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운동 마지막 최대승부처 경기도 지원 집중

여야는 공식선거운동 마지막날인 12일 최대 승부처이며 초박빙 지역이 많은 경기도 지원유세에 집중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오전 수원·안산·시흥·안양 지역을 두루 돌며 이동유세를 펼쳤다. 박종희(수원갑)·김상민(수원을) 지원에 이어 이화수(안산상록갑)·홍장표(안산상록을)·함진규(시흥갑)·장경순 후보(안양만안)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딸과 함께 유세를 하던 박종희 후보는 김 대표를 강하게 포옹하며 감사의 뜻을 전해 시선을 모았다. 김 대표는 “박 후보를 힘있는 여당 3선 의원으로 만들어달라. 미치도록 일하고 싶은 박 후보에게 제발 일할 기회를 달라”고 당부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알파원 유세단’과 함께 용인, 의왕·과천을 돌며 이상일(용인정)·허명환(용인을)·박요찬 후보(의왕·과천)를 지지해줄 것을 호소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전날 경기도당을 찾아 대국민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12일에도 이번 선거의 최대 격전지인 경기도를 방문해 “진짜 야당”을 강조하면서 야권 지지층의 결집을 요청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고양시 토당동 능곡시장 입구에서 진행된 고양을 정재호 후보의 집중유세장을 방문해 정 후보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를 당부했다. 김 대표는 “야당답지 않은 야당을 선택하면 새누리당만 어부지리를 얻는다”며 “후보도 정당도 기호 2번 더민주를 선택해달라”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는 현역의원들이 출마한 경기ㆍ인천 지역 접전지를 중심으로 돌면서 정치 변화를 위한 지지를 호소했다. 안 대표는 부평갑 문병호 후보의 유세장을 방문한 데 이어 인천지역 후보 합동유세에도 참석했으며 이어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으로로 이동해 안산 지역 4명의 후보들과 막판 표심 공략전을 펼쳤다. 김재민·정진욱기자

고척스카이돔 첫 입성 kt wiz "적응 쉽지 않네"

최근 조범현 kt wiz 감독은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리는 12일 넥센 히어로즈전에 대한 걱정을 내비치곤 했다. 돔과 일반 구장의 느낌이 확연히 다른데 시범경기 일정이 단 한 번도 잡히지 않은 까닭에서다. 조 감독은 “돔구장에 적응을 못해 실책으로 팬들에게 질 낮은 경기를 보여줄까 걱정이다”라고 토로했다. 지난해 11월 개장해 이번 시즌부터 넥센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척스카이돔은 국내 최초 돔구장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정작 선수들은 불만을 터뜨렸다. 천장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고척스카이돔 천장으 색깔이 밝은 데다 복잡한 철골 구조가 그대로 노출돼 있다. 이 때문에 시범경기 당시 선수들은 외야 타구 처리에 애를 먹었다고 입을 모았다. 조 감독도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시범경기 후 연습경기를 추진하고, 경기가 없는 월요일에 대관을 추진한 것도 고척스카이돔 적응을 위함이었다. 그러나 고척스카이돔을 관리하는 서울시설관리공단으로부터 돌아온 답변은 구장 관리와 대관 문제로 인한 ‘불가’였다. 이에 조 감독은 차선책으로 12일 오전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타격 연습을 하고, 오후 경기 전 수비 연습을 중점적으로 하는 복안을 세웠다. 하지만 경기 전 연습을 마친 kt 선수들은 하나 같이 “쉽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외야수 유한준(35)은 “천장색깔과 조명 때문에 거리감을 잡기 어려웠다”고 했고, 외야수 이진영(36) 또한 “타구 소리를 듣고 달려갔는데 공이 잠시 동안 사라지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내야수 박경수(32)는 “인조잔디의 영향으로 불규칙 바운드가 많이 발생하는 것 같다”고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조성필기자

농기원 인공수분 ‘바쁘다 바빠’

안양 고교생들 “투표빵 드려요”

20대 총선 투표소 설치

경기도,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 위한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

경기도가 도내 수출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해외 판로 확대를 돕기 위해 올해부터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에 나선다. 12일 도에 따르면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수출 여건을 갖추고도 수출 대상국에서 요구하는 해외규격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중소기업에게 시험ㆍ인증비·컨설팅비, 해외인증갱신비 등 소요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지원 인증 대상은 CE(Communate Europeeeneㆍ유럽연합 통합규격) 인증,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국연방통신위원회) 인증 등 137개 제품인증 분야이다. 도는 올해 총 5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해 약 130개의 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1차 지원은 해외규격인증획득비용의 일부(최대 60%, 1천만원 한도)이며 2차 지원은 이미 취득한 해외인증 갱신 및 사후관리비용의 일부(최대 60%, 200만원 한도)이다. 해당 연도에 이미 획득한 인증도 지원 가능하며 타 기관 인증지원사업에 이미 신청을 한 업체도 인증신청분야가 다를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신청 자격은 도내 본사 혹은 공장을 보유한 중소기업이며 1차 모집은 이지비즈 홈페이지(www.egbiz.or.kr)에서 4월22일까지 신청받는다. 2차 모집은 올해 10월에 실시할 예정이다. 고봉태 도 국제통상과장은 “기술무역장벽 등 비관세장벽을 극복하고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라며 “도내 내수 기업이 인증획득으로 수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원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