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하철 안전요원 6일째 집단 승차 거부…처우 불만

인천지하철 2호선 안전요원들이 근로조건 개선을 호소하며 근무 거부에 나섰다. 7일 인천교통공사에 따르면 2호선 용역사 소속 안전요원 72명 중 상당수는 지난 2일부터 승차 거부에 돌입했다. 지난달 최저가 입찰방식으로 새로 선정된 안전요원 관리 용역업체가 인력을 충분히 채용하지 않은 탓에 근무 강도가 살인적이라는 이유에서다. 하루 11∼14시간씩 근무하고 월 휴무일도 3일밖에 되지 않지만, 급여는 월 220만원이 전부라고 밝혔다. 안전요원들은 급여 인상까지는 아니더라도 인력 보강, 월 4회 휴무 보장, 컨테이너 대기창고 휴식환경 개선 등을 촉구했다. 용역사는 그러나 집단행동을 주도한 6명을 해고하는 등 사측과 직원 간 갈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안전요원의 집단 승차 거부로 안전운행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철도면허 소지자인 안전요원들은 기관사 없이 무인시스템으로 운행하는 2호선 전동차 내부에서 대기하다가 시설 장애나 고장 등 돌발사태가 발생하면 초동조치를 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안전요원들은 대체인력이 철도안전법 규정상 안전교육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며, 대처 능력이 떨어져 시민 안전 또한 위협받고 있다고 했다. 인천교통공사는 그러나 대체인력은 업무 투입에 필요한 교육을 모두 마쳐 안전관리 유지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작업 거부 인력도 속속 업무에 복귀, 대체인력이 10여 명으로 감소한 상태라며 조만간 안전요원 업무가 완전 정상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교통공사 관계자는 "용역사가 교체되는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하긴 했지만 2호선 안전운행을 위해 대체인력은 자격요건을 갖춘 인력만 투입하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학비 벌려고" 의대생도 가담한 보이스피싱 조직

의대생을 포함, 대학생과 취업준비생 등 20대 다수가 가담한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이 경찰에 무더기 검거됐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사기 혐의로 중국 보이스피싱 조직 총책 전모(33·중국 국적)씨 등 17명을 구속하고, 임모(28)씨 등 17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7일 밝혔다. 또 대가를 수수할 목적으로 전씨 등에게 계좌를 넘긴 혐의(전자금융거래법 위반)로 김모(26)씨 등 3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전씨 등은 지난 2015년 10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중국 칭다오에서 보이스피싱 콜센터를 운영하면서 금융기관을 사칭하거나 수사기관을 빙자한 전화를 걸어 돈을 대포통장으로 입금받는 수법으로 76명으로부터 4억 9천여만 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김씨 등은 전씨로부터 "계좌를 빌려주면 하루에 150만원씩 주겠다"는 등의 말을 듣고 자신의 계좌를 넘긴 혐의를 받고 있다. 전씨의 조직은 국내에 점조직 형태로 활동하는 인출·송금책, 통장모집책을 활용해 범행을 지속했다.국내 조직원들은 SNS 등으로 지령을 받아 피해금을 수령, 중국으로 송금하고 수수료를 챙기는 식이었다. 여기에 가담한 피의자 중에는 의대생 1명을 포함해 20대인 대학생, 취업준비생이 모두 20명이나 됐다.이들은 구직 사이트를 통해 알게 된 전씨의 조직에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처음에는 구직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대출 관련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순작업을 하다가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유혹에 넘어가 범죄에 손댄 것으로 전해졌다. 첩보를 입수한 경찰은 국내 인출·송금책, 통장모집책을 순차적으로 검거하고, 한국에 머물던 전씨를 붙잡는 데에 성공했다. 전씨는 경찰에서 "나는 중간 브로커일 뿐이다. 인출책을 윗선에 소개해주는 일만 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 중 대학생, 취업준비생인 20대들은 '학비를 벌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며 "취업과정에서 상식 밖의 높은 급여를 보장하거나 필요한 자격서류가 아닌 통장이나 카드를 지참하라고 하는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