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ITP 인천콘텐츠코리아랩, 신예 그림책 작가 배출 등 창작자 양성 활발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는 최근 인천콘텐츠코리아랩에서 신예 그림책 작가 2명이 잇따라 동화책을 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인천콘텐츠코리아랩 틈문화창작지대의 창작 프로그램 ‘그림책 작가 양성과정’을 마친 조승혜·김성은 작가는 북극곰 출판사와 계약을 맺고, 그림책 ‘동동이와 원더마우스’, ‘너희 집은 어디니?’를 각각 출간했다. ‘동동이와 원더마우스’는 ‘입만 살았다’는 관용구를 소재로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한 작품이다. 동동이가 말하는 대로 움직이고 실천하는 원더마우스를 통해 독자들에게 큰 웃음과 쾌감을 선사한다. 조 작가는 “그림책 작가 양성과정을 수강하는 동안 내게 담을 수 있는 이상의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너희 집은 어디니?’는 코믹하고 따뜻한 내용의 작품이다. 그림 속의 숨겨진 이야기로 독자들에게 신선한 유머와 반전을 제공한다. 김 작가는 “앞으로 그림책과 삽화, 그래픽 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틈문화창작지대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그림책 작가 양성과정’을 진행해 그림책과 웹툰 분야의 예비 창작자 24명을 배출했다. 그림책 작가 양성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인천콘텐츠코리아랩 홈페이지(www.inckl.or.kr)를 참조하면 된다.

인천시, 각 분야 전문가와 손 잡고 관광활성화 방안 마련 나선다

인천시가 각 분야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시티투어 활성화 등 관광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4일 시에 따르면 최근 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 유관기관 등이 참여한 제2차 관광진흥위원회를 열어 올해 관광진흥사업 추진사항을 보고하고, 인천 관광발전을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인천 섬 관광 홍보에 대한 사항과 인천 K-POP 콘서트의 차별화·발전을 위한 방안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또 공항·항만을 보유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비등했다. 특히 시티투어버스의 운영이 부실하다는 지적(본보 10월 11, 21일자 7면 보도)과 관련, 운영현황에 대한 점검 및 향후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펼쳐졌다. 위원들은 기존 시티투어의 문제점인 카드결제 시스템 미흡, 다국어 서비스 부재 등 이용자 불편사항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라는 의견을 강력 제시했다. 또 시티투어 이용객에게 레저, 쇼핑, 숙박업체 등의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방안도 내놨다. 내년 도입 예정인 오픈탑 형태의 특화버스에 대해서는 하프탑 형태의 하이데커, 2층버스, 트롤리 버스 등의 후보군 중 인천의 현실과 맞는 버스를 잘 선택하도록, 정책결정 과정의 신중함을 요구했다. 시 관계자는 “관광진흥위원회를 통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제시된 다양한 의견들을 검토, 정책에 반영 하겠다”며 “인천이 보유한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해 콘텐츠를 개발하고,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관광체육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시행한 올해 가을여행주간(10월24일~11월6일) 국민 참여 실태조사 결과, 인천에는 64만6천512명의 관광객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75만7천665명) 대비 14.67%의 관광객이 감소,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하락률을 기록했다.

정지열 연수구의회 기획복지위원장 “지역 현안 꼼꼼히 점검”

