와 부천시가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협조하여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지역은 도시철도 7호선과 원시-소사-대곡선이 개통예정인 교통의 요충지로 현재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양 기관은 협약을 계기로 행정력과 개발노하우가 접목돼 개발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LH는 연내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는 대로 지구지정하는 등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LH 인천지역본부 김수종 본부장은 “LH는 부천시종합운동장 사업을 시작으로 부천시와 긴밀히 협력하여 행복주택·도시재생·가로주택정비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 부천시 발전과 부천시민의 주거난 해소에 일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안성시가 양성면 동항리에 조성되는 동항2 일반산업단지에 입주할 기업들을 모집한다.10일에 따르면 시는 양성면 동항리 산 47 일원 14만9천953㎡에 내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동항2 일반산업단지를 분양한다. 동항2 일반산업단지는 10만7천680㎡ 규모로 ㎡당 35만8천 원으로 12개 블록 중 7개 블록은 입주 계약을 체결하고 남은 5개 블록에 입주할 기업들을 모집한다. 동항2 일반산업단지는 국지도 23호와 인접하고 국도 45호선, 서안성 IC 등이 위치해 수도권 동ㆍ서ㆍ남ㆍ북 통행 교통여건이 편리한 장점을 갖췄다. 시는 단지 내 간선도로, 녹지시설, 상ㆍ하수도시설, 전기시설 등 기반시설들을 갖춰 입주 기업에 대해선 별도의 추가 비용이 없도록 했다. 업종은 고무 제품, 플라스틱 제조업 외 5개 업종이며 취ㆍ등록세와 재산세 감면과 분양대금 납부 부담을 줄이고자 최대 5년에 걸쳐 무이자 분할 납부 혜택을 준다. 자세한 사항은 안성시 홈페이지와 안성시청 도시개발과(031-678-2951~4) 등으로 문의하면 자세한 분양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안성=박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