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원 삼성전자 맞은편에 들어선 상가들이 건물 전체를 ‘가짜원룸’으로 불법 개조, 소비자를 현혹하는 임대가 성행하고 있다.경찰과 수원시가 대대적 단속과 함께 강력한 행정조치를 할 예정이어서, 향후 전세금 미반환 등 각종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방 구하는 이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7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의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주 출입구와 불과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최근 1~2년 사이 7층짜리 원룸건물 30여 개가 우후죽순으로 들어섰다.주변 부동산들은 ‘신축 원룸 임대’라고 쓴 각종 문구를 붙이며 일대를 홍보했다. 일부는 건물주가 제각각 임에도 10개 동의 외관을 똑같이 꾸미고 나서 ‘101동’, ‘110동’ 등 푯말을 붙여, 마치 하나의 ‘원룸촌마을’에 온 듯한 착각까지 들 정도로 꾸몄다.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전기까지 걸어서 10분”이라며 “접근성이 좋아 삼성직원이 주된 고객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곳 원룸촌 마을은 모두 불법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곳은 공업지역인 탓에 주택을 제외한 상가나 고시원 등만을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불과 2~3년 전만 해도 나대지였던 이곳을 건물주들이 상가로 준공 허가를 받은 다음, 모두 원룸으로 불법 개조한 것이다. 건축주들이 신고한 용도를 보면 의원, 학원, 사무실, 소매점, 음식점 등으로 다양했다. 이 일대에 이같이 불법으로 형성된 세대수만 건물당 평균 30가구로 환산할 때, 총 800가구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욱이 원룸 내부 부엌에는 일반적인 싱크대 대신 화장실 세면대를 설치하고 그 옆에 인덕션(전기식 가스레인지)을 갖다놓는 방식을 취하며, 현행법상 금지한 ‘취사 행위’를 교묘히 피하는 꼼수까지 부린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대 부동산들은 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도 없이 버젓이 원룸 임대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과 수원시 관계자는 “명백한 불법 행위”라며 “고발조치를 통해 원상복구 명령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취할 예정으로, 이를 위해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원룸촌 단지를 두고 대대적인 조사 및 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에 따라 전문가들은 추후 전세금 미반환 등의 문제로 소비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시가 철거 명령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해야 하며 경찰은 자세한 내막 조사를 해야한다”며 “그렇게 되면 세입자들은 전세금을 못돌려 받는 상황까지 처할수 있으므로 방을 구할 때 꼼꼼히 따져서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철오기자
사회일반
조철오 기자
2016-07-07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