“연수구 예산 한푼 한푼과 각종 정책이 낭비되거나 허투루 짜이지 않도록 꼼꼼히 점검하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지열 인천시 연수구의회 기획복지위원장(선학동, 연수1·2·3동, 청학동)은 “올해 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5대 사무를 떠안게 되는 등 향후 막대한 예산 투입이 불가피하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지난 2002년 제4대부터 현 7대까지 의장까지 역임한 4선 의원으로, 지역 내에선 ‘행정의 달인’으로 불리는 베테랑 의원이다. 현재 구의회는 올해 행정사무감사를 마쳤고, 이번 주부터 집행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 심사를 앞두고 있다. 정 위원장은 “이번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다양한 지역 현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며 “특히 송도국제도시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끼치는 부분은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행법은 음식물쓰레기와 생활폐기물쓰레기를 분리배출하게 되어 있지만, 송도는 이 두 쓰레기의 분리배출 후 혼재 소각이 되고 있어 주민들의 분리배출이 의미가 없다”면서 “일본 등 선진국 사례를 보면 혼용배출을 허락하거나, 쓰레기봉투의 가격을 통일시켜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의 (쓰레기봉투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을 집행부가 적극 나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이번 행감에서 집행부의 시설안전관리공단 설립의 용역보고서는 신뢰성이 떨어지는 만큼 설립 당위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며 지역 내 고독사 예방을 위한 각종 대책 강구를 주문했다. 또 옥련시장 등 전통재래시장에 시설 지원뿐만 아니라, 인천관광공사와 함께 외국 관광객(중국 유커) 유치 촉진이나 청년상인 집중 육성, 자율상권 임차상인보호 등 소프트웨어적 활성화 대책 마련 시급도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연수구는 지금은 부자도시라고 하지만, 자칫 규모만 커져 배드타운화가 될 가능성도 크다”면서 “행감에서 집행부 정책 추진 중 문제점을 파악해 시정을 요구했고, 다양한 정책 대안 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경매이야기] 금리인상분과 경매의 수익비교

일반적인 주택시장이라면 금리인상으로 인해 주택을 구매하려는 수요는 적어지게 된다. 실제 주택거래량도 조금은 줄게 된다. 경매시장에서도 상품의 용도별로 최근 입찰경쟁률이 조금은 떨어졌으며, 입찰가율도 조금은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경매시장에서는 지금이 투자 적기이다. 금리인상분과 부동산 매입가격의 차이를 조금만 비교하면 투자 결정은 쉬워진다. 1억 원을 금리 3%로 대출받은 사람이 금리가 올라서 연2%의 금융비용이 더 발생한다고 가정할 때 연 200만 원을 더 부담하게 되지만 경매시장에서는 연 2%의 금리 상승분보다 일반 주택거래시장과는 다르게 좀 더 싸게 낙찰을 받을 수 있으며 금리상승분 이상으로 많은 매매차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 경매시장에서는 무피 투자나 플러스피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무피 투자는 초기 투자자본을 임차인의 보증금으로 전액 회수하는 것이고, 플러스피 투자는 초기 투자자본보다 임차보증금을 더 많이 받아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 북부3계 2015-2409 다세대 물건은 2013년 5월31일 전 소유자가 1억8천만 원에 매입했으나 법원경매를 통하여 최초감정가 1억5천만 원의 68.4%인 1억264만8천 원에 낙찰됐다. 이 물건은 낙찰가의 80%를 대출을 받고, 살고 있던 임차인에게 보증금 3천만 원에 월차임 35만 원으로 재임차 해 초기 투자금보다 더 많은 자금을 회수했고, 은행이자는 월차임으로 충당했다. 해당 물건의 소유권이전 시점에 은행에서 80%의 대출을 받아 잔금을 납부하였기에 임차인이 전세를 들어오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임차인의 보증금을 3천만 원을 받는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다. 위 물건은 2월16일 소유권이전을 하고 당일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았기에 근저당권설정 이후 전입하는 임차인은 대항력이 없게 된다. 그러나 2월16일 이후에 전입하는 임차인이라도 최우선변제권의 기준등기인 근저당권이나 담보가등기 설정일이 2014년 1월1일부터 2016년 3월30일 사이 위 물건의 임차인이 위 기간 이후에 전입했다고 하여도 최우선변제권 요건을 갖추면 선순위 근저당권자보다 최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위 물건과 같은 무피나 플러스피 투자와 같은 경매를 이용하면 초기에 몇 개월만 자금을 투자하면 월세보증금으로 투자금을 회수하고 이를 재투자 하는 방법을 이용해 적은 자본으로도 은행의 금리상승분 이상의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그러기 위해서는 시세조사가 매우 중요하다. 시세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에서 입찰하고자 하는 부동산과 위치가 비슷한 곳의 유사부동산의 거래사례가격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임장활동을 통해 시세조사를 해야 한다.

