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위반 건축물 신고쇄도, 시 단속 손길 턱없이 부족

사소한 위반 건축물을 단속해 달라는 민원 때문에 포천시가 단속 업무에 애를 먹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위반 건축물을 단속하는 인원은 팀장을 포함 4명이다. 관내에는 1만5천여 개의 크고 작은 공장과 상가들이 있어 1명당 5천여 곳을 담당해야 한다. 인력부족으로 정규적인 위반 건축물에 대한 단속은 꿈도 못꾼다. 이 와중에 이웃간 갈등으로 주택이나 33㎡ 미만의 소상가의 사소한 위반 건축물을 단속해 달라는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시는 지난해 539건의 위반 건축물을 단속했다. 이 가운데 사소한 위반 건축물이 300여 건에 이른다. 대부분이 신고로 이뤄졌다. 사소한 위반 건축물은 3.3㎡ 남짓한 주방 보조나 창고, 콘테이너 등으로 신고가 아니면 단속하기조차 민망한 위반 건축물들이다. 하지만 이웃 소상공인들간 갈등이 불거지면 감정적 대응으로 위반 건축물에 대한 민원을 제기한다. 이런 현상은 상가 뿐만 아니다. 주거용 주택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지난해 주거용 위반 건축물은 160건으로, 2014년도 117건보다 43건이 늘었다. 이는 장기적 경기불황으로 소비심리마져 위축되면서 과다한 경쟁의 산물이자 팍팍해 진 민심이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신읍동에서 상가를 운영중인 A씨(46ㆍ여)씨는 “모두가 힘든 상황에서 옆 가게가 조금이라도 잘되면 손님을 빼앗낀다고 생각해서인지 시에 민원을 넣는다”며 “민원을 넣은 사실이 알게되면 이웃간 볼썽사나운 분쟁이 종종 발생한다”고 안타까워 했다. 김한성 시 건축지도팀장은 “사소한 위반 건축물이라도 민원이 제기되면 단속을 안 나갈 수가 없다”며 “적은 인원에 민원까지 처리하기란 정말 벅찬데, 신고자들은 수시로 전화해서 처리 순서를 무시하고 단속 압박을 하고 있다”고 애로를 토로했다. 포천= 김두현기자

[특징주]롯데제과, 액면분할ㆍ지배구조 개편 수혜 기대감에 ‘신고가’

롯데제과가 주식 액면분할 효과와 지배구조 개편 수혜 기대감에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8일 오전 9시 19분 현재 롯데제과는 전일대비 8.87%(21만5000원) 오른 27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276만6000원을 터치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전날 롯데제과는 오는 25일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액면가를 현재 5000원에서 500원으로 낮추는 안건을 상정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롯데제과의 발행주식 총수는 142만1400주에서 1421만4000주로 10배 늘어나게 된다. 통상 액면분할을 하면 주당 가격은 낮아지고 유통 주식수가 많아져 거래량이 늘기 때문에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경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저평가돼 왔던 롯데제과의 주식 시장 내 유동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함께 롯데제과는 롯데그룹 지배 구조 개편 과정에서의 수혜도 기대된다. 이 연구원은 “롯데그룹이 신동빈 회장 체제의 1인 지배 구조로 변경될 경우 일본 롯데와 한국 롯데가 제과업에서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롯데그룹의 지배구조 재편 과정에서 롯데제과는 식품사업을 총괄하는 중간 지주사가 되고, 신동빈 회장 및 특수 관계자 보유 지분이 호텔롯데 혹은 상위 지주사로 현물 출자될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롯데제과의 잠재된 영업 및 자산 가치는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고양시, 드림스타트 사업 전 지역 확대 운영

고양시의 드림스타트 사업이 39개동 전 지역으로 확대된다. 고양시는 지난 2010년 저소득 밀집 8개동으로 시작된 고양시드림스타트사업을 올해는 관내 39개동 전 지역에서 확대 운영된다고 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2일부터 전 지역 취약아동 중 사례관리가 필요한 신규 아동을 선정하기 위해 일제 조사를 시작했다.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 계층, 한부모 가정의 0~12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및 현장 상담을 통해 아동발달상황과 양육환경을 진단하고 있다. 또한 사례회의를 통해 위기도가 높은 아동을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대상자로 우선 선정해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드림스타트사업은 취약한 가정환경으로 복합적인 문제에 놓여있는 만 0세~12세의 저소득아동을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고 가난의 대물림을 예방하고자 시작된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사업이다. 고양시드림스타트 센터는 원당시장 내에 있으며, 12명의 아동통합서비스전문요원들이 700여명의 저소득아동에게 신체건강, 인지언어, 정서행동, 부모가족지원 등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고양시드림스타트는 저소득 아동의 심리적 안정, 학습능력향상, 진로 설정, 가족관계 회복, 부모역량강화를 목표로 지역 내 관련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고양=유제원ㆍ김현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