렛츠런 재단, 3억 7천만 원, 불우이웃에 기부 눈길

한국마사회 렛츠런재단(이사장 이양호)이 올해 처음 운영한 ‘홀스 매칭그랜트(Horse Matching Grant)‘로 3억 7천만 원을 기부해 눈길을 끌고 있다. 매칭그랜트(Matching Grant)은 기업에서 임직원이 내는 기부금과 동일하게 기업에서도 후원금을 내는 제도로 기업의 대표적인 사회공헌활동 중 하나이다. 한국마사회는 올해 렛츠런파크 서울과 부산·경남, 제주에서 활동 중인 마주와 조교사, 기수, 마필관리사 등이 경주상금이나 개인 성금을 렛츠런재단에 출연하면 렛츠런재단이 동일한 금액을 매칭해 3억 7천만 원의 후원금을 조성했다.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기태 마주의 경우 말산업계의 대표적인 기부천사로 불리고 있다. 2003년부터 루게릭병 환자를 지원하는 ‘인터알리아 공익재단’에만 설립기금 80억 원을 포함해 총 162억 원을 기부했다. 또, 정영식 마주는 경주마 이름으로 기부를 실천한 최초의 인물로, 올해도 서울효정학교 건립에 후원금을 내놓으며 눈길을 끌었다. 이밖에도 암 투병 중 운명을 달리한 특정 조교사의 자녀를 위해 매년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는 박남성 마주, 독거노인, 취약계층 아동을 위해 850만 원을 출연한 문세영 기수 등도 홀스 매칭그랜트의 주요 참여자들이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은 취약계층 자녀와 미혼모 지원, 불우청소년, 복지단체 등이 사용될 예정이다. 김학신 렛츠런재단 사무총장은 “경마관계자들의 적극적인 동참 덕분에 홀스 매칭그랜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며, “내년에는 더 많은 참여를 이끌어내, 총 8억 원의 기부금을 조성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 기자

과천시, 청년층 고용절벽 해소 해외취업 지원 프로젝트 추진

과천시가 본격적인 지구촌시대를 맞아 지역 젊은이들의 해외 취업의 문호를 넓히기 위해 두 소매를 걷어 부쳤다. 청년층의 고용절벽 해소를 위해 내년부터 IT 분야 일본 취업 지원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는 IT산업을 비롯해 기계, 금속, 자동차, 조선 등 CAD 분야 자격증이 있는 청년층 구직자에게 일본 등 해외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시는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일자리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일본의 IT 및 CAD 분야 인력난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와 관련, 내년 2월 중 일자리센터 위탁업체와 일본 취업전문 업체 간 한?일 IT 분야 등 자격 상호인정 MOU를 체결하고, 내년 말까지 청년층 구직자 10명을 일본 유수기업에 취업시킨다는 전략이다. 시는 이 프로젝트가 글로벌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층 취업준비생들에게 취업난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계에서 꿈을 펼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종화 과천시 주민생활지원실장은 “청년들도 이제는 좁은 나라 안에서만 일자리를 찾으려 하지 말고 나라 밖으로 시야를 넓혀야 하는 글로벌시대가 시작됐다“며 “빈부 격차와 임금 격차 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좁은 국내 취업시장을 벗어나 개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취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의왕, 무선인식기술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성과

의왕시가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무선인식기술(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는 음식물쓰레기 배출기기에 교통카드를 대고 쓰레기를 버리면 계량장비 내 전자저울이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자동 계량하고 배출자부담 원칙에 따라 버린 양만큼 수수료를 내는 방식이다. 29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4년 오전동 2개 단지 420세대를 대상으로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개별 계량기기를 설치, 시범 진행한 이후 모두 34개 공동주택 1만4천549세대에 236대를 설치해 현재 공동주택 기준으로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개별계량기기 보급률은 44%에 이르고 있다. 시는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개별 계량기기 설치 전인 지난 2013년 가구당 24.4㎏이던 음식물쓰레기가 설치 이후인 지난 2014년에는 16㎏으로 35% 감량 효과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시는 또 음식물 쓰레기 수거비가 절감될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통이 기기 내부에 설치돼 있어 악취가 줄어들고 주변 환경도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어 아파트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이에 내년 빌라나 다세대 등까지 보급률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안기정 시 청소위생과장은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기기가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수수료 균등부과 방식에 비해 주민만족도가 매우 높다”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기기 보급을 늘릴 계획으로 내년 1∼2월 RFID 기반 음식물 쓰레기 개별계량기기 설치에 대한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안양시시설관리공단, ㈜모두컴퍼니와 주차장 공공데이터 선제적 지원 위한 업무협약 체결

안양시시설관리공단(이사장 윤정택)은 지난 28일 ㈜모두컴퍼니(공동대표 김수남·김동현)와 주차장 공공데이터 선제적 지원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모두컴퍼니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주차장정보 공유 플랫폼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모두의 주차장’을 개발해 효율적 주차 문화를 정립하는데 일조, 금년도 정부3.0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IT기업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시설관리공단 측은 관내 56개소 공영주차장의 위치, 요금, 면수, 운영시간 등의 공공데이터를 수시로 ㈜모두컴퍼니에 제공하게 되며, 이를 제공받은 ㈜모두컴퍼니 측은 ‘모두의 주차장’애플리케이션에 신속히 적용하게 된다. 기존에는 최신정보를 취득하려는 민간기업의 경우 수시로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점검해야 했다. 하지만 이날 협약을 통해 공단 측이 선제적으로 데이터를 보내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빠른 주차장 정보를 운전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됐다. 윤정택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이 공공데이터의 개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시민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선진적 주차문화를 정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양=양휘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