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천정배 야권연대 결론 도출 실패… 추가 논의키로

국민의당 안철수ㆍ천정배 공동대표가 15일 20대 총선에서의 야권연대를 놓고 담판을 벌였지만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안ㆍ천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시내 모처에서 단둘이 만나 40여분간 야권연대와 관련한 대화를 나눴다. 이날 회동은 안 대표가 천 대표에게 제안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당은 회동 결과에 대해 “두 분이 ‘서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했다. 더 이야기 나누기로 했다’는 말씀을 전해왔다”고만 밝혔다. 이날 두 대표가 야권연대와 관련해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면서 당의 내홍 상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천 대표와 상임선대위원장직을 사퇴한 김한길 의원이 새누리당의 압승을 막기 위해서는 야권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는 반면 안 대표는 절대불가 방침을 고수하면서 갈등이 증폭되는 양상이다. 당 안팎에선 양측이 끝내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결별이 불가피하다는 관측과 함께 천 대표의 탈당 또는 대표직 사퇴도 거론되는 상황이다. 반면 당 안팎에서는 천 대표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회동이 최종 담판이 될 것임을 예고했으나 이날 회동 후 ‘더 이야기를 나누기로 했다’고 한 것을 두고 아직 타협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이날 양측의 최종 입장이 정리되지 않음에 따라 최악의 분당사태는 당분간 차단됐다. 한편 이날 더불어민주당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김한길, 천정배 의원이 탈당할 경우 지역구 조정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저희는 이미 공천을 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여지는 없다”면서 “이제 야권통합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박근혜 대통령 “北, 변하지 않으면 자멸의 길 걸을 것”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북한이 무리한 도발과 국제사회에 대한 강한 대립을 계속하면서 변화의 길로 나서지 않는다면 그것은 스스로 자멸의 길을 걷는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영상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와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 선제 타격을 하겠다고 도발성 발언을 일삼고 있고, 전세계가 요구하고 있는 핵포기 대신 핵실험 강행 의사를 보이면서 단거리 미사일 발사 등 무모한 위협을 계속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러한 북한의 위협은 우리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에 대해 강한 위기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 북한이 변화하지 않고 또다시 도발할 경우 우리 정부와 군은 즉각 응징할 수 있도록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또 “북한이 오직 핵실험과 미사일 개발에만 몰두하면서 오늘날 북한 주민들은 극심한 생활고를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인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등 북한의 인권 수준은 세계 최악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우리가 통일을 염원하는 이유는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인권, 번영을 북한 동포들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듯이 북한 동포의 이런 인권 문제는 결코 방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런 차원에서 북한인권법이 국회에서 발의된지 11년 만에 통과가 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것이고, 북한 동포는 물론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해서도 큰 의미가 있다”며 “통일부 등 관계부처는 하위법령 마련 등 그 시행에 만전을 기하고, 앞으로도 북한 주민의 인권 보호와 증진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인공지능 알파고의 바둑 대국에 대해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의 바둑 대국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며 “정책적 관점에서 볼 때 바둑대국에서 눈여겨 봐야할 것은 ICT 분야의 눈부신 기술혁신 속도”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크라우드컴퓨팅, 빅데이더 등 ICT 분야의 기술혁신은 4차 산업혁명에 비견될 만큼 산업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이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현상이라면 우리는 좀 더 자신감과 용기를 가지고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해인 기자

[채권마감] 보합권 플랫, BOJ 기대와 실망 ‘장중 출렁’

