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상동 복합쇼핑몰 건립 반대 결의안, 인천시의회 상임위서 원안 가결… 16일 본회의 무사 통과 예상

경기도 부천시가 추진중인 신세계 복합쇼핑몰 건립사업 반대 움직임이 인천지역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지난 2일 제237회 정례회에서 ‘부천시 영상문화단지 내 복합쇼핑몰 건립 반대 결의안’을 원안 가결했다고 4일 밝혔다. 복합쇼핑몰 건립 반대 결의안은 부천 상동영상문화단지 내 복합쇼핑몰 건립계획 즉각 철회, 부천시는 인근 지자체장 및 상인들과 협의에 나설 것, 인천시는 복합쇼핑몰이 건립되지 못하도록 조치 강구, 정부와 국회는 유통산업발전법 등 관련 법 제도를 마련하라는 내용으로 돼 있다. 결의안은 제안 이유에서 “상동영상문화단지에 복합쇼핑몰이 세워지면 부평을 비롯한 인천지역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인천지역 중소상공인에 대한 상생방안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며 “교통 혼잡과 대기오염도 가중돼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신은호·손철운·정창일 시의원이 공동 발의하고, 10명이 찬성한 이번 결의안은 상임위에서 원안 통과됐다. 결의안은 오는 16일 3차 본회의를 거치면 최종 확정되며, 별다른 이견 없이 무난하게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시의회는 결의안이 최종 확정되는 대로 국회 소관 상임위와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청, 경기도의회, 부천시청, 부천시의회, 인천시청등에 전달할 계획이다. 신은호 시의원(더민주·부평1)은 “부천시는 부평구와 인천시 등 인접 지자체와 즉시 상생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며 “지역경제를 황폐화시키고 주거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는 복합쇼핑몰 건립을 결사반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부평구의회도 지난 9월 210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부천시 영상문화단지 내 복합쇼핑몰 반대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 부평구의회의 ‘복합쇼핑몰 반대 결의안’은 이소헌(정의당·부평마) 구의원을 비롯한 구의원 18명 전원이 공동 발의했다.

인천항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에 한국 동전을 전자화폐로 환전해주는 서비스 개시

우리나라를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이 쓰다 남은 한국 동전과 소액 화폐를 전자화폐로 바꿔 중국으로 가져갈 수 있는 환전 서비스가 인천항에서 시작된다. 인천항만공사는 한·중 카페리를 이용해 인천항을 찾는 중국 관광객의 편의를 높이고자 중국 모바일 전자화폐 환전서비스를 5일부터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에 전자화폐 환전서비스용 키오스크를 설치하고, 환전이 어려운 소액지폐와 동전을 중국 모바일 전자화폐인 ‘위챗페이’로 바꿔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위챗페이’는 중국 텐센트(Tencent)사가 만든 전자화폐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인 위챗에서 사용할 수 있다. 중국 관광객들이 신용카드보다 더 익숙하게 사용하는 중국 최대 모바일 전자화폐서비스이기 때문에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결제할 때도 많이 이용한다. 인천항만공사는 중국 관광객들이 인천항에서 간편하게 위챗페이를 충전하고 출금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인천 관광이나 한중 카페리에 대한 만족도가 더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사 측은 현재 제1국제여객터미널에만 설치된 전자화폐 환전 키오스크 활용 실적 등을 분석해 앞으로 제2국제여객터미널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김영국 인천항만공사 여객사업팀장은 “인천항을 이용하는 중국 관광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우리나라 잔돈을 중국의 전자화폐로 환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는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인천항을 이용하는 관광객들의 인천 관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하겠다”고 설명했다.

"양육·주거비 부담 크다" 수도권 신혼부부, 지방보다 아이 안 낳는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의 출산 의지가 지방보다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비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일 고려대 건축학과 박사과정 전세란 씨와 이명훈 씨의 논문인 ‘신혼부부가구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 분석’에 따르면 출산계획이 있는 신혼부부의 비율은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분석대상은 지난 2010년 1월1일부터 2014년 12월31일 사이에 혼인신고한 신혼부부 2천207가구다. 연평균 소득은 4천810만여 원이고 대출ㆍ융자 탓에 매달 약 28만 원을 지출했다. 분석결과 소득 등 다른 조건이 같다고 전제하면 수도권 신혼부부보다 비수도권 신혼부부가 출산을 계획할 가능성이 1.37배가량 컸다. 혼인 1∼2년차일 경우 1.39배, 혼인 3∼5년차는 1.25배 높았다. 연구진은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 젊은 층의 비중이 높지만, 수도권의 물가가 높고 양육ㆍ보육비 부담도 크며 집값이 비싸 주거안정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실제 수도권 집값은 비수도권보다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평균 4억471만 원으로, 지방광역시(2억5천764만 원)와 기타지방(1억8천701만 원)보다 높았다. 평균 아파트 전세금도 수도권 3억66만 원으로 지방광역시(1억8천890만 원)와 기타지방(1억3천959만 원)보다 비쌌다. 자녀양육비도 수도권에 살면 더 많이 들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자녀가 1명인 가정의 월평균 자녀양육비는 대도시가 71만7천 원, 중소도시가 61만5천 원, 농촌이 52만1천 원이다. 둘째를 낳는 요인에 대해서도 논문은 분석했다. 신혼부부가 추가 자녀 출산계획을 세우는 데는 소득이나 주거지역보다는 현재 사는 지역의 보육ㆍ안전ㆍ자연ㆍ생활ㆍ교통환경 등 주거환경에 얼마나 만족하는지가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24로 신혼부부 1쌍이 아이 1명은 낳는다고 볼 수 있다”면서 “아직 아이가 없는 신혼부부는 경제ㆍ주거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미 아이가 있다면 거주지역 주거환경을 개선해주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