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우즈베키스탄 재외국민 위한 ‘디지털헬스케어센터’ 개소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최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 한인회에서 ‘대한민국 재외국민 디지털헬스케어센터’를 개소하고 현판식을 가졌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현판식 행사에는 김도윤 우즈베키스탄 한인회장, 박상우 한인부회장, 윤성훈 사무국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외협력팀 김세르게이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의 ‘대한민국 재외국민 디지털헬스케어센터’는 원격으로 의료상담이 가능한 고화질의 화상 장비를 구축해 해외 재외국민들을 대상으로 건강 상담 서비스를 시행하는 것으로, 지난 8월 베트남 호치민에 첫 센터를 개소했다. 그리고 베트남에 이어 우즈베키스탄에서 지내는 한인들을 위해서도 센터를 개소하고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 및 다양한 질병의 예방을 위해서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2013년부터 주 우즈베키스탄 한국영사관의 주도하에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지지 않은 지역의 우즈베키스탄 재외국민들을 위해 무료 건강 상담을 진행해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재외국민들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의 기회와 더 많은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이번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약 17만 명의 고려인을 포함한 많은 수의 재외국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분당서울대병원은 10월 중순 이후부터 우즈베키스탄 재외국민들을 대상으로 화상 건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전상훈 분당서울대병원장은 “우즈베키스탄 현지 의료서비스의 질과 접근성에 대한 부분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서비스에서 국내와 다른 환경에서 오는 불편함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거나 의료서비스를 받는다는 것에 많은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앞으로 분당서울대병원 의료진의 건강 상담과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를 통해 재외국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한인 전체의 삶의 질 향상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분당서울대병원의 디지털헬스케어센터는 이번에 개소한 우즈베키스탄과 베트남 호치민에 3곳, 캄보디아 프놈펜 1곳, 총 5곳에서 개소되며 연말까지 150여명 이상 재외국민들의 건강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동두천ㆍ연천 김성원 국회의원…“태풍 ‘차바’ 피해 이용해 돈버는 손해보험회사”

최근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침수피해를 입은 차량들의 처리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국내 손해보험회사들이 법률이 정한 폐차사업자가 아닌 불법 인터넷 위탁 폐차경매업체들에게 전손차량을 넘겨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누리당 김성원 국회의원(동두천ㆍ연천)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전손차량(잔존물) 처리를 위한 위탁 매매업체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14년~2016년 6월말) 손해보험 회사들이 처리한 전손차량 총 11만7천711대 중 65%인 7만6천94대를 ‘인터넷 위탁 폐차 경매업체를 통해 처리했다.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총 1천660억 원 중 1천250억 원으로 75%를 차지하는 셈이다. 그동안 법률 및 관련 규정의 미비로 폐차 물량이 불법으로 유통되었지만, 2016년 2월 12일 자동차관리법 개정으로 인해 등록된 폐차사업자 외에는 폐자동차를 수집, 매집, 알선하는 행위가 금지되었다. 즉 등록된 폐차사업자를 제외하고 인터넷 등으로 전손차량 경매를 받아 폐차 또는 유통을 하게되면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에만 전체 전손차량 2만6천751대 가운데 15%인 3천975대가 폐차사업자가 아닌 ‘불법 경매업체’를 통해 유통되었으며 금액상으로는 총 361억 원 중 93억 원으로 26%에 해당한다.김 의원은 “불법 경매업체는 전손차량을 정비공장, 외국인(바이어), 개인딜러 등으로 유통시켜, 침수피해 차량의 유통, 불법해체, 불법수출, 대포차 양산 등의 경로를 제공해 문제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손해보험회사들로부터 전손차량을 독점으로 위탁받아 유통하던 경매업체들 중 일부는 법률이 개정되어 폐차의 불법유통이 문제되자 지방 외곽의 폐차장을 인수 및 임대하여 법망을 피해 자동차 손해보험 회사와 버젓이 매집 및 알선 등 거래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제 김 의원이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로부터 제출받은 ‘폐차업 등록한 인터넷 위탁 폐차 경매업체들의 전손차량 및 폐차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폐차업을 등록한 6개 업체들은 올해 상반기 손해보험회사로부터 위탁받은 전손차량 총 11만543건 중 10%인 1천152건만 직접 폐차 처리하고, 나머지 90%인 10만381대를 시장에 유통시키며 이득을 챙겨왔다. 더구나 이들은 폐차 유통과정에서 타 폐차업자로부터 수수료와 보관료 징수 및 세금계산서 미발행, 매입매출세액의 누락 등을 자행하고 있어, 정부와 소비자 및 폐차사업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지만 이러한 불법행위에 대한 정부의 단속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 양승생 회장은 “사고 및 침수 등으로 발생하는 보험 전손차량의 유통은 국민의 안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폐차장내에서 완전한 종말처리가 담보되어야 하며 이를 위협하는 불법 폐차유통 행위에 대해서는 정부의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해보험회사들이 그동안 극히 일부의 경매업체와 폐차사업자들에게만 전손차량 입찰을 참여시켜 입찰의 부정 및 불법을 야기하는 등 공정거래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는 행태도 밝혀졌다. 삼성화재의 경우 2016년 상반기 전손차량 총 8천675대 중 78%인 6천716대를 기존에 거래하던 7개 경매업체를 통해 처리했다. 이와 관련 업계가 반발하자 7개의 폐차장을 추가 입찰 참여자로 인정하였지만 전국 폐차장이 517개인점을 감안하면 이 역시 ‘눈가리고 아웅하기’ 식으로 밖에 볼 수 없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전손차량 입찰제한으로 경매에 대한 불법ㆍ탈법 행태를 벌이며 시장질서를 어지럽히는 손해보험회사와 인터넷 폐차 경매업체 간의 유착관계 및 본연의 폐차 의무를 도외시하고 전손차량 매집 및 알선에만 집중하고 있는 경매업체들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철저한 전면조사를 실시해 불공정한 업계 관행을 근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손차량이란 전부손해차량의 줄임말로써 차량가격보다 수리비용이 클 경우 보험사가 수리대신 차량가격을 전부 배상한 차량을 뜻한다. 동두천=송진의기자

광명시, 전국 지자체 일자리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광명시가 19일 열린 고용노동부 주최‘2016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경진대회’에서 ‘청년도시 광명! 1030 청년 취ㆍ창업 원스톱프로젝트’로 일자리 발굴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청년도시 광명! 1030 청년 취ㆍ창업 원스톱 프로젝트는 10대 청소년부터 20∼30대 청년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와 연계해, 일자리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는 연령별 맞춤형 청년 일자리 정책이다. 주요 내용은 특성화고, 대학생, 청년, 전역예정 장병을 대상으로 한 연령별, 상황별 취업지원 교육과 공공기관 인턴제인 광명청년 job start, 인턴기간 종료 후 정규직으로 취업하는 광명청년고용 기업인턴제, 광명시청년창업지원센터를 통한 청년창업가 육성 등으로 청년들의 취업과 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담고 있다. 양기대 시장은 “청년 취업과 창업을 위한 광명시의 과감한 연령별 맞춤형 일자리 정책이 좋은 평가를 받아 의미가 크다”며 “청년뿐 아니라 남녀노소 모두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과감한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2014년에도 사회적기업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고용노동부에서 주최한 지역일자리 공시제에서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광명=김용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