채권시장이 보합권에서 장을 마쳤다. 다만 장기물이 상대적으로 강해 커브는 플래트닝됐다. 장중 변동폭은 상당한 분위기였다. 장중 발표될 일본은행(BOJ) 금리결정에 앞서 추가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강세를 이끌었고 금리동결과 함께 추가 조치가 없다는 발표에 약세로 반전했다. 다만 이후에도 저가매수세는 유지됐다. 국채선물 근월물 마지막 거래일을 맞아 포지션 정리 위주 거래도 이어졌다. 채권시장 참여자들은 BOJ 기대감과 실망감에 장중 변동폭이 컸다고 전했다. 선물 롤오버가 이어진 가운데 원월물 매수 소문도 장중 강세반전에 힘을 보탰다고 밝혔다. 미 연준(Fed) FOMC를 앞둔 상황이라는 점에서 대기모드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결과에 따라 장이 출렁일수 있다고 예상했다. 15일 채권시장에 따르면 통안2년물이 0.7bp 상승한 1.532%를 기록했다. 국고3년 15-7은 0.2bp 올라 1.523%를 보였다. 국고3년 16-2은 보합인 1.528%를 나타냈다. 국고5년 15-4와 15-9는 0.3bp씩 떨어져 각각 1.657%로 거래를 마쳤다. 국고10년 15-8과 16-3도 1.2bp씩 하락해 1.903%와 1.913%를 나타냈다. 국고20년 15-6도 1bp 떨어진 1.952%를 보였다. 국고30년 14-7과 16-1 또한 1.0bp씩 내려 1.980%와 1.985%를 기록했다. 국고10년 물가채 15-5 역시 0.5bp 하락한 1.345%에 거래를 마무리했다. 10-3년 스프레드는 1.2bp 좁허진 37.1bp를 보였다. 30-10년 스프레드는 0.6bp 확대된 7.7bp를 기록했다. 국고10년물과 물가채간 스프레드인 BEI는 0.7bp 하락한 55.8bp를 기록했다. 장외채권시장에서는 은행이 601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거래대금 기준). 투신이 3630억원, 외국인이 2940억원씩 순매수하는 모습이었다. 반면 사모가 40억원 순매도했다. 6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1틱 떨어진 110.05를 기록했다. 장중고점은 110.11, 저점은 110.01이었다. 장중변동폭은 10틱을 보였다. 미결제는 26만5910계약으로 3만1071계약 늘었다. 거래량도 12만2448계약으로 6만5362계약을 나타냈다. 3월만기 3년 국채선물은 전장대비 4틱 떨어진 109.97로 거래를 마쳤다. 미결제는 3만3424계약을 남기며 청산됐다. 거래량은 3만750계약을 보였다. 회전율은 0.58회를 보였다. 매매주체별로는 은행이 4645계약 순매수하며 이틀째 매수했다. 반면 외국인이 4073계약 순매도로 대응했다. 외국인의 선물 누적순매수 포지션 추정치는 17만8718계약으로 지난해 12월18일 16만3053계약 이후 3개월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6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12틱 상승한 128.00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고점과 저점은 각각 128.17과 127.79였다. 장중변동폭은 38틱을 기록했다. 미결제는 1만8198계약 증가한 7만5501계약을 나타냈다. 거래량도 3만4657계약 늘어 5만5942계약을 보였다. 3월만기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보다 2틱 내린 127.93을 기록했다. 미결제는 9891계약을 남긴후 청산됐다. 거래량은 8344계약을 나타냈다. 회전율은 0.85회를 기록했다. 매매주체별로는 외국인이 1792계약 순매수해 이틀째 매수했다. 전날에도 4401계약 순매수하며 1월20일 5682계약 순매수 이후 2개월만에 일별최대 순매수를 기록한 바 있다. 은행도 1384계약 순매수해 사흘째 매수세를 지속했다. 반면 금융투자가 3686계약 순매도로 대응했다. 이틀연속 순매도로 전날에도 4743계약 순매도를 기록, 작년 8월17일 6400계약 순매도 이후 7개월만에 일중 최대 순매도를 보였었다. 현선물 이론가는 3선과 10선 각각 고평 4틱씩을 보였다. 은행권의 한 채권딜러는 “장중 변동폭이 컸다. 오전에는 국채선물 근월물 마지막 롤오버에 따른 근월물 매도로 약했다. 근월물 거래 종료를 전후해 근월물을 매도하고 버텼던 세력이 원월물을 매수한다는 소문에다 BOJ 추가 양적완화에 베팅하며 선물 기준 급등하기도 했다. 이후 오후장에는 BOJ 실망감에 제자리를 찾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FOMC 결과를 봐야할 것 같다. 인상은 아니겠지만 인상 냄새를 풍긴다면 장이 더 밀릴수도 있겠다. 이도저도 아닌 수준이라면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도 “금리는 특별한 방향성 보다는 선물만기에 따른 포지션 정리 위주로 거래됐다. BOJ에서 특별한 조치가 없자 일부 매물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대기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금리는 보합권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며 “FOMC 결과 전까지는 횡보장이 이어질 듯 하다”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마감시황] 코스피, 닷새 만에 하락… 기관 11일 연속 '팔자'