[추천 경매물] 남양주 진건읍 아파트 外

남양주 진건읍 아파트… 감정가 1억7천100만원▲소재지: 남양주 진건읍 용정리 751-2 남양주한신그린 7동 3층 306호 ▲감정가: 1억7천100만 원 ▲최저가:1억1천970만 원 ▲대지면적:43㎡ ▲건물전용면적: 84㎡ ▲매각기일:2016년 12월7일 ▲이용상태: 15층 중 3층. 남양주 진전읍 아파트… 후순위 임차인 점유 ▲소재지: 남양주 진접읍 금곡리 1108 금강펜테리움 1904동 3층 301호 ▲감정가: 2억8천900만 원 ▲최저가:2억230만 원 ▲대지면적:62㎡ ▲건물전용면적: 84㎡ ▲매각기일: 2016년 12월7일 ▲이용상태: 후순위 임차인 점유 고양 일산서구 탄현동 아파트… 소유자 점유 ▲소재지: 고양 일산서구 탄현동 1640 일산두산위브더제니스 108동 32층 3202호 ▲감정가: 6억7천만 원 ▲최저가:4억6천900만 원 ▲대지면적: 17㎡ ▲건물전용면적: 95㎡ ▲매각기일:2016년 12월8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용인 기흥구 보라동 아파트… 감정가 3억원 ▲소재지: 용인 기흥구 보라동 617 한보라마을 휴먼시아 503동 14층 1402호 ▲감정가:3억 원 ▲최저가:2억1천만 원 ▲대지면적: 59㎡ ▲건물전용면적: 84㎡ ▲매각기일:2016년 12월8일 ▲이용상태: 후순위 임차인 점유 구리 인찬동 아파트… 감정가 4억6천200만원 ▲소재지: 구리 인창동 651-27 아름마을 원일 101동 16층 1610호 ▲감정가:4억6천200만 원 ▲최저가:3억2천340만 원 ▲대지면적: 74㎡ ▲건물전용면적: 181㎡ ▲매각기일:2016년 12월8일 ▲이용상태: 총23층 중 16층 구리 토평동 아파트… 전입세대 없음 ▲소재지: 구리 토평동 960 삼성 301동 12층 1204호 ▲감정가: 5억4천300만 원 ▲최저가: 3억8천10만 원 ▲대지면적: 58㎡ ▲건물총면적: 99㎡ ▲매각기일:2016년12월8일 ▲이용상태: 전입세대 없음 안양 동안구 관양동 빌라… 소유자 점유 ▲소재지: 안양 동안구 관양동 1444-10 삼익빌라 라동 3층 302호 ▲감정가: 1억2천200만 원 ▲최저가: 9천760만 원 ▲대지면적: 30㎡ ▲건물전용면적: 36㎡ ▲매각기일:2016년 12월13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인천 남구 숭의동 빌라… 감정가 1억100만원 ▲소재지: 인천 남구 숭의동 2-44 하나맨숀 4층 402호 ▲감정가:1억100만 원 ▲최저가: 7천70만 원 ▲대지면적: 23㎡ ▲건물전용면적: 51㎡ ▲매각기일: 2016년 12월8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인천 부평구 부개동 빌라… 전용면적 57㎡ ▲소재지: 인천 부평구 부개동 191-239 현대베스트빌 나동 5층 501호 ▲감정가:1억1천300만 원 ▲최저가: 7천910만 원 ▲대지면적: 26㎡ ▲건물전용면적: 57㎡ ▲매각기일:2016년 12월8일 ▲이용상태: 소유자 점유 양평 청운면 다대리 땅… 오목동마을 북서측 ▲소재지: 양평 청운면 다대리 209 ▲감정가:4억7천260만 원 ▲최저가: 3억3천80만 원 ▲대지면적: 6천752㎡ ▲매각기일:2016년 12월7일 ▲ 이용상태: 오목동마을북서측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