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북핵 논의 주목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6~7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북 옵션 검토를 완료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일(현지시각) 이 같은 사안에 대해 잘 아는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NSC가 트럼프의 명령에 따라 대북 정책 옵션들에 대해 검토를 마무리했다고 보도했다. 그 중 한 명은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에 맞춰 검토의 속도를 냈다고 말했다. 트럼프가 이날 FT와의 단독인터뷰에서 “중국이 북한 문제를 풀지 않는다면 우리가 풀 것이다. 내가 해 줄 수 있는 말은 이게 전부”라고 한 것도 대북 옵션 검토를 끝낸 데 따라나온 발언으로 보인다. 로이터 통신도 소식통을 인용해 캐슬린 T. 맥팔런드 NSC 부보좌관의 주도 하에 대북정책 검토 작업이 완료됐다고 2일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대북 옵션 중 선제군사공격은 테이블 위에 없으며, 그보다는 ‘덜 위험한 조치 및 덜 두드러지는 직접 군사행동’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NSC가 트럼프에게 검토 결과를 공식적으로 제안했는지는 확실치않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가 대북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에 들어갔다는 보도가 나온 것은 지난 2월 초부터이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의 한국ㆍ일본 순방을 앞둔 시점이었다.3월 초에는 맥팔랜드 부보좌관이 대북 정책 재검토를 이끌고 있으며 NSC 관계자들이 맥팔랜드 부보좌관이 내놓은 제안에 대한 의견을 별도로 전달한 후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강해인 기자

의정부 권역 행정복지센터 업무 개시

의정부지역 동 주민센터 14곳을 4개 권역으로 나눠 복지허브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권역 행정복지센터가 3일 문을 열고 업무를 시작했다. 시에 따르면 권역 행정복지센터는 동 주민센터 3~5곳을 한 개 권역으로 한 중심 동이 서기관 직급의 권역동장 책임 아래 자치 민원, 복지지원, 주거환경 등 3개 과와 9개 팀이 본청에서 위임한 복지 등 190종의 권역 생활민원을 신속하게 처리한다. 시는 이를 위해 현장 인력 320명을 보강했다. 이에 따라 건축 통신판매 도로점용 굴착을 비롯해 광고물, 노래연습장 인허가 등 민원처리기간이 크게 단축돼 시민들의 행정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복지 사각지대로 방치될 우려가 있는 주민 등에 대해선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비롯해 맞춤형 서비스 등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시 관계자는 “청소와 불법 광고물 단속 등 시민 불편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점검을 강화,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시는 권역형 복지허브화를 계기로 본청 실ㆍ국을 비롯해 일선 권역 행정복지센터의 실ㆍ국장, 권역동장 책임행정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문제점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분기별로 개선방안을 찾아 반영해나갈 방침이다. 한편 4개 권역은 ▲호원권역(의정부2동 호원1~2동) 중심동 호원2동 ▲신곡허권역(장암동 신곡1~2동) 중심동 신곡1동 ▲송산권역(송산1~2동 자금동) 중심동 송산2동 ▲흥선권역(의정부1ㆍ3동, 가능1동, 흥선동, 녹양동) 중심동 흥선동 등이다. 의정부=김동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