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누리길 홍보대사 위촉식

통일대교 지나는 입경 차량들

파주 ‘북한 핵’ 규탄대회

농작업 재해율 전체 산업 재해율의 두 배

농민들이 다른 산업 종사자들보다 일하면서 재해를 당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농협중앙회와 농협생명보험이 발표한 ‘농작업 재해 실태와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농업 분야 종사자들의 재해율은 전체 산업 평균의 두 배 수준이다. 2014년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발생 현황’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보고서를 보면, 농업분야 종사자의 1천명당 재해발생 건수는 12.60건이다. 전체 산업 평균인 5.94건을 크게 웃돈다. 농민들이 주로 겪는 재해는 낙상과 농기계 관련 사고였다. 농협생명보험이 2014년 농업인안전보험금을 지급한 11만8천여건을 분석한 결과, 낙상 재해가 48.2%로 가장 많았다.낙상 사고 중 발을 헛디디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경우가 75.1%, 사다리에서 떨어지는 사례가 9.3%로 뒤를 이었다. 이는 농민들이 안전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환경에서 일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어 농기계 관련 사고(53.4%), 운수사고(4.2%)로 나타났다. 운수 사고는 ‘농사용 특수차량 탑승 중 사고’가 3천128건으로, 승용차 탑승 중 사고(139건)나 보행 중 사고(80건)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농민들의 재해 위험이 큰 이유는 농작업이 표준화가 돼 있지 않은데다, 장시간 부적절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일의 특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농업인의 보험 가입은 저조해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4년 기준 농협 조합원은 235만명이지만, NH농업인안전보험 가입자는 78만4천명으로 가입률이 33.4%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농업인안전보험의 자발적인 가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체계적인 농작업 재해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자연기자

겨울철 건조한 집안, 가습효과 높이는 식물과 기르는 방법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겨울철 건조한 집안의 실내습도를 올리는 데 효과적인 식물 등을 11일 추천했다. 사람이 쾌적하게 느끼는 습도는 40~60%이지만, 겨울철 가정의 실내는 30% 이하로 매우 건조하다. 농진청에서 식물과 물을 가습 효과를 실험한 결과, 물에 의해 습도가 10% 증가하는 동안 식물은 41%가량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가습 효과가 뛰어난 대표적인 식물로는 행운목, 쉐플레라, 장미허브, 돈나무 등이다. 가습식물은 보통 잎이 크고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 대부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이온이 많이 발생한다.행운목과 쉐플레라는 햇빛이 너무 강한 창가보다는 거실 안쪽에 두는 것이 좋다. 밝을수록 가습효과가 뛰어나므로 직사광선은 피하고, 밝은 곳에 둔다. 장미허브와 돈나무는 햇빛을 좋아해 베란다나 창가에서 기르도록 한다. 또 행운목, 쉐플레라, 돈나무는 손가락으로 흙 표면을 약 1cm 깊이로 만졌을 때 물기가 느껴지지 않을 때 물을 준다. 장미허브는 매일 물을 주는 것이 좋다. 가습효과를 더욱 높이려면 한 달에 한두 번은 베란다나 화장실로 옮겨 잎에서부터 물을 흠뻑 주는 게 좋다. 한나절 정도 그대로 뒀다가 제자리로 옮기면 생육이 좋아지고, 광합성과 증산 작용이 활발해져 가습효과가 더욱 커진다. 김광진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업연구관은 “식물에 물을 주면 물이 뿌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균이 완전히 걸러진다”면서 “식물에 의한 가습은 세균 걱정이 전혀 없는 깨끗한 천연 가습기”라고 설명했다. 정자연기자