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준 중소기업융합경기연합회장 “고용허가제 지자체 이전, 중소기업부 신설"… 중소기업 도약할 환경 만들어야

‘9988’은 중소기업을 상징하는 의미다.대한민국 전체 기업의 99%, 고용 인원의 88%를 중소기업이 책임지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국내 산업의 주춧돌인 뿌리산업은 인력난에 허덕이고 중소기업을 옭아매는 각종 규제는 중소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다.경기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도내 중소기업인들의 내년도 경기 전망 역시 밝지 않은 가운데 한희준 중소기업융합경기연합회장(65ㆍ한신단열 대표)은 15일 “기업가 정신을 살릴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려면 중소기업 발전을 가로막는 정책을 점검하고, 중소기업이 전진할 수 있도록 지원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회장은 이날 오후 1시께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외국인 고용허가제 운영권의 지자체 이전, 어음 등 중소기업에 불합리한 금융 문제 해결, 중소기업부 신설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회장은 “취업준비생이 65만 명에 달할 만큼 청년 실업률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중소기업 현장의 인력난은 여전히 극심한 상황”이며 “전통적인 제조업체 등 뿌리산업은 생산직 직원 한 명조차 구하기 어렵다. 외국인 근로자가 없으면 공장이 가동할 수 없을 정도인 만큼 현장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현행 외국인고용 허가제를 지자체로 이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 업체별 실정에 맞는 인력수급을 하려면 지역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일선 지자체로 이관해 현실에 맞는 인력수급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의 목소리를 정책에 잘 반영하고, 중소기업의 성장동력을 키우려면 현재 중소기업청을 중소기업부로 승격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중소기업청이 차관급 외청이기 때문에 정책 조율이 곤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 않겠느냐”면서 “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활발히 활동하는 튼튼한 경제구조를 만들려면 중소기업인의 목소리를 잘 수렴하고 이를 정책적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중소기업부를 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2월 제12대 회장으로 취임해 중소기업 발전을 위해 쉼 없이 달려온 한 회장은 지난달 27일 열린 임시총회에서 융합경기연합회 제13대 회장으로 재추대 됐다. 한 회장은 회원 간 사기를 다지는 데 헌신할 뿐만 아니라 기업인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도록 중소기업이 당면한 어려움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한 회장은 “세계적으로 기술이 평준화되고 세계 경기가 어려워 그 어느 때보다 제조업체 등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크지만, 중소기업인들이 힘을 내 경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면 중소기업이 또 한 번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3분기 결산실적] 코스닥, 부채비율 500% 이상 6곳…케이프 1209.70%

코스닥 상장사의 부채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스닥사 6곳은 자본금의 5배가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거래소와 코스닥협회가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코스닥 12월 결산법인 770개사 가운데 전년과 비교 가능한 683개사의 부채비율을 집계한 결과를 보면, 부채비율 1위는 선박용 부품 제조사인 케이프로 무려 1209.70% 부채비율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1135.08%p 증가한 수치다.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눈 값을 말한다.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안정됐다는 의미로, 높으면 반대의 의미로 해석한다. 케이프의 자본금 총액은 1912억4700만원이지만 부채 총액은 2조3135억원에 달해 전체 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가장 괴리가 컸다. 다음으로 텔섹네트컴의 부채비율이 640.84%로 높았다. 지난해 말 대비 240.42%p 증가한 것이다. 이어 세동이 작년 말 대비 126.88% 증가한 590.38%의 부채비율을 기록했다. 이어 삼보산업의 부채비율이 533.77%, 유니슨이 부채비율이 524.01%로 각각 자본총액 대비 500%를 초과했다. 도이치모터스도 올해 들어 부채비율을 소폭 줄였지만 여전히 511.58%를 기록했다. 500%에는 미치지 않았지만 △엠에스오토텍(489.10%) △다우데이타(477.75%) △C&S자산관리(471.46%) △쏠리드(470.98%) △이루온(466.76%) △오리엔탈정공(458.50%) △삼원테크(450.10%) △잉크테크(420.10%) △코렌(414.66%) 등이 부채비율 상위사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와 반대로 데브시스터즈(1.27%), 알테오젠(3.46%), 케이사인(3.51%), 큐에스아이(4.71%), 인포바인(4.72%), 위즈코프(5.05%), 미동앤씨네마(5.21%), 모바일리더(5.31%), 하이로닉(5.64%), 칩스앤미디어(5.90%), 픽셀플러스(6.38%), 에프엔씨애드컬쳐(6.41%), 인바디(6.43%), 동일기연(6.73%), 아바텍(6.79%), 처음앤씨(6.85%), 티비씨(6.90%), 쎌바이오텍(6.93%), 케이아이엔엑스(6.99%), 모아텍(7.17%) 등은 상대적으로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코스닥 시장 전체의 부채비율은 95.13%로 지난해 말 대비 3.1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의 전체 자본총계는 82조8221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7.30% 증가한 데 그친 반면 부채총계는 78조7899억원으로 같은 기간 10.95%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3분기 결산실적] 코스닥사, 영업익ㆍ순이익 동반 하락..1000원어치 팔아 55.4원 남겨

올 3분기 코스닥 상장사들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 2016 사업연도 3분기 결산실적 분석’에 따르면 연결 재무제표 기준 683사 합산 매출액은 33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조8700억 원으로 1.90% 감소했고, 순이익은 같은 기간 34.86% 줄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54%, 매출액 순이익률은 3.05%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31%포인트, 1.80%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즉 지난해에는 1000원어치를 팔아 58.5원을 남겼다면 올해는 55.4원을 남겼다는 의미다. 3분기 연결 기준 누적 매출액은 99조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9%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4.19% 증가했다. 반면, 순이익은 13.39% 감소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및 매출액 순이익률은 각각 0.05%포인트, 0.73%포인트 감소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직전 분기 대비 0.14%, 영업이익은 4.97%, 순이익은 11.17%의 하락폭을 그렸다. 흑ㆍ적자기업 현황을 살펴보면, 분석대상기업 683사 중 69.10%에 해당하는 472개사가 순이익 흑자를 냈다. 반면, 211사(30.59%)는 적자를 시현했다. 개별ㆍ별도 재무재표 기준으로는 매출은 소폭 늘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0.5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0.57%, 순이익은 13.25% 감소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6.11%, 매출액 순이익률은 4.40%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07%포인트, 0.70%포인트 감소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IT업종은 직전 분기 대비 매출액은 3.23% 증가했고, 순이익은 35.47% 감소했다. 비 IT업종은 직전 분기 대비 매출액은 3.57% 감소하였고, 순이익은 7.84% 감소했다. 제조‧금융‧전기가스수도‧1차산업은 매출 및 순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제약은 매출 및 순이익이 각각 6.14%, 14.23% 감소했다. 분석대상기업 937사 중 640사(68.30%)가 흑자를 시현한 반면, 297사(31.70%)가 적자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