코스피 지수가 닷새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관은 11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다. 15일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2.30포인트(-0.12%) 하락한 1969.97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전날보다 3.34포인트(0.17%) 오른 1975.61로 개장 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이어가다 오후 들어 1970선이 무너졌다. 지난밤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앞두고 관망세가 커지면서 혼조세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82포인트(0.09%) 상승한 1만7229.13으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55포인트(0.13%) 내린 2019.64를, 나스닥지수는 1.81포인트(0.04%) 오른 4750.28을 각각 기록했다. 기관은 1294억원 팔아치우며 11거래일 연속 순매도 공세를 이어갔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99억원, 601억원 순매수했다. 프로그램매매는 차익거래 184억원 매수우위, 비차익거래 1553억원 매도우위를 보여 총 1369억원 순매도우위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증권(-1.92%), 운수장비(-1.07%), 기계(-0.64%) 등이 약세를 보였다. 반면 건설업(0.73%), 서비스업(0.58%), 의료정밀(0.56%) 등은 상승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등락이 엇갈렸다. 삼성전자(-0.16%). 한국전력(-0.34%), 현대차(-1.01%), 현대모비스(-0.60%) 등은 내리고, 삼성물산(0.34%), 아모레퍼시픽(2.45%), 네이버(0.94%) 등은 올랐다. 이날 거래량은 2억6091만주, 거래대금은 3조7646억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6개를 포함한 308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479개 종목이 내렸다. 85개 종목은 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2.29포인트(0.33%) 상승한 693.34에 장을 마쳤다. 업종별로는 섬유/의류과 전날에 이어 25% 급등했다. 운송(2.15%), 제조(1.30%)도 강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코데즈컴바인이 4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현 주가는 15만1100원으로 열흘 새 7배 가까이 뛰었다. 셀트리온(-0.38%). 카카오(-1.07%), CJ E&M(-1.44%)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1.6원 오른 1187.7원에 마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오늘의 상한가] 상보, 2분기 中 공장 풀가동…연 1000억 매출 기대 소식에 ‘上’

15일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유가증권 6개, 코스닥 5개 등 총 11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보가 2분기 중에 중국 공장 풀가동에 들어간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상보는 전 거래일 대비 29.88%(1025원) 오른 445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상보 관계자는 “현재 중국 생산라인은 장비 이전 작업을 하고 있고, 2분기 중으로 6개 라인 풀가동에 들어간다”며 “중국 공장에서만 연간 1000억원을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보가 국내 필름업체 최초로 지난해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 9900㎡(3000평) 규모로 설립한 '상보신재료쑤저우유한공사'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름인 신복합광학시트 등을 생산한다. 상보는 이와 함께 ‘그래핀 하이 배리어 필름’, ‘염료감응 태양전지’ 등 신소재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준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영백씨엠은 최대주주 변경 소식에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영백씨엠은 전 거래일 대비 29.95%(6200원) 오른 2만6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영백씨엠은 주식양수도 계약에 따라 최대주주를 기존 홍순일외 2인에서 와이제이엠엔터테인먼트외 4인으로 변경한다고 공시했다. 1주당 가액은 2만4514주, 양수도대금은 264억원이다. 코데즈컴바인은 이상 급등 현상을 보이며 4거래일째 상한가를 기록했다. 코데즈컴바인은 전 거래일 대비 29.92%(3만4800원) 오른 15만1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데즈컴바인의 시가총액은 5조7181억원으로 코스닥시장 순위 3위까지 올랐다. 이같은 급등세에 거래소는 지난 4일 조회공시를 요구했으나 코데즈컴바인 측은 "별도로 공시할 중요 정보가 없다"고 답변했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코데즈컴바인과 관련 계좌에 대한 집중 시장감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미니투자는 애니메이션 제작업체가 경영 참가 목적으로 지분을 취득했다는 소식에 전 거래일 대비 29.53%(285원) 오른 1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애니메이션 기획ㆍ제작업체 고구미는 경영 참여와 투자 목적을 위해 제미니투자 주식 137만231(5.612%)주를 장외에서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이밖에 디에스케이가 전 거래일 대비 29.88%(4900원) 오른 2만13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동원이 최대주주 변경 소식에 전 거래일 대비 30%(1590원) 오른 6890원에 거래를 마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날 동원은 최대주주인 이혁배 회장의 지분 82만9510주를 더블유투자금융주식형조합 제3호에 양도한다고 공시했다. 1주당 가액은 6630.42원, 양수도 대금은 55억원이다. 이밖에 삼성중공업우(종가 4만9550원), SK네트웍스우(종가 6만100원), 태양금속우(종가 5270원), 깨끗한나라우(종가 2만3100원), 팀스(종가 2만300원) 등이 